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ILDA 1).jpg

가계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주요 조사 연구 중 하나인 올해의 ‘HILDA’ 조사 결과 호주 전역에서 출퇴근 시간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멜번의 건설 노동자 폴(Paul)씨. 도심 북부에 거주하는 그는 특히 퇴근 무렵, 도로 정체가 심하다고 말한다.

 

 

‘Household Income and Labour Dynamics in Australia’ 보고서

 

 

 

호주 전역에서 직장 출퇴근 시간이 크게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호주 노동자들의 한 주(per week) 평균 출퇴근 시간은 4.5시간으로, 이는 지난 2002년에 비해 23%가 증가한 것이며 지역에 따라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는 이들도 높은 숫자로 집계됐다.

이는 호주의 가계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주요 조사 연구 중 하나인 ‘Household Income and Labour Dynamics in Australia’(HILDA) 조사를 통해 드러난 것으로, 지난 2001년 처음 시작된 ‘HILDA Survey’는 매년 전국 1만7천명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며, 이 보고서는 국가 경제 및 사회 상황을 분석하고 새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지난 7월 말 발표된 이번 조사 결과 시드니와 멜번(Melbourne)이 출퇴근 최악의 도시로 지목된 가운데 브리즈번(Brisbane) 또한 업무를 위한 이동시간 또한 점차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브리즈번은 최근 수년 사이 노동자들의 출퇴근 시간이 50% 이상이 늘어났다.

소요 시간의 변화로 볼 때는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가 출퇴근 시간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으로 집계됐으며, 호주 각 주(State) 가운데 소요 시간이 감소한 유일한 곳은 타스마니아(Tasmania)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처럼 노동자들의 일터 이동 시간이 늘어난 것은 인구 증가와 주택 가격 상승, 대중교통 시스템 악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멜번 소재 RMIT(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대학교 도시연구센터(Centre for Urban Research)의 토드 데넘(Todd Denham) 연구원은 “특히 주요 도시 외곽의 교통 인프라가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데넘 연구원은 이처럼 늘어난 출퇴근 시간은 다양한 개인적 문제와도 연결된다고 말한다. “더 많은 시간을 출퇴근에 매달려야 함으로써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또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 그는 또한 정부가 추진하는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가 자동차 도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중교통 시스템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직장 이동시간이 크게 늘어난 브리즈번의 한 지역에 거주하는 그레이엄 빙엄(Graham Bingham)씨는 부문별한 도시 확대(urban sprawl)로 특히 아침과 저녁 피크 시간대 상당한 교통체증을 경험한다면서 “도시 외곽으로 수많은 주택이 건설되었지만 도로 사정은 증가한 거주민들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2개월 이상을 매일 아침마다 주요 도로인 벨몬트(Belmont)의 모터웨이(motorway)에 진입하고자 하는 자동차들이 3차선 도로 위에 1킬로미터 이상 줄을 서는 교통지옥 상황을 보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승용차로 인한 도로 정체에 대해 많은 이들은 대중교통 시스템이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말하지만 멜번의 건설 노동자인 폴(Paul)씨는 “이것이 교통 스트레스를 덜어주지는 못한다”고 말한다. “멜번 북부에서 도심까지의 기차 소요 시간은 50분이지만 퇴근 시간대의 대중교통은 악몽이 되곤 한다”는 것이다.

멜번 북부에서 자동차를 운전해 이동하면 30분여분 만에 도심에 이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새벽 5시에 집을 나서야 한다. 업무를 마치고 퇴근할 때는 상황이 다르다. 사람들로 혼잡한 기차를 피해 자동차를 갖고 이동하는 경우 퇴근시간은 1시간30분 이상이 걸린다.

 

길어진 출퇴근 시간,

노동자들도 ‘불행’

 

이번 HILDA 보고서의 출퇴근 소요 시간 집계는 지난 2017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으며, 15세 이상 모든 직장인 및 재택근무자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늘어난 출퇴근 시간이 결국 직장을 바꾸려는 욕구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출퇴근 시간이 긴 직장인의 경우 임금, 업무 유연성 및 일에 대한 만족도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이들 가운데 19%는 설문조사에 최근 새 일자리를 찾았다고 답변했다.

그럼에도 각 도시의 많은 직장인들이 도로정체와 늘어난 출퇴근 시간의 고통을 피하지 못하고 몸으로 감수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말한다.

지난 수년 사이의 주택 가격 및 임대료 상승은 도시 거주자들을 주택 가격이 저렴하고 임대료가 낮은 도시 외곽으로 내몰았다. 결국 직장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고, 여기에 악화된 교통상황으로 업무를 위한 이동 시간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 통계적으로 2명의 자녀가 있는 가정의 남성 직장인 출퇴근 시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다.

