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해당국가가 없는 경우, 기타에 올려주세요. (5회이상 등록시 카테고리별도 부여)


736쪽 방대한 분량..수백편 사료문헌 뒷받침

“식민사관, 동북공정 가짜역사 발본색원해야”

 

 

Newsroh=로담/爐談 newsroh@gmail.com

 

 

동이증보판내사진함께.jpg

 

 

‘우리 민족의 참역사 회복, 언제까지 방관할텐가.’

 

재미사학자 김태영(69 金泰瑛 미국명 폴 김) 박사가 필생의 역작 <동이배달한민족사> 개정증보판을 발행해 비상한 관심이 일고 있다.

 

김태영 박사는 최근 출간한 동이배달한민족사 개정증보판(세계출판사) 130권을 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을 포함, 전국 4년제 대학 도서관에 전달했다.

 

무려 736쪽의 방대한 분량인 동이배달한민족사는 김태영 박사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우리 민족의 상고사를 규명하기 위해 반세기에 걸쳐 연구하고 발굴한 사서와 기록, 자료, 지도를 토대로 엮었다. 김박사는 지난 2013년 초판을 발간한 이후 보다 많은 이들이 우리 역사에 다가갈 수 있도록 어려운 어휘들을 다듬고 적잖은 자료들을 보완해 지난 5월 탈고를 마쳤다.

 

지난해부터 한국의 한 대학에서 동양사를 연구하고 있는 김태영 박사는 ‘글로벌웹진’ 뉴스로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몇 편의 논문을 작성하면서 동이배달한민족사의 개정증보판을 서두르게 되었다”고 말했다.

 

초판과 증보판의 차이점은 크게 3가지로 우선, 본문의 한자를 과감하게 삭제하였고, 원문을 각주 처리하여 읽기 편하게 하였으며, 갈석산, 패수, 압록수, 요동과 요서 등의 많은 양을 보강하였다. 이 책의 참고문헌만 해도 한국 지나(支那 중국) 일본 영국 미국 등 5개국 300종에 달한다.

 

김태영 박사는 “초판을 읽고 넘치는 서평을 해주신 독자도 있고 책을 읽고 나니 공중에 붕 뜨는 기분이라고 독후감을 진솔하게 알려준 독자도 있었다. 왜곡으로 점철된 한민족사의 정립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라고 희망했다.

 

그는 “일제가 왜곡 날조 말살한 식민사학의 노예가 된 강단사학이 해방 70년이 지나도록 바른 민족사로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뜻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재야사학이라는 이름으로 동이배달한민족사를 밝히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영 박사가 우리 민족의 참역사를 규명할 수 있었던 것은 현존하는 거의 모든 역사서, 지리서들을 독파하고 교차확인하는 독특한 검증방식 덕분이다. 가령 지나와 일본의 역사서들이 그들의 시각대로 기록돼 있다 해도 동시대를 기록한 복수의 문헌들을 비교 분석하면 객관적으로 확인되는 사실들이 나오는 것이다.

 

김태영 박사는 “우리 역사의 가장 큰 문제는 단군조선을 비롯, 고구려, 백제, 신라, 대진, 그리고 고려의 자랑스런 옛 민족사가 한반도에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는 점이다. 중원대륙의 산서성(山西省)에 우리 민족의 모든 자연지형과 지리지명들은 지나의 문헌들에 명명백백하게 있는 사실이다. 왜 있는 것도 믿지 않고, 찾으려하지 않을까”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하(夏)나라 우공이 9주를 나눌 때 기주(冀州)가 산서성이고, 황하의 동쪽인 하동(河東)이 산서성이고, 고죽국이 산서성에 있었다. 고죽국의 두왕자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캐먹다 죽었다는 수양산이 오늘날의 중조산으로 산서성에 있고, 고구려의 땅이 고죽국이었다고 <수서>, <구당서>, <신당서>를 찾아보니 압록수(마자수, 대요수, 소요수, 염난수)가 산서성에 있더라. 그뿐인가. 요수(압록수)가 발원하는 요산(遼山)은 산서성에 있고, 국내성, 평양성, 안시성이 모두 산서성에 있으며, 고구려가 요동이요, 요동이 산서성이며, 패수가 산서성에 있고, 갈석산이 산서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영 박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진실을 모르는 것은 우선 방대한 1차사료와 문헌자료들을 읽지도 않고 선입관과 고정관념, 왜곡 날조된 일제식민사학에 세뇌되어 부화뇌동한 얼빠진 사학자들 때문이고 역사 문제의식이 부족한 언론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태영 박사는 “왜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들은 역사적 사실과 진리를 의도적으로 외면하면서 취한 사람처럼 정신을 못 차리는가. 참된 민족사를 집필하지 않더라도 왜곡으로 점철된 동이배달한민족사의 진실은 밝혀야 하지 않겠는가. 참된 학자라면 말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금까지 약 3만7천권의 책을 연구했다는 김 박사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독서는 계속될 것이다. 독서를 많이 한 사람이라면 역사학이 모든 학문의 근간(根幹)임에 동의할 것이다. 다방면의 독서로 인한 정보수집 뿐만 아니라 예리한 통찰력, 직관 그리고 식견의 향상이 왜곡으로 점철된 동이배달한민족사(東夷倍達韓民族史)의 진실을 규명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고 털어놓았다.

