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 요원, 비즈니스 재산세 사태 재발 가능성

뉴 아레나 프로젝트 승인 시 재원마련 방안 논란

 

 

news_img1_1565648133.jpg

(사진: 캘거리 헤럴드, 글렌다 콜 캘거리 시 매니저) 

 

캘거리 시가 6천만 달러의 예산을 줄이기 위한 계획이 시의회에서 통과되면서 캘거리 시민들은 줄어 든 공공 서비스로 인해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예산이 대폭 줄어 든 경찰, 소방, 트랜짓 서비스의 축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문으로 긴축 정책의 영향이 번져 나갈 것으로 보인다.


캘거리 시 글렌다 콜 매니저는 “시민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불편이 가장 적은 서비스부터 줄여 나가는 방향을 선택했다. 또한, 시 공무원들의 직업 안정성도 충분히 고려되었다”라고 밝혔다. 
그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예산 삭감으로 인해 시의 일자리 200여 개와 48개 부처의 일부 서비스가 줄어 들어 시민들은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콜 매니저는 “올 해와 마찬가지로 내년이나 그 이후에도 긴축 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캘거리의 경제 회복이 더뎌질 경우 세수 부족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밝혀 이번 긴축 정책이 시작 단계임을 인정했다. 
시 수석 재무 책임자 칼라 매일 씨는 “캘거리 시의 현 예산 사이클로 볼 대 3% 이상의 재산세 인상이 필요하지만 시의회는 시로 하여금 1.5%, 또는 동결 수준을 원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사실상 예산 삭감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시는 추가 긴축 정책을 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넨시 시장은 “시민들의 불편과 시의 일자리 축소를 피할 수 있는 보다 나은 방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캘거리 시는 현재 정규직과 계약직 공무원 14,410명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화요일부터 이번 긴축 정책에 따른 해고 절차를 진행하고 있지만 최종 해고 일자는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캘거리 트랜짓은 예산 감축으로 인해 8만 시간의 서비스가 줄어 들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짓은 이에 따른 배차시간 및 노선 조정을 오는 9월 2일부터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원주민 지원 프로그램, 기부변화 예산 등도 대폭 삭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예산 삭감 조치는 빙산의 일각이며 시민들이 겪는 불편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입을 모았다. 사태의 근본 원인인 다운타운 오피스 빌딩의 자산가치 하락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캘거리의 경기 회복이 지연될 경우 비즈니스 재산세 파동이 재발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캘거리 플레임즈 뉴 아레나 프로젝트가 승인될 경우 시가 부담해야 하는 재원 마련은 결국 재산세 인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최근 캘거리 시민들은 세금 인상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며 조세 저항을 보이고 있어 캘거리 시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은 자체 예산 삭감을 통한 긴축 재정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캘거리 시의 지속적인 공공 서비스 축소로 이어지게 될 전망이다. (서덕수 기자)

  • |
  1. 3.jpg (File Size:35.0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97 캐나다 코로나19 전체 사망자 하룻사이 100명 발생 밴쿠버중앙일.. 20.02.14.
4996 캐나다 캐나다 한인 온라인 사기꾼 아이폰 유혹 밴쿠버중앙일.. 20.02.14.
4995 캐나다 캐나다군 잠수함 지난해 물에 들어간 시간이... 밴쿠버중앙일.. 20.02.14.
4994 캐나다 2019년 한국국적 새 영주권자 6110명, 북한 국적자도 1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0.02.13.
4993 캐나다 백안의 한국독립운동가 스코필드박사 기념관 개관 밴쿠버중앙일.. 20.02.13.
4992 캐나다 세계 코로나 사망자 1천명 돌파 밴쿠버중앙일.. 20.02.13.
4991 캐나다 "한국-캐나다 경제무역 협력 잠재력 풍부하다" 밴쿠버중앙일.. 20.02.13.
4990 캐나다 12월 전국 건축허가액 전달대비 7.4% 급증 밴쿠버중앙일.. 20.02.13.
4989 캐나다 캐나다 언론도 주목한 기생충 오스카 수상 밴쿠버중앙일.. 20.02.12.
4988 캐나다 주말 밴쿠버시 트랜스마운틴 공사 반대 시위 밴쿠버중앙일.. 20.02.12.
4987 캐나다 네살 아이 두고 국경 너머 양육권 다툼 밴쿠버중앙일.. 20.02.12.
4986 캐나다 한국, 자가진단 앱 통해 내·외국인 모니터링 밴쿠버중앙일.. 20.02.12.
4985 캐나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캘거리 중국 커뮤니티 우려 _ 케니 주수상도 “외국인 혐오증 없어야” file CN드림 20.02.11.
4984 캐나다 에드먼튼, 신체활동 증진 캠페인 시작 _ 레크레이션 센터, 동물원 무료 입장일은 폐지 file CN드림 20.02.11.
4983 캐나다 앨버타, 국내 다른 지역보다 우한 폐렴 위험 낮아 _ 중국에서 오는 직항 노선 없어 file CN드림 20.02.11.
4982 캐나다 재외선거 유권자 신고, 신청 마감 1주일 앞으로 밴쿠버중앙일.. 20.02.11.
4981 캐나다 BC주 1월 실업률 전달대비 0.3%P 내린 4.5% 밴쿠버중앙일.. 20.02.11.
4980 캐나다 한국 유기물 쓰레기 건조처리 기술 투자 설명회 밴쿠버중앙일.. 20.02.11.
4979 캐나다 BC주 2명 2019-nCoV 추정환자 추가 발생..총 4명 밴쿠버중앙일.. 20.02.11.
4978 캐나다 밴쿠버 겨울올림픽 벌써 10년... 다양한 기념 행사 밴쿠버중앙일.. 2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