그런가하면 일터까지의 먼 출퇴근 거리에도 불구하고 한적한 도시 외곽에서의 삶을 즐기는 이들도 있다. 2명의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멜번의 전기기술자 알렉스 그레이(Alex Gray)씨는 도심 동남쪽 100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한 와라굴(Warragul)에 자기 주택을 짓고 있다. 그는 거의 매일 멜번 도심 지역에서 일을 해야 하기에 한 주, 출퇴근 거리는 약 1천 킬로미터에 이른다.

그럼에도 그는 도심에서 먼 외곽에 거주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한다. “내가 좋아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은 내가 일하는 일터와 가까이 거주하는 것보다 가치가 있다”는 것이 그의 말이다.

이번 HILDA 조사에 따르면 특정 기술을 갖고 자기 일을 하는 이들, 또는 자영업 종사자의 경우 일터까지의 소요시간이 가장 길었다. 그레이씨는 고정된 직장으로 출퇴근 하는 사무직 노동자들은 대중교통 시스템이 좋아지면 출퇴근이 편해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차량들이 그만큼 도로를 채울 것이라고 말한다. 자신처럼 장비를 싣고 이동하야 하는 이들은 어쩔 수 없이 본인 차량을 운전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

데넘 연구원은 대중교통 인프라 보강이 길어진 출퇴근시간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대신 그는 도심 외곽 지역을 보다 매력적으로 개발하고 일자리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고속철도 프로젝트에 소요된 엄청난 투자금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며 “이 자금을 보다 역동적인 지역경제 개발과 일자리 창출에 지출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종합(HILDA 2).jpg

가계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주요 조사 연구 중 하나인 올해의 ‘HILDA’ 조사 결과 호주 전역에서 출퇴근 시간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멜번의 건설 노동자 폴(Paul)씨. 도심 북부에 거주하는 그는 특히 퇴근 무렵, 도로 정체가 심하다고 말한다.

 

1일 평균 출퇴근 소요 시간(minutes)

(지역 : 2002년/2005년/2008년/2011년/2014년/2017년(minutes)/변화율(%)

Sydney : 61 / 65 / 70 / 65 / 71 / 71 / 17%

Rest of New South Wales : 42 / 41 / 49 / 46 / 48 / 51 / 23%

Melbourne : 59 / 60 / 67 / 64 / 68 / 65 / 12%

Rest of Victoria : 36 / 38 / 51 / 48 / 46 / 46 / 26%

Brisbane : 46 / 55 / 56 / 63 / 62 / 67 / 45%

Rest of Queensland : 38 / 43 / 44 / 44 / 48 / 49 / 30%

Adelaide : 45 / 54 / 52 / 52 / 55 / 56 / 26%

Rest of South Australia : 29 / 35 / 30 / 34 / 36 / 42 / 43%

Perth : 50 / 50 / 57 / 56 / 59 / 59 / 19%

Rest of Western Australia : 26 / 44 / 36 / 39 / 40 / 43 / 65%

Tasmania : 43 / 47 / 41 / 43 / 44 / 42 / -2%

Northern Territory : 29 / 40 / 31 / 34 / 35 / 35 / 19%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 31 / 36 / 41 / 51 / 55 / 52 / 65%

Source: HILDA survey

 

직종별 출퇴근 시간 비율(minutes)

(구분 : 1시간 이내 / 1-2시간 소요 / 2시간 이상)

