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간염1).jpg

전 세계에 2억 5700만 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자가 있으며 그 중 매년 88만7천명 이상의 사람들이 간경변증이나 간암 같은 B형 간염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사진출처: 세계보건기구 WHO

NSW 보건당국, 이민자 커뮤니티 리더들에게 B형 간염 적극 대응 당부

 

매년 7월28일은 <세계 간염의 날(World Hepatitis Day)>이다. 지난해부터 B형 간염 캠페인을 적극 이어오고 있는 NSW주 보건당국이 7월22-28일 한 주간을 간염 홍보주간으로 정하고, NSW 전역의 한국 교민들에게 B형 간염 검사 및 치료, 예방에 대한 행동을 적극 홍보하고 나섰다. 또한 한인 커뮤니티 리더들에게도 캠페인에 앞장서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지난 주말 NSW 보건당국이 <2019 세계 간염의 날>을 맞아 본지에 홍보를 요청해온 보도 자료를 정리 소개한다. [편집자 주]

 

MHAHS(Multicultural HIV and Hepatitis Service) 보건당국의 <B형 간염을 안고 살고 있습니까? 찾아서 검사 받으세요 - Are you living with hepatitis B? Find Out. Get tested> 캠페인과 관련하여 이스트우드에 있는 호주호스피스협회의 (Australian Association of Cancer Care Incorporated) 김장대 목사는 최근 한국 교민들과 함께 포커스 그룹 협의를 통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김 목사는 “B형 간염은 간암 등의 질병들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간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검사 등의 필요한 조치들을 취하고, 만약 B형 간염 보균이 발견되었다면, 의사에게 말하고 주기적으로 적합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간단한 행동들로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간암은 호주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암 사망 원인이다. 호주 국립센터에 따르면 2016년에 호주에서 약230,034 명의 사람들이 만성B형 간염에 감염 되었는데, 이 중 83,812 명이 NSW 주에 거주한다. 만성B형 간염은 불균형적으로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다양한(이하 CALD라 칭함 - 편집자 주) 배경의 사람들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태평양, 중동, 지중해나 아프리카 등 B형 간염이 흔한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들에 큰 영향을 미친다.

 

김 목사는 B형 간염은 연대 책임이며 캠페인의 성공은 주민들의 리더십과 협력에 달렸다고 말한다. “모든 사람이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CALD 배경의 사람들을 돌보는 보건 진료 전문가들은 B형 간염은 CALD 배경의 사람들에게서 더 자주 발견되며 종종 증상이 없어 심각한 간 손상이 벌어진 다음에야 알게 된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알려야 합니다. 반면에, CALD 배경의 사람들은 B형 간염 확인을 위해 의사에게 혈액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김 목사는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들이 B형 간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알아야 할 사항들과 취할 수 있는 행동 리스트를 배포했다.

• B형 간염은 CALD 사회에서 흔히 발견된다.

• 만성B형 간염은 간암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가장 흔한 B형 간염 감염은 출산 시 어머니에게서 유전된다.

• B형 간염 검사를 받자. 만약 감염되었다면 간암을 예방할 치료법들이 있다.

• 만약 B형 간염에 걸렸다면 주기적 검사와 치료 방법들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라.

 

B형 간염과 캠페인에 관한 더욱 자세한 정보는 www.mhahs.org.au 에서 얻을 수 있다. B형 간염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거나 (호주에서는 의사와 나눈 모든 대화는 비밀이 보장됨) 1800 803 990의 간염 직통전화로 통화할 수 있다. 전화 통역을 원하면 먼저 131 450으로 전화하면 된다.

 

종합(간염2).png

2016년의 통계에 따르면 호주에 약 23만 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이 있었는데 환자 중 약 40%가 자신이 환자인지도 모르고 있다.

사진: Hepatis NSW 보건당국

 

B형 간염에 대하여

‘간염’이란 간의 염증을 뜻하며 대부분 바이러스가 그 원인이다. A형, B형, C형 등 간염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B형 간염이 의심된다면 의사에게 검사와 치료에 관한 자문을 구하라. 단순한 혈액검사만으로도 B형 간염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들은 지역의 성 건강 진료소에서 우선 진행대상으로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익명성이 보장되며 메디케어 카드 또한 필요하지 않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추산에 따르면 전 세계에 2억5700만 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자가 있으며 그 중 매년 88만7천명 이상의 사람들이 간경변증이나 간암 같은 B형 간염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2016년 통계에 따르면 호주에 약 230,034 명의 만성B형 간염 환자들이 있었으며 NSW 주에만 약 83,812 명이 있었다. 만성 B형 간염 환자 중 약 40%가 자신이 환자인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B형 간염은 감염성 혈액이나 체액에의 노출로 전염된다. 바이러스는 손을 잡거나 식기도구나 컵 등의 공유, 키스, 포옹, 기침, 재채기, 모유 등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

 

MHAHS (Multicultural HIV and Hepatitis Service)

정부기관인 Sydney Local Health District에 소속된 MHAHS(Multicultural HIV and Hepatitis Service)는 20개 이상의 다른 언어적 배경을 가진 직원들이 B형 간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02) 9515 1234번으로 MHASH에 연락할 수 있다.

 

  • |
  1. 종합(간염1).jpg (File Size:86.7KB/Download:17)
  2. 종합(간염2).png (File Size:137.5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63 호주 ‘크로닉’ 등으로 이름 붙인 합성 마약 사용, 크게 확대 호주한국신문 15.01.22.
2562 호주 호주 주택가격, 전 세계 최고 수준 근접 호주한국신문 15.01.22.
2561 호주 배어드 주 수상, ‘음주법’ 변경 계획 없어... 호주한국신문 15.01.22.
2560 호주 인니 당국, 호주 ‘발리 나인’ 2명 사형 연기 검토 호주한국신문 15.01.22.
2559 호주 달링 포인트 소재 하우스, 2천500만 달러에 판매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8 호주 최고 전통 ‘한인친선배구대회’ 재개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7 호주 HSC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식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6 호주 캔터베리 카운슬러 회의장에 경찰 출동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5 호주 호주,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최저치’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4 호주 “만성 통증 호주인들, 진통 위해 마약 사용...”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3 호주 NSW 노동당, “정부 전력회사 수익 삭감”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2 호주 ‘에보카 칼리지’ 교육과정 논란, 우려 커져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1 호주 시드니 지역 43개 카운슬 등, 세율 인상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1.29.
2550 호주 “인질사건 연방 정부 심의, 검시관 독립성 방해...” 우려 호주한국신문 15.01.29.
2549 호주 인니 대통령, “발리 나인 사형수 감형 없다” 호주한국신문 15.01.29.
2548 호주 호주 출신 IS 지하디스트, ‘야지디’ 여성 성노예로 호주한국신문 15.01.29.
2547 호주 조랑말 타고 시드니까지 1천 킬로미터 여행한 9살 소년 이야기 호주한국신문 15.01.29.
2546 호주 월드 옥타, 엄주인 시드니지회장 취임 호주한국신문 15.02.05.
2545 호주 토로이 그랜트 NSW 부수상, 캠시 방문 호주한국신문 15.02.05.
2544 호주 베어드 주 수상, “연방 정부 능력 의심 안해...” 호주한국신문 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