 

현재 ‘글로벌웹진’ 뉴스로에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를 연재하는 김태영 박사는 저서로 <동이배달한민족사>, <폴김의 영어 한마디>, <한자는 동이배달한민족의 글자다>가 있다. 논문으로 「高句麗의 遼東 遼西 位置에 대한 小考」, 「高句麗의 鴨綠水 位置 硏究」, 「浿水의 位置 硏究」. 「碣石山의 位置 硏究」, 「奉天通志의 冀州와 1次史料와의 比較 考察」, 「高句麗의 遼東 位置 硏究」, 「孤竹國 位置 硏究」, 「高句麗의 建國年代 比定 硏究」, 「幽州와 營州 位置 硏究」 등이 있다. 이밖에 유태인의 역사와 로마의 역사에 대한 단편적인 논문이 있다.

 

김태영박사는 올해말까지 본국에서 연구 활동을 마치고 내년초 자택이 있는 뉴욕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동이증보판표지사진.jpg

 

 

<꼬리뉴스>

 

‘동이배달한민족사’ 집필 후기

“민족사를 집필할 자격이 있는가?”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로 가야하고 노다지를 캐려면 금광을 찾아 금광산으로 가야하는 법이거늘, 단군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 대진, 그리고 고려의 자랑스런 옛 민족사의 중원이었던 지금의 산서성(山西省)에 모든 자연지형과 지리지명들이 있는데도 왜 믿지 못하고 찾으려하지 않을까. 우선 방대한 1차사료와 문헌자료들을 읽지도 않을뿐더러 선입관과 고정관념 그리고 왜곡 날조된 일제식민사학에 쇠뇌되어 부화뇌동한 얼빠진 사학자들 때문일 것이다.

 

하(夏)나라 우공이 9주를 나눌 때 기주(冀州)가 산서성이고, 황하의 동쪽인 하동(河東)이 산서성이고, 고죽국이 산서성에 있었고, 고죽국의 두왕자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캐먹다 죽었다는 수양산이 오늘날의 중조산으로 산서성에 있고, 고구려의 땅이 고죽국이었다고 수서, 구당서, 신당서가 외치고 있어 찾아보니 그 땅이 산서성이요, 압록수(마자수, 대요수, 소요수, 염난수)가 산서성에 있으며, 요수(압록수)가 발원하는 요산(遼山)이 산서성에 있고, 국내성, 평양성, 안시성이 모두 산서성에 있으며, 고구려가 요동이요, 요동이 산서성이며, 패수가 산서성에 있고, 갈석산이 산서성에 있는데, 왜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들은 역사적 사실과 진리를 의도적으로 외면하면서 취한 사람처럼 정신을 못 차리는가. 참된 민족사를 집필하지 않더라도 왜곡으로 점철된 동이배달한민족사의 진실은 밝혀야 하지 않겠는가. 참된 학자라면 말이다.

