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입국비자 1).jpg

관광이 각 국가별로 주요 산업이 되면서 해외여행자 유치를 위해 입국 비자를 면제하거나 전자비자 시스템으로 편의를 확대해 나가는 추세이다. 사진은 두바이 공항(Dubai airport) Terminal 2에서 운영 중인 e-gate

 

전 세계 10개 국가, 추가로 무비자-전자비자 및 전자여권 활용 가능

 

전 세계 여행자들이 크게 증가하면서 관광업은 각 국가의 주요 산업이 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국가별로 여행자들의 편의를 위해 서로 비자(VISA) 취득 없이 자유로운 왕래를 허용해 나가고 있다.

런던(London) 기반의 글로벌 이민 컨설팅 사인 ‘Henley & Partners’의 올해 각 국가별 ‘Passport Power’를 보면 호주는 무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가 181개 국으로 전세계 순위에서 열 번째를 차지한다.

1위는 190개 국가와 협정을 맺고 있는 일본이고, 한국은 189개 국가로 2위, 미국은 186개 국가로 6위에 올라 있다. 한국의 여권 파워가 호주나 미국 보다 우위에 있는 것이 흥미롭다.

단기 여행자를 위한 무비자 입국 허용은 각 국가별 협의를 통해 이루어지며, 점차 많은 국가들이 자국에 대한 관광객 확보를 위해 비자 규정을 완화하거나 전자비자(e-visa) 또는 비자면제를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아울러 여행자들이 현지에 체류할 수 있는 체류 허용기간도 연장하는 추세이다.

호주 또한 각국과의 협의를 통해 국민들의 해외여행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최근 시드니 모닝 헤럴드의 여행 섹션인 ‘Traveller’는 올해부터 호주인들이 보다 간편하게 입국하거나 더 오래 체류할 수 있도록 새롭게 추가된 국가들을 소개했다.

 

▲ 브라질 : 지난 6월 17일부터 브라질을 방문하는 호주인들은 사전에 브라질 입국비자를 받지 않아도 된다.

▲ 중국 : 중국은 최근 비자면제 정책을 확대했으며 해외여행자들이 중국 내 도시에 더 오래 머물도록 하고 있다. 중국을 여행하는 호주인은 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난징 등의 대도시에 입국하는 경우 사전에 비자를 받지 않고 방문할 수 있으며 최대 144시간 동안 체류할 수 있다. 비자면제로 입국하는 경우 이 체류기간(144시간) 내에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향하는 항공권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 이집트 : 호주 여행자들에게 1회 또는 복수 입국이 가능한 전자비자(e-visa)를 제공하고 있다.

▲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로 들어가는 주요 관문인 Addis Ababa Bole International Airport를 통해 입국하는 호주인들에게는 공항에서 30일간 체류할 수 있는 전자비자를 제공하며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 90일 체류 가능한 비자를 얻을 수 있다.

▲ 인도 : 전자비자 시스템을 확대하고 비자유효 기간도 크게 연장했다. 인도 여행 전자비자는 승인일로부터 1년간 유효하다. 또 이 기간 내 여러 차례 출입국이 가능하며 한번 입국하면 90일까지 체류할 수 있다.

▲ 카자흐스탄 : 비자면제 협정으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며 최대 30일까지 체류할 수 있다.

▲ 키르기스스탄 : 무비자로 입국, 최대 60일까지 여행이 가능하다.

▲ 마다가스카르 : 전 세계 방문자가 늘어나면서 전자비자 시스템을 갖추었다. 호주인들은 관광 목적으로 최대 90일까지 체류가 가능하며, 정해진 기간 내 여러 차례 출입국할 수도 있다.

▲ 스리랑카 : 올해 이스터 선데이(Easter Sunday)의 테러로 인해 해외에서 방문하는 여행자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호주를 포한, 여러 국가에 무비자 입국을 허용했다. 관광의 경우 최대 30일간 체류할 수 있다.

▲ 우즈베키스탄 : 호주 여행자에게는 더 이상 비자를 요구하지 않는다. 무비자로 입국, 30일간 여행을 즐길 수 있다.

 

2019년 전 세계 ‘여권 파워’ Top 10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 수)

