클레어몬트, 그로브랜드, 마스코트, 미네올라 등 '들썩'
 

clairmt.jpg
▲ 올랜도지역 국도 50번에서 서쪽으로 고지대에 위치한 클레어몬트. 현재 이곳을 중심으로 주변 농촌지역에 개발붐이 일고 있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올랜도 서부 레이크 카운티에 주거지 개발붐이 일면서 지역 관계자들이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카운티 관리들은 땅값이 인근 도시보다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공간안에 거의 1만 채의 신규 주택이 건설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낸다. 반면 한쪽에서는 오렌지밭과 작은 마을들이 지녔던 시골의 한적한 정서가 사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08년 미국 경제 붕괴 이후 몇 년 간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레이크 카운티의 개발은 지속되어 왔다. 1989년 강추위로 오렌지 수확에 피해를 입은 땅 주인들은 카운티내 11만 7천 에이커에 달하는 오렌지밭을 주택 개발업자들에게 팔아 넘겼고, 이후 레이크 카운티의 인구는 거의 3배가 증가한 34만 6017명으로 늘어났다.

카운티 부동산 감정사인 캐리 베이커는 <올랜도센티널> 17일치에서 "카운티 전 지역이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신개발이 가장 큰 지역을 꼽으라면 클레어몬트, 그로브랜드, 마스코트, 미네올라"라고 전했다. 이곳은 카운티 남부 지역으로, 단독주택 단지와 상가를 포함해 총 21개 신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카운티 남부에서 가장 작은 도시 중 하나인 마스코트는 그럴듯한 수퍼마켓도 없는 시골지역이지만, 8개 주택단지 개발로 총 1669채를 추가할 예정이다. 미네올라에는 약 8000채의 주택이 승인됐고, 그로브랜드에는 883채의 단독주택이 건설될 예정이다.

올랜도지역부동산협회(ORRA)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레이크 카운티 전 지역에서 2742채의 주택 거래가 성사됐다. 같은 기간에 메트로올랜도 핵심지역인 오렌지 카운티의 주택 거래는 8065건, 세미놀은 3180건이다.

레이크 카운티에 눈을 돌리고 있는 주택 수요자들은 집 가격이 도심지에 비해 낮고, 올랜도와 가까운데다 플로리다 턴파이크, 27번 국도, 50번 주도 등 주요 도로 진입이 쉬운 것에 끌리고 있다.

ORRA 자료 기준으로 오렌지카운티 평균 주택가격은 30만1178달러인데 반해 레이크카운티의 평균가는 24만 2416달러이다.

4만 명의 인구를 가진 카운티 최대의 도시 클레어몬트는 2곳의 단독주택 단지와 2개의 아파트 단지, 그리고 노인 거주 시설을 갖춘 1865채의 주택을 짓고 있다.

부동산 관계자들은 지난 몇 년동안 클레어몬트에 둥지를 튼 신생 사업체들이 주변의 어떤 지역보다 많았을 것으로 추측한다. 앞으로도 이 도시 다운타운과 시내 주요 관광지인 시트러스 타워 인근에 대규모 상가가 문을 열 예정이다.

최근 클레어몬트에는 243에이커에 달하는 스포츠 테마 커뮤니티 '올림푸스(Olympus)'가 진출했다. 이곳에는 피트니스 센터, 호텔, 식당, 상가, 타운홈, 아파트 등이 들어차게 된다.

그로브랜드의 경우 미국 최대 그로서리 체인인 크로거의 입성을 기다리고 있다. 최소 31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그로서리는 로봇식 고객 센터를 갖출 전망이다.

한편 일부 카운티 주민들은 지역이 소도시가 주는 느긋한 느낌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교통 혼잡과 함께 주차에 어려움이 생겼다고 토로한다. 15년 동안 클레르몬트 시내에서 카페를 운영해온 아만다 월시는 도시가 성장하면서 자신의 사업도 덩달아 호황을 맞았지만, 자신은 여전히 고즈넉함이 좋고 5분안에 마을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다다를 수 있던 시절이 그립다고 전했다.

일부 주민들은 수년 동안 개발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2016년 농촌의 도시화를 반대하는 단체인 플로리다주 프렌즈 1000 프렌즈(Friends of Florida)는 2016년 플로리다 대학 및 주 농무부와 연계해 '관리 부실' 성장의 효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현재의 주 성장 및 개발 궤도와 밀도를 계속 유지한다면 향후 반세기 동안 수백만 에이커의 땅을 잃게 될 것"이라 분석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37 캐나다 여객기로 밴쿠버 온 코로나 환자 주변 승객 역학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20.02.26.
5036 캐나다 앨버타, 의과 대학에서부터 의사 조력 자살 준비...환자와의 어떻게 대화하는지가 시작 포인트 CN드림 20.02.25.
5035 캐나다 케니 주 수상 “원주민 시위 앨버타 경제 위협한다”...캐나다 원유 할인율 높아질 수도 있어 CN드림 20.02.25.
5034 캐나다 웨스트젯, 유럽노선 수하물 요금 인상...첫 번째 수하물 60불, 두 번째 수하물 90불로 올라 CN드림 20.02.25.
5033 캐나다 핀처크릭의 호텔, 화재로 사라져...100년 전통의 역사적인 건물 CN드림 20.02.25.
5032 캐나다 에드먼튼 풋볼팀 에스키모스, 팀 이름 그대로...1년에 걸친 원주민과의 논의 결과 유지 결정 CN드림 20.02.25.
5031 캐나다 앨버타 독감 시즌, 아직 안 끝났다...독감 환자 지속적인 증가 보여 CN드림 20.02.25.
5030 캐나다 에드먼튼, 도로 제한 속도 시민 의견 듣는다...도시 모든 주거 지역 40km/h 변경도 제안 CN드림 20.02.25.
5029 캐나다 작년 캐나다 시민권 취득 한국 국적자 3350명 탄생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8 캐나다 BC주 코로나19 감염자 1명 추가...6명 감염자 나와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7 캐나다 가사분담은 잘 이루어지고 있나요?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6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이후 무엇이 바뀌었나?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5 미국 NASA, 화성에서 발견한 구덩이에 학계 관신 집중! “설마 용암 동굴?” 호주브레이크.. 20.02.24.
5024 미국 “당신이 미국의 기생충”… 美언론 ‘기생충’ 연일 비판 트럼프 성토 호주브레이크.. 20.02.23.
5023 캐나다 한국산 삼계탕 간편식, 캐나다 첫 수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2 캐나다 2017/18 학년도 캐나다 유학생 중 한인 2%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1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임시직 행정직원 채용 중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0 캐나다 65% BC주 부모, 비싼 집값 자녀세대 외곽 이사 가야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9 캐나다 플레어 에어 애보츠포드 포기한다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8 캐나다 봄바디어, 상용기 이어 열차 제작도 매각 밴쿠버중앙일.. 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