 

2018년 10월 20일(금) 단군학회에 高句麗의 遼東 遼西 位置에 대한 小考란 논문을 발표하고 학회지에 게재를 부탁하였으나 필자의 주장은 “논증을 위해 중요한 자료에 대해 왜곡하거나 축소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이유로 학회지에 실어줄 수 없다고 거절을 당하였다. 당시 필자가 제시한 1차사료와 문헌자료는 33종류였고 역사학자의 양심에서 왜곡하거나 축소한 점이 없었다. 이들의 심사평은 가소롭기 그지없다. 역사학의 기초사료인 사마천의 사기도 제대로 읽어보지 않았으면서 “사료를 왜곡하였다”느니, “기존학설을 비판하지 않고 자신의 논지를 전개하였다”느니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 한반도에 요동, 요서, 압록수, 패수, 갈석산, 한사군이 있다고 주장하는 엉터리를 학계의 통설이라 하고, 1차사료와 문헌 자료에 의해 밝힌 역사의 진실은 ‘재탕’이 아니기 때문에 게재할 수 없다는 말이다. 저자의 생각으로는 한반도에 있지도 않았던 지명들을 마치 한반도에 있었던 것처럼 날조한 것이 사료의 왜곡이고 축소라 주장한다.

 

한국의 현대사로 박사학위논문을 써 학위를 받은 사람이 한자로 기록된 4,022권의 방대한 25사를 어떻게 읽을 수 있겠는가. 그렇다고 지혜가 있는 것도 아닐진대. 논문이란 ‘의견을 논술하는 글’이고 ‘연구 결과를 발표한 글’로써 논자의 주장이 있어야하고, 독창성이 있어야하며, 설득력이 있고, 검증이 가능해야 하는바 남의 논문을 모아 짜깁기한 주장도 없고 독창성도 없는 다른 사람과 똑같은 소리를 하는 논문은 논문이고, 수많은 1차사료와 문헌자료에 근거하여 새로운 역사적 사실인 진리를 밝히는 것은 학술적이지 못하다니 어불성설이 아니고 무엇인가. 논문을 쓸 때는 반드시 1차사료나 문헌자료에 근거하여야 하고 남의 논문이나 단행본은 2차자료로 참고해야 함은 논문을 쓰는 학자라면 다 아는 기본이다. 자신이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상대방이 틀렸다고 평하는 것은 학자의 기본자세가 아니다. 자신이 연구한 분야가 아니면 함부로 비평하는 것이 아니라는 평범한 예의는 갖추어야 할 것이다.

 

동이배달한민족의 국조라 하는 단군왕검에서 유래된 단군을 취하여 이름붙인 ‘단군학회’가 분명할진대 단군도 식민반도사학의 철의 장막에는 별 수 없는 모양이다. 고구려가 망한지 1,351년이 지난 지금에도 역사학자란 사람들은 역사의 진실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오직 일신의 안위와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민족과 국가에 반역행위를 하고 있다. “사물의 이치가 드러나고 감추어지는 데는 때가 있으나 끝까지 숨겨지는 것은 없다.(時有顯晦理無終秘)”라 했다. 산서성에 단군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대진, 고려가 위치했었다는 역사적 진실이 반드시 밝혀지리라 믿는다. 수많은 1차사료와 문헌자료가 그렇게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마천은 궁형을 당하면서도 <사기>를 섰고, 좌구는 실명된 후 <국어>를 지었으며, 손빈은 발이 잘린 뒤에 <병법>을 썼고, 굴원은 추방당한 후 이소를, 한비는 감옥에 갇힌 후 <설난>과 <고분>을 지었는데 이들은 모두 울분과 분노 때문에 불후의 명작을 남긴 사람들이다. 망해가는 조국 초나라를 구하고자 홀로 외쳤건만 듣는 사람들이 없어 굴원은 “衆醉獨醒(사람들은 취해있는데 홀로 깨어있다)”라고 울부짖다가 결국 멱라강에 투신한 조국을 사랑했던 애국자 영웅... 언제쯤 이 땅에도 많은 굴원이 나타날까.

 

동이배달한민족사의 노다지와 잡아야할 호랑이가 바로 산서성에 있음을 만천하에 밝히면서, 지나와 일제의 역사 왜곡, 날조, 조작에 울분을 토하고 이 땅의 귀막고 입막고 눈가린 식민반도 역사학자들에게 분노를 느끼는 바이다.

