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싱크탱크 프레이저 연구소, 中의 개입이 홍콩 자유 경제 위협 경고

 

1.png

▲캐나다 싱크탱크 프레이저 연구소(Fraser Institute)의 2019년 세계 자유 경제 순위에서 홍콩을 1위로 선정했다. (사진=scmp)

 

올해 홍콩이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경제 국가 및 지역 1위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싱크탱크는 홍콩 관할 문제에 지속적인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인하여 자유 경제 지위가 위협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캐나다 싱크탱크 프레이저 연구소(Fraser Institute)의 2019년 세계 자유 경제 순위에서 홍콩을 1위로 선정했다. 싱가포르, 뉴질랜드, 스위스, 미국 ,아일랜드, 영국, 캐나다, 호주, 모리셔스가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은 113위를 차지했다.

 

프레이저 연구소는 “홍콩은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경제 관할 지역으로 나타났지만, 홍콩 민주주의 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 등 중국 정부가 홍콩 사안에 지속적으로 개입하고 있어, 평등과 자유를 보장하는 홍콩 법치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중국의 개입은 홍콩의 자유로운 경제 지위를 위협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프레이저 연구소는 지난 2017년에도 중국 정부의 개입을 이유로 유사한 경고를 한 바 있었다.

 

홍콩 정부는 이번 순위 결과에 대하여 기쁘다고 밝히는 한편 프레이저 연구소가 홍콩의 법치에 대하여 비객관적이고 근거 없는 의견이라며 반박했다. 홍콩 정부 대변인은 “최근 일렬의 사건들에서 시위대가 평화적 방법이 아닌 폭력적 수단에 의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홍콩 경찰들이 도시 질서와 법을 유지하기 위해 합법적으로 물리적 힘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는 무고한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폭력적 양상을 막고 서로가 차이를 해결하고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열린 대화를 유지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대변인은 “홍콩은 1997년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 미니헌법인 기본법에 따라 고도 높은 자치권과 ‘홍콩 시민들이 홍콩을 운영한다’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기본법에 따라 홍콩의 인권과 자유가 확보되었으며 지금까지 일국양제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왔다”고 말했다.

 

프레이저 연구소는 개인 선택의 자유도, 시장 진입 능력, 개인 소유 자산의 보호, 법치 등 162가지 영역에 따라 경제 자유 수준을 측정한다. 올해 순위에는 일본 17위, 독일 20위, 이탈리아 46위, 프랑스 50위, 멕시쿄 76위, 인도 79위, 러시아 85위, 브라질 120위로 선정되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png (File Size:807.1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15 홍콩 8월 부동산 거래, 4월 이후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14 홍콩 홍콩 ‘글로벌 혁신 지수’ 2단계 올라 11위에 안착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13 홍콩 THE 세계 대학 순위, 홍콩 대학들 ‘엇갈린 성적표’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12 홍콩 홍콩, 코백스 가입…Covid-19 백신 확보에 뛰어들어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11 홍콩 현금 선호하는 홍콩, ‘현금 없는 사회’ 가속화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10 홍콩 “Covid-19에도 홍콩 투자자들 낙관론 우세” file 위클리홍콩 20.09.08.
60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8 홍콩 해외 투자자, 홍콩 부동산 시장 ‘비관’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7 홍콩 HSBC 은행, 11월부터 26종 은행 수수료 폐지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6 홍콩 식품안전에 대한 경각심 높아져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5 홍콩 항공업계, 이색 서비스로 Covid-19 불황 극복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4 홍콩 Covid-19 확산에 전 세계 미술업계도 시름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3 홍콩 중추절 명절 분위기 가라앉아…월병 수요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0.09.15.
602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22.
601 홍콩 겨울 앞두고 코비드19 재확산 가능성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9.22.
600 홍콩 신선 제품 가게 호황… 소매 업종별 양극화 심화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99 홍콩 정부 보조 유치원 46%, 학비 인상…대부분 10% 미만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98 홍콩 홍콩 학교, 정치 불안·Covid-19로 자퇴 학생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97 홍콩 Covid-19 사태 이후, 우버 운전사 오히려 늘어 file 위클리홍콩 20.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