1. Japan : 190

2. South Korea, Singapore : 189

3. France, Germany : 188

4. Denmark, Finland, Italy Sweden : 187

5. Luxembourg, Spain : 186

6. Austria, Netherlands, Norway, Portugal, Switzerland, UK and US : 186

7. Belgium, Canada, Greece, Ireland : 184

8. Czech Republic : 183

9. Malta : 182

10. Australia, Iceland, New Zealand : 181

(Source : Henley & Partners)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입국비자 1).jpg (File Size:71.0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51 호주 케닐리 6년만의 컴백…‘케’다르크 일까? ‘레드 버블’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0 뉴질랜드 뉴질랜드 찾는 방문객 수 최근 5년 동안 계속해서 기록 갱신. NZ코리아포.. 17.11.23.
2249 뉴질랜드 뉴질랜드 15세 학생들 그룹 스터디에서 세계 10대 안에 들어. NZ코리아포.. 17.11.23.
2248 뉴질랜드 한국, NZ 남자농구 “예측 불가의 맞대결 펼친다” NZ코리아포.. 17.11.23.
2247 뉴질랜드 10월까지 연간 이민자 7만2천명 입국, 중국 출신이 가장 많아 NZ코리아포.. 17.11.23.
2246 뉴질랜드 내년도 경제는 둔화되지만 후년의 경제는 바빠질 걸로 예상. NZ코리아포.. 17.11.22.
2245 뉴질랜드 뉴질랜드, 2024년부터 3년간 무상 대학 교육 제도 도입. NZ코리아포.. 17.11.22.
2244 뉴질랜드 아시안 관광객 타우포에서 온천욕 하다 숨져... NZ코리아포.. 17.11.21.
2243 뉴질랜드 의도적인 공항보안 검색 회피 여성, 7편의 항공 연기돼 NZ코리아포.. 17.11.20.
2242 뉴질랜드 키위들이 갈망하는 직업은 어떤 직종일까? NZ코리아포.. 17.11.20.
2241 뉴질랜드 키위 어린이들, 불링이 가장 큰 고민거리 NZ코리아포.. 17.11.20.
2240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법안 승인까지의 단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9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찬성’ 61.6%...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8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에 케닐리 전 NSW 주 총리 도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7 호주 시드니 문화예술 공간 대규모 보수공사... 각 단체들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6 호주 호주 ‘사커루’, 지역-대륙간 PO 끝에 러시아 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5 호주 ‘Cash-poor’ 백만장자들의 소비 경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4 호주 시드니 도심 ‘마틴 플레이스’, ‘실리콘 플레이스’로 변모?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3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2 호주 호주 비즈니스 여건, “지난 20년 이래 ‘최상’의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1 호주 호주, 중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국가’ 부동의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30 호주 전 세계 100대 ‘스마트 도시’에 호주 4개 도시 랭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29 호주 ‘Sydney Modern’ 새 프로젝트, 최종 디자인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28 호주 NSW 주 정부, 지역사회 언어학교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2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거래 둔화 속 낙찰 가격 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2226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주택매매 지난 한 해 동안 하락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7.11.16.
2225 뉴질랜드 마오리 하카 공연단, 내년 4월 북한에서 있을 문화 축제에 방문 계획. NZ코리아포.. 17.11.16.
2224 뉴질랜드 후진하던 차에 치인 한 살배기, 극적으로 목숨 건져 NZ코리아포.. 17.11.16.
2223 뉴질랜드 공중에 떠 있는 식당이 오클랜드에서 선보인다. NZ코리아포.. 17.11.16.
2222 뉴질랜드 아던 총리, 대북한 제재 국사적 아닌 모든 방법 동원해야... NZ코리아포.. 17.11.15.
2221 뉴질랜드 내년도 임금 상승 기대, 소비 활동 늘어날 것으로... NZ코리아포.. 17.11.15.
2220 뉴질랜드 뉴질랜드와 호주, 난민 수용에 대한 대담 나눠 NZ코리아포.. 17.11.15.
2219 뉴질랜드 군인들까지 동원된 좌초된 범고래 살리기 성공해 NZ코리아포.. 17.11.15.
2218 뉴질랜드 스타일리스트 국제대회에서 최고상 받은 키위들 NZ코리아포.. 17.11.15.
2217 뉴질랜드 세계보건기구 WHO, 항생제 올바로 알기 주간 정해 NZ코리아포.. 17.11.15.
2216 뉴질랜드 좌초된 범고래 살리고자 발벗고 나선 주민들 NZ코리아포.. 17.11.13.
2215 뉴질랜드 “사람들 공격하는 까치, 이유는?” NZ코리아포.. 17.11.13.
2214 뉴질랜드 전기 자동차, 뉴질랜드 소비자 신뢰도 점점 높아져 NZ코리아포.. 17.11.13.
2213 뉴질랜드 지난 한해동안 606명 청소년 자살 NZ코리아포.. 17.11.13.
2212 뉴질랜드 10m나 구른 트럭, 행운의 운전자는 별 부상 없어 NZ코리아포.. 17.11.12.
2211 뉴질랜드 경찰 추격받는 도주차량 월 평균 300여대, 경찰 사례분석 중 NZ코리아포.. 17.11.12.
2210 뉴질랜드 차에 치인 반려견, 치료 없이 방치해 죽게 만든 20대 NZ코리아포.. 17.11.12.
2209 뉴질랜드 부두 내달리던 5살짜리 남아, 바다로 추락해 익사 NZ코리아포.. 17.11.12.
2208 뉴질랜드 손버릇 나쁜 좀도둑 "저혈당 때문에 사리분별 못했다?" NZ코리아포.. 17.11.12.
2207 뉴질랜드 20대 영국 관광객 ‘옹벽에서 추락해 치료 중 사망” NZ코리아포.. 17.11.12.
2206 호주 “사람답게 살고자 탈북을 결심했고, 현재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2205 호주 시드니 일자리 ‘붐’... “교통 및 주택 가격에 압박 가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2204 호주 이네웨스트 일부 구간, 향후 5년간 교통 혼잡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2203 호주 호주 여행 작가의 Tips and advice on travel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2202 호주 가정폭력 문제 심각... 자살여성 5명 중 1명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