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한인 고객들로 붐비는 LA 한인타운의 한 일본 생활용품점이 지난 18일 한산한 모습이다.(미주 중앙일보)

 

LA 뉴욕 한인회 중심 확산

밴쿠버·토론토 계획 없어

일부 단체 관계자 일본입장 대변

 

일본 아베 정부가 평화헌법 개헌을 통해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가 되기 위한 의석확보와 떨어지던 아베 총리의 지지도를 만회하려는 듯 한국 경제의 근간인 반도체 핵심 재료 수출 규제를 하면서 한국에서 들불처럼 번진 일본상품 불매운동이 태평양 건너 미국 한인사회까지 번졌지만 캐나다는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미국에서는 LA와 뉴욕 등 한인사회 중심 도시의 한인회가 주축이 돼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LA한인회는 일본 정부 행태를 미 의회에 알리겠다며 서명 캠페인을 벌이는 등 적극적이다. LA한인회(회장 로라 전) 는 ‘일본 정부의 한국 수출규제 사태에 대한 우리의 대응’이라는 입장문을 22일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일본 정부가 전범국가로서 진정한 반성없이 위안부, 독도 등의 명백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오히려 왜곡하고 있음에 우리는 분노한다”고 밝혔다.

 

미주 최대 한인여성들의 커뮤니티인 미씨 USA 사이트에도 일본산 불매운동에 대한 주제가 오르고 있고, 일부 사이트는 불매 운동을 돕기 위해 일본 브랜드들을 알려주고 있다. 또 휴스턴에서는 유학생들 중심으로 SNS를 통해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등 미국 곳곳에서 다양한 계층의 한인들이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 밴쿠버 한인회나 토론토 한인회는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또 밴쿠버의 대표적인 유학생 사이트나 한인 페이스북 사이트 등에서도 이와 같은 움직임은 전혀 없는 상황이다.

 

밴쿠버 지역에서 일부 한인 인사들이 일본 브랜드 맥주 안 마시기 등 개인차원의 불매 운동을 하고 있지만 아직 조직적인 운동은 없는 상황이다.

 

한국과 일본 정부간 민감한 사안에 대해 갈등이 해외로까지 확전될 민간 차원의 불매운동을 해야 하는 지, 또 해외 복합문화사회 속에서 문제해결보다 서로 반목을 해야 할 지에 대해서는 차분하게 논의할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부 한인들은 마치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듯하거나 현 정부가 민간인의 일제 징용 배상 등으로 오히려 문제를 야기했다며 일본 편에 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미 유엔총회에서 반인륜범죄공소시효 배제조약이 1968년 11월 26일 총회결의를 한 바 있다. 그런데 현재 친일 발언을 하는 인사들은 1965년 한일수교 때 일본 강점기에 있었던 모든 반인륜적 행위에 대해 사죄나 보상이 이미 끝난 사안이라던지, 노무현 정부 때도 합의한 사항이라고 주장을 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배상은 516 쿠테타 세력 중심의 공화당 정권의 굴욕외교로 이미 물건너 갔지만 민간 차원의 배상 청구권은 살아 있고, 박근혜 정부 때도 확인된 사실이다. 이번 대법원 판결도 개인의 배상 청구권에 관한 사항이다.

 

하지만 민족적 역사의식보다 편협한 파벌주의로 한민족의 공통된 이익을 폄훼하고 손상시키는 인사들의 말에 동조하며, 오히려 한국 정부를 비난하는 일부 밴쿠버 한인단체 관계자들로 인해 밴쿠버 한인사회에서 불매 운동을 할 지 여부에 대해 논의조차 꺼내기도 힘든 상황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37 캐나다 여객기로 밴쿠버 온 코로나 환자 주변 승객 역학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20.02.26.
5036 캐나다 앨버타, 의과 대학에서부터 의사 조력 자살 준비...환자와의 어떻게 대화하는지가 시작 포인트 CN드림 20.02.25.
5035 캐나다 케니 주 수상 “원주민 시위 앨버타 경제 위협한다”...캐나다 원유 할인율 높아질 수도 있어 CN드림 20.02.25.
5034 캐나다 웨스트젯, 유럽노선 수하물 요금 인상...첫 번째 수하물 60불, 두 번째 수하물 90불로 올라 CN드림 20.02.25.
5033 캐나다 핀처크릭의 호텔, 화재로 사라져...100년 전통의 역사적인 건물 CN드림 20.02.25.
5032 캐나다 에드먼튼 풋볼팀 에스키모스, 팀 이름 그대로...1년에 걸친 원주민과의 논의 결과 유지 결정 CN드림 20.02.25.
5031 캐나다 앨버타 독감 시즌, 아직 안 끝났다...독감 환자 지속적인 증가 보여 CN드림 20.02.25.
5030 캐나다 에드먼튼, 도로 제한 속도 시민 의견 듣는다...도시 모든 주거 지역 40km/h 변경도 제안 CN드림 20.02.25.
5029 캐나다 작년 캐나다 시민권 취득 한국 국적자 3350명 탄생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8 캐나다 BC주 코로나19 감염자 1명 추가...6명 감염자 나와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7 캐나다 가사분담은 잘 이루어지고 있나요?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6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이후 무엇이 바뀌었나?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5 미국 NASA, 화성에서 발견한 구덩이에 학계 관신 집중! “설마 용암 동굴?” 호주브레이크.. 20.02.24.
5024 미국 “당신이 미국의 기생충”… 美언론 ‘기생충’ 연일 비판 트럼프 성토 호주브레이크.. 20.02.23.
5023 캐나다 한국산 삼계탕 간편식, 캐나다 첫 수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2 캐나다 2017/18 학년도 캐나다 유학생 중 한인 2%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1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임시직 행정직원 채용 중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0 캐나다 65% BC주 부모, 비싼 집값 자녀세대 외곽 이사 가야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9 캐나다 플레어 에어 애보츠포드 포기한다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8 캐나다 봄바디어, 상용기 이어 열차 제작도 매각 밴쿠버중앙일.. 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