 

 

<꼬꼬리뉴스>

 

“동해가 아니라 한국해, 동해 대응전략 바꿔야” 재미사학자 폴김박사 (2011.8.10.)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990#c_2854

 

 

  • |
  1. 동이증보판내사진함께.jpg (File Size:140.0KB/Download:115)
  2. 동이증보판표지사진.jpg (File Size:86.2KB/Download:10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 이미아, 한불친선콘서트 열두 번째 이야기 « 평화를 위한 비발디 »

    10월 1일 저녁 8시 샹젤리제 극장(Théâtre des Champs-Élysées)에서 “평화를 위한 비발디(Vivaldi pour la Paix dans le Monde)”콘서트가 열릴 예정이다. ‘에코드라코레’가 주최하는 한불친선 콘서트로 올해 12회를 맞이하여 세계 정상의 플루티스트 안드레아 그리미넬...

    이미아, 한불친선콘서트 열두 번째 이야기 « 평화를 위한 비발디 »
  • “남북미 민간교류 물꼬 틀어야죠” 이금주씨 file

    JNC TV 방북 이금주씨 인터뷰 사진과 동영상 北 생생한 모습 전해     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고려호텔 스카이라운지 <이하 사진 이금주씨 제공>     “북녘 동포들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북을 바로 아는 출발점입니다.”   지난 7월 31일부터 8월 7일까지 7박 8일 일정으로 평양, 개성, 판문점을 방문...

    “남북미 민간교류 물꼬 틀어야죠” 이금주씨
  • 김태영박사 동이배달한민족사 개정증보판 발간 file

    736쪽 방대한 분량..수백편 사료문헌 뒷받침 “식민사관, 동북공정 가짜역사 발본색원해야”     Newsroh=로담/爐談 newsroh@gmail.com         ‘우리 민족의 참역사 회복, 언제까지 방관할텐가.’   재미사학자 김태영(69 金泰瑛 미국명 폴 김) 박사가 필생의 역작 <동이배달한민족사> 개정증보판을 발행해 비상한 관심이 일고...

    김태영박사 동이배달한민족사 개정증보판 발간
  • 프랑스 유튜버로 변신한 안완기, 서금희 씨 부부

    프랑스에서 오랫동안 여행 가이드와 문화해설가로 활동해 온 안완기 씨, 한불문화교류협회를 이끌며 양국간 문화교류에 힘을 기울여 온 알고기획 서금희 부부가 최근 유튜버로 변신했다. 15년간 ‘알고가자 프랑스’라는 사이트를 통해 축적해온 프랑스의 다양한 컨텐츠를 기반으로 프랑스의 여행지 소개는 물론 ...

    프랑스 유튜버로 변신한 안완기, 서금희 씨 부부
  • 이완용 집에 불 지른 아버지, 만세운동 앞장선 두 아들

    [독립운동가와 후손들3] 홍재설과 두 아들 홍종욱-홍종엽, 그리고 후손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112년 만에 인정 받은 '거사' 일제의 야욕이 노골화 되던 대한제국 시대에 한 초급 장군이 있었다. 현재 군제의 준장에 해당하는 대한제국군 참장 홍재설이다. 1894년 7월 27일 시작된 갑오개혁으로 조선군이 '대...

    이완용 집에 불 지른 아버지, 만세운동 앞장선 두 아들
  • 한국 전통춤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안무가 안제현

    유럽을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안제현 안무가는 10월 8일 라 로셀에서 열리는 « Ici en Corée »페스티발에 참가한다. 안제현 안무가를 만나본다. ● 프랑스는 언제 오셨고 어떤 활동을 하시는지 2010년 프랑스로 이주하여 현재는 주프랑스 한국문화원과 Collège Janson de Sailly, Collège ...

    한국 전통춤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안무가 안제현
  •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 가수 솔비에서 화가 권지안으로…

    ■ 인터뷰 권지안 작가 ‘2019 라 뉘 블랑쉬’에서 K-아트 선보인다 솔비라는 이름의 유명 K-Pop 뮤지션에서 현대미술 작가로 변신한 권지안이 10월 5일 개최되는 ‘2019 라 뉘 블랑쉬 파리(La nuit blanche)에서 화려한 퍼포먼스 페인팅과 미디어아트를 선보인다. 가수, 배우, 화가 등 다양한 예술 분야를 ...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 가수 솔비에서 화가 권지안으로…
  • ‘블라디보스톡 문화수도 될 것’ file

    오성환 한국총영사 러언론 인터뷰         오성환 신임 주 블라디보스톡 한국총영사가 블라디보스톡 시청 청사로 올렉 구메뉵 블라디보스톡 시장을 예방하고 회담을 가졌다고 러시아 DV-로스 통신이 최근 소개했다.   DV-로스 통신은 오성환 총영사가 이 회담에서 러시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뿐 아니라 블라디보스톡 시를 ...