Managers : 49.9 / 30.4 / 19.7

Professionals : 46.5 / 33.3 / 20.2

Technicians and Trades Workers : 45.7 / 31.1 / 23.2

Community and Personal Service Workers : 59 / 26.1 / 14.9

Clerical and Administrative Workers : 50.8 / 30 / 19.2

Sales Workers : 67.8 / 21.9 / 10.3

Machinery Operators and Drivers : 59.4 / 26.1 / 14.5

Labourers : 61.3 / 22.5 / 16.2

Total : 52.7 / 29 / 18.3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HILDA 1).jpg (File Size:76.4KB/Download:22)
  2. 종합(HILDA 2).jpg (File Size:83.4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01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자주 위험에 처하는 해외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600 호주 가정폭력 문제 심각... 자살여성 5명 중 1명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9 호주 호주 여행 작가의 Tips and advice on travel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8 호주 이네웨스트 일부 구간, 향후 5년간 교통 혼잡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7 호주 시드니 일자리 ‘붐’... “교통 및 주택 가격에 압박 가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6 호주 “사람답게 살고자 탈북을 결심했고, 현재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5 뉴질랜드 20대 영국 관광객 ‘옹벽에서 추락해 치료 중 사망” NZ코리아포.. 17.11.12.
4594 뉴질랜드 손버릇 나쁜 좀도둑 "저혈당 때문에 사리분별 못했다?" NZ코리아포.. 17.11.12.
4593 뉴질랜드 부두 내달리던 5살짜리 남아, 바다로 추락해 익사 NZ코리아포.. 17.11.12.
4592 뉴질랜드 차에 치인 반려견, 치료 없이 방치해 죽게 만든 20대 NZ코리아포.. 17.11.12.
4591 뉴질랜드 경찰 추격받는 도주차량 월 평균 300여대, 경찰 사례분석 중 NZ코리아포.. 17.11.12.
4590 뉴질랜드 10m나 구른 트럭, 행운의 운전자는 별 부상 없어 NZ코리아포.. 17.11.12.
4589 뉴질랜드 지난 한해동안 606명 청소년 자살 NZ코리아포.. 17.11.13.
4588 뉴질랜드 전기 자동차, 뉴질랜드 소비자 신뢰도 점점 높아져 NZ코리아포.. 17.11.13.
4587 뉴질랜드 “사람들 공격하는 까치, 이유는?” NZ코리아포.. 17.11.13.
4586 뉴질랜드 좌초된 범고래 살리고자 발벗고 나선 주민들 NZ코리아포.. 17.11.13.
4585 뉴질랜드 세계보건기구 WHO, 항생제 올바로 알기 주간 정해 NZ코리아포.. 17.11.15.
4584 뉴질랜드 스타일리스트 국제대회에서 최고상 받은 키위들 NZ코리아포.. 17.11.15.
4583 뉴질랜드 군인들까지 동원된 좌초된 범고래 살리기 성공해 NZ코리아포.. 17.11.15.
4582 뉴질랜드 뉴질랜드와 호주, 난민 수용에 대한 대담 나눠 NZ코리아포.. 17.11.15.
4581 뉴질랜드 내년도 임금 상승 기대, 소비 활동 늘어날 것으로... NZ코리아포.. 17.11.15.
4580 뉴질랜드 아던 총리, 대북한 제재 국사적 아닌 모든 방법 동원해야... NZ코리아포.. 17.11.15.
4579 뉴질랜드 공중에 떠 있는 식당이 오클랜드에서 선보인다. NZ코리아포.. 17.11.16.
4578 뉴질랜드 후진하던 차에 치인 한 살배기, 극적으로 목숨 건져 NZ코리아포.. 17.11.16.
4577 뉴질랜드 마오리 하카 공연단, 내년 4월 북한에서 있을 문화 축제에 방문 계획. NZ코리아포.. 17.11.16.
4576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주택매매 지난 한 해 동안 하락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7.11.16.
457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거래 둔화 속 낙찰 가격 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4 호주 NSW 주 정부, 지역사회 언어학교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3 호주 ‘Sydney Modern’ 새 프로젝트, 최종 디자인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2 호주 전 세계 100대 ‘스마트 도시’에 호주 4개 도시 랭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1 호주 호주, 중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국가’ 부동의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0 호주 호주 비즈니스 여건, “지난 20년 이래 ‘최상’의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9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8 호주 시드니 도심 ‘마틴 플레이스’, ‘실리콘 플레이스’로 변모?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7 호주 ‘Cash-poor’ 백만장자들의 소비 경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6 호주 호주 ‘사커루’, 지역-대륙간 PO 끝에 러시아 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5 호주 시드니 문화예술 공간 대규모 보수공사... 각 단체들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4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에 케닐리 전 NSW 주 총리 도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3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찬성’ 61.6%...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2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법안 승인까지의 단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1 뉴질랜드 키위 어린이들, 불링이 가장 큰 고민거리 NZ코리아포.. 17.11.20.
4560 뉴질랜드 키위들이 갈망하는 직업은 어떤 직종일까? NZ코리아포.. 17.11.20.
4559 뉴질랜드 의도적인 공항보안 검색 회피 여성, 7편의 항공 연기돼 NZ코리아포.. 17.11.20.
4558 뉴질랜드 아시안 관광객 타우포에서 온천욕 하다 숨져... NZ코리아포.. 17.11.21.
4557 뉴질랜드 뉴질랜드, 2024년부터 3년간 무상 대학 교육 제도 도입. NZ코리아포.. 17.11.22.
4556 뉴질랜드 내년도 경제는 둔화되지만 후년의 경제는 바빠질 걸로 예상. NZ코리아포.. 17.11.22.
4555 뉴질랜드 10월까지 연간 이민자 7만2천명 입국, 중국 출신이 가장 많아 NZ코리아포.. 17.11.23.
4554 뉴질랜드 한국, NZ 남자농구 “예측 불가의 맞대결 펼친다” NZ코리아포.. 17.11.23.
4553 뉴질랜드 뉴질랜드 15세 학생들 그룹 스터디에서 세계 10대 안에 들어. NZ코리아포.. 17.11.23.
4552 뉴질랜드 뉴질랜드 찾는 방문객 수 최근 5년 동안 계속해서 기록 갱신. NZ코리아포.. 1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