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한인 고객들로 붐비는 LA 한인타운의 한 일본 생활용품점이 지난 18일 한산한 모습이다.(미주 중앙일보)

 

LA 뉴욕 한인회 중심 확산

밴쿠버·토론토 계획 없어

일부 단체 관계자 일본입장 대변

 

일본 아베 정부가 평화헌법 개헌을 통해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가 되기 위한 의석확보와 떨어지던 아베 총리의 지지도를 만회하려는 듯 한국 경제의 근간인 반도체 핵심 재료 수출 규제를 하면서 한국에서 들불처럼 번진 일본상품 불매운동이 태평양 건너 미국 한인사회까지 번졌지만 캐나다는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미국에서는 LA와 뉴욕 등 한인사회 중심 도시의 한인회가 주축이 돼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LA한인회는 일본 정부 행태를 미 의회에 알리겠다며 서명 캠페인을 벌이는 등 적극적이다. LA한인회(회장 로라 전) 는 ‘일본 정부의 한국 수출규제 사태에 대한 우리의 대응’이라는 입장문을 22일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일본 정부가 전범국가로서 진정한 반성없이 위안부, 독도 등의 명백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오히려 왜곡하고 있음에 우리는 분노한다”고 밝혔다.

 

미주 최대 한인여성들의 커뮤니티인 미씨 USA 사이트에도 일본산 불매운동에 대한 주제가 오르고 있고, 일부 사이트는 불매 운동을 돕기 위해 일본 브랜드들을 알려주고 있다. 또 휴스턴에서는 유학생들 중심으로 SNS를 통해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등 미국 곳곳에서 다양한 계층의 한인들이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 밴쿠버 한인회나 토론토 한인회는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또 밴쿠버의 대표적인 유학생 사이트나 한인 페이스북 사이트 등에서도 이와 같은 움직임은 전혀 없는 상황이다.

 

밴쿠버 지역에서 일부 한인 인사들이 일본 브랜드 맥주 안 마시기 등 개인차원의 불매 운동을 하고 있지만 아직 조직적인 운동은 없는 상황이다.

 

한국과 일본 정부간 민감한 사안에 대해 갈등이 해외로까지 확전될 민간 차원의 불매운동을 해야 하는 지, 또 해외 복합문화사회 속에서 문제해결보다 서로 반목을 해야 할 지에 대해서는 차분하게 논의할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부 한인들은 마치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듯하거나 현 정부가 민간인의 일제 징용 배상 등으로 오히려 문제를 야기했다며 일본 편에 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미 유엔총회에서 반인륜범죄공소시효 배제조약이 1968년 11월 26일 총회결의를 한 바 있다. 그런데 현재 친일 발언을 하는 인사들은 1965년 한일수교 때 일본 강점기에 있었던 모든 반인륜적 행위에 대해 사죄나 보상이 이미 끝난 사안이라던지, 노무현 정부 때도 합의한 사항이라고 주장을 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배상은 516 쿠테타 세력 중심의 공화당 정권의 굴욕외교로 이미 물건너 갔지만 민간 차원의 배상 청구권은 살아 있고, 박근혜 정부 때도 확인된 사실이다. 이번 대법원 판결도 개인의 배상 청구권에 관한 사항이다.

 

하지만 민족적 역사의식보다 편협한 파벌주의로 한민족의 공통된 이익을 폄훼하고 손상시키는 인사들의 말에 동조하며, 오히려 한국 정부를 비난하는 일부 밴쿠버 한인단체 관계자들로 인해 밴쿠버 한인사회에서 불매 운동을 할 지 여부에 대해 논의조차 꺼내기도 힘든 상황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17 캐나다 랭리 올해 첫 총격 살인사건 기록 밴쿠버중앙일.. 20.02.15.
4516 캐나다 총영사관 개설 50주년, 전체 한인 사회를 아우르는 행사들 준비 밴쿠버중앙일.. 20.02.15.
4515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한글학교 교사·교장 초청연수 모집 중 밴쿠버중앙일.. 20.02.15.
4514 캐나다 북미의 무한한 제설제 시장을 강타할 친환경 청년 기업-‘스타스테크’ 양승찬 대표 밴쿠버중앙일.. 20.02.15.
4513 미국 미국 무역적자 6년만에 110억 달러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20.02.17.
4512 미국 트럼프 대통령 국정연설 “경제.안보 등에서 전례없는 성취” 코리아위클리.. 20.02.17.
4511 미국 작년 미 ‘국내 테러’, 1995년 이후 사망자 가장 많이 나와 코리아위클리.. 20.02.17.
4510 미국 운전대·백미러 없는 택배용 자율주행차 미국 첫 승인 코리아위클리.. 20.02.17.
4509 미국 올랜도 임대료 상승률 전국 9위 코리아위클리.. 20.02.17.
4508 미국 107세에 빨간색 메르세데스 몰고 다닌다 코리아위클리.. 20.02.17.
4507 캐나다 앨버타 주 에드먼튼 오일& 가스의 분야 일자리, 4,200개 늘어...실업률은 여전히 전국 최고 수준 기록 CN드림 20.02.19.
4506 캐나다 주정부, 마리화나 전자담배 판매 허용 CN드림 20.02.19.
4505 캐나다 루수(Lu Xu) 중국 총영사 에드먼튼 방문...차이나타운 돌아보며 상인들 격려 CN드림 20.02.19.
4504 캐나다 테러리스트 라몬드 캘거리로 이송...사회복귀 훈련시설에서 형기 마치면 석방 CN드림 20.02.19.
4503 캐나다 캐나다 농업 단체, CUSMA 비준 촉구...캐나다 농가에 유리하나 보호무역 정서 조심할 필요 CN드림 20.02.19.
4502 캐나다 에드먼튼 스타트 업 회사 두 곳, NASA에 자사제품 납품할 수도 CN드림 20.02.19.
4501 캐나다 앨버타 보건부, 후베이성 여행자들에 자체 격리 촉구...앨버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위험 여전히 낮아 CN드림 20.02.19.
4500 캐나다 봄바디어, 상용기 이어 열차 제작도 매각 밴쿠버중앙일.. 20.02.19.
4499 캐나다 플레어 에어 애보츠포드 포기한다 밴쿠버중앙일.. 20.02.19.
4498 캐나다 65% BC주 부모, 비싼 집값 자녀세대 외곽 이사 가야 밴쿠버중앙일.. 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