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01.jpg

Web02.jpg

지난 10일(일) 열린 KAYL 프로그램에 참석한 추신수 선수는 한인 학생들에게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태도로 ‘노력’과 ‘솔선수범’을 꼽았다. 사진/KAPN

 

한인전문가 네트워크(Korean American Professional Network. 이하 KAPN)가 주관하는 한인 청소년 리더십 프로그램(KAYL) 제3기 수업에 특별한 손님이 찾아왔다.
지난 10일(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강당에 추신수 선수가 등장하자 한인 청소년 리더십 프로그램(KAYL)에 참여중인 한인 학생들은 “추신수”를 연호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추신수 선수는 이날 한인 2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미국사회의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KAYL 리더십 세미나 특별강사로 초빙돼 왔다.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진솔하게 나누며 마치는 시간까지 모든 학생들에게 정성을 다한 추신수 선수는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태도로 ‘노력’과 ‘솔선수범’을 꼽았다.
지난해 성적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마이너리그부터 메이저리그까지 6단계의 과정을 모두 거치며 단련된 튼튼한 기반을 떠올렸다”고 설명한 추선수는 “컨트롤이 안되는 것은 무시하고,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면서 제 기량을 발휘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한번에 이루려고 하지 말고 자신만의 튼튼한 기반을 만드는데 노력하고 집중하라”고 조언한 추신수 선수는 “거저 쥐어지는 것은 내 것이 아니다. 노력으로 성취한 것만이 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해진 시간을 넘기면서까지 학생들의 질문과 궁금증에 마음을 다해 답변한 추신수 선수는 “팀 내에서 어떻게 리더십을 발휘하는가”를 궁금해 한 학생에게 “나 스스로의 모습으로 보여준다”고 답해 큰 공감을 얻었다.
추신수 선수는 이 질문에서 모든 연습에 가장 먼저 나가고, 어떤 상황에서도 부지런하게 솔선수범으로 대하는 자신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누군가를 존경하기 보다 스스로 존경받는 사람이 곧 ‘최고의 리더’임을 상기시켰다.

 

[뉴스넷] 최윤주 기자
editor@newsnetu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0 미국 뉴저지 DMV 차량국 15일 운영 재개 file 뉴욕코리아 20.06.17.
229 미국 버지니아한인회, 라우든 세리프 경찰서에 수제 면마스크 전달 file 뉴욕코리아 20.06.18.
228 미국 박한식 교수 “청와대, 신속히 ‘환영 담화’ 발표해야” file 뉴스앤포스트 20.06.25.
227 미국 SK이노베이션 9억4천만불 투자…600개 일자리창출 file 뉴스앤포스트 20.06.26.
226 미국 플로리다 한인권익신장협회, '마스크 나눔' 행사 펼쳐 코리아위클리.. 20.07.24.
225 미국 한국방송공사, 한국어 말하기 동영상 공모전 개최 코리아위클리.. 20.07.24.
224 미국 애틀랜타 총영사관, 미국내 타주 방문시 자가격리 등 유의사항 안내 코리아위클리.. 20.07.24.
223 미국 총영사관-플로리다 지역 한인회장 화상간담회 열어 코리아위클리.. 20.07.24.
222 미국 미국발 한국 입국자는 자가격리, 진단검사 받아야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221 미국 알재단, 가을 미술사 수업 온라인 개강 file 뉴스로_USA 20.08.03.
220 캐나다 한국전 휴전 기념일 행사 열려 - 캐나다 앨버타 주의사당 광장에서 간략하게 열려 CN드림 20.08.04.
219 캐나다 넬리 신 캐나다 연방국회의원, 캘거리 방문, 한인사회 주요 인사들과 첫 만남 가져 file CN드림 20.08.17.
218 캐나다 캐나다 에드먼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예외 카드 발급 - “증거 제출 없이 발부, 오용의 여지 있어” 우려 file CN드림 20.08.17.
217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스몰 비즈니스, 줄줄이 문 닫았다. - 경제 전문가들, “자영업, 고난은 지금부터” CN드림 20.08.17.
216 캐나다 코비드가 강타한 취약계층 - 유색인종 실업률 백인보다 두배 이상 높아 CN드림 20.08.17.
215 미국 코로나19의 기세, 광복절 기념행사는 꺾지 못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8.22.
214 캐나다 캐나다인 절반, ‘올해는 인생 최악의 해’ - 젊은층은 더 비관적으로 생각 CN드림 20.08.26.
213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시민들 25%, 코로나 규제 지나치게 엄격 - 주수상 코로나 대처 만족도도 51%로 떨어져 CN드림 20.08.26.
212 미국 한국 입국 외국인 코로나19 확진자에 강경 대응 코리아위클리.. 20.08.30.
211 미국 "플로리다의 미래, 우리가 결정하자" file 코리아위클리.. 20.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