    ‘블라디보스톡 문화수도 될 것’
  • 환자복에 목발짚고..김경재씨 인터뷰 file

    ‘검찰개혁’ 촛불집회 화제     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독립운동을 하는 마음으로 나왔습니다.”   사상 최대의 촛불 집회가 열린 지난 5일 서초 사거리에 병원 환자복을 입고 목발을 짚은 50대 남성이 촛불시위에 참여해 화제다.   주인공은 김경재(56) 씨. 두달여전 교통사고로 성남의 한 병원에 입...

    환자복에 목발짚고..김경재씨 인터뷰
  • ‘북한은 아시아의 호랑이가 될수 있을까’ file

    러 발다이클럽 통신 이재영원장 인터뷰 ”비핵화와 경제개방시 성장 잠재력 엄청나“       러시아 발다이클럽 통신이 최근 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재영 원장과 한반도 긴장 극복 전망에 대해 인터뷰를 가졌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이재영 원장     - 한반도 긴장해소의 시기가 도래했는데 한반도 비핵화 전망은? 비...

    ‘북한은 아시아의 호랑이가 될수 있을까’
  • “불매운동 100일, 日역사왜곡 바로잡는 계기” 서경덕교수 file

      Newsroh=로담爐談 newsroh@gmail.com     일본의 역사왜곡(歷史歪曲)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는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지난 100일간의 일본 불매운동을 돌아보며 "일본의 역사왜곡을 바로 잡는 좋은 계기도 마련됐다"고 11일 밝혔다.   서경덕 교수는 "예전의 불매운동은 몇몇 시민단체가 먼저 주도했다면 이번 불매...

    “불매운동 100일, 日역사왜곡 바로잡는 계기” 서경덕교수
  • 한러커플 4남매 모스크바한국학교 졸업시킨 김원일대표 file

      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모스크바 한러커플’로 잘 알려진 김원일(53) 전 모스크바한인회장과 김 나탈리야(40) 고등경제대 교수의 4남매가 모스크바한국학교를 차례로 졸업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김원일-김나탈리야 부부는 최근 뜻깊은 행사를 치렀다. 모스크바한국학교에서 열린 모코스 페스티...

    한러커플 4남매 모스크바한국학교 졸업시킨 김원일대표
  • ‘모란’의 시인이 ‘독(毒)을 차고’ 일제에 항거한 이유

    ‘모란’의 시인이 ‘독(毒)을 차고’ 일제에 항거한 이유 [독립운동가와 해외 후손을 찾아서 4] 김영랑과 그의 셋째 아들 김현철   ▲ 전남 강진 영랑의 생가 안채. 본래는 기와집이었으나 강진군의 실수로 초가로 바뀌었다. ⓒ김현철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도처오...

    ‘모란’의 시인이 ‘독(毒)을 차고’ 일제에 항거한 이유
  • ‘IOC, 도쿄올림픽 전범기 금지하라“ 최윤희회장 file

    뉴욕한인학부모협회, 바흐위원장에 서한 ”방치하면 베를린올림픽 나치기 재현될 것“     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욱일전범기를 방치하면 1936년 나치기의 악몽이 재현될 것이다!”   일본전범기(욱일기) 퇴치운동에 앞장서온 뉴욕한인학부모협회(회장 최윤희)가 IOC(국제올림픽위원회)토마스 바흐 위원장...

    ‘IOC, 도쿄올림픽 전범기 금지하라“ 최윤희회장
  • “미주불자들 남북화합의 가교” 로창현대표 file

    뉴욕원각사 방북강연회     Newsroh=민병옥기자 newsroh@naver.com         “북녘 어디에나 명산고찰(名山古刹)이 있습니다. 미주동포 불자들이 남북화합의 가교(架橋)가 되길 바랍니다.”   미동부에서 가장 오래된 한국 사찰 뉴욕원각사에서 24일 ‘통일기러기’ 로창현 뉴스로 대표기자의 방북강연회가 열렸다. 이번 강연은 ...

    “미주불자들 남북화합의 가교” 로창현대표
  • 전해웅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 ''한국문화 확산의 전초기지로...''

    전해웅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은 지난 7월, 프랑스에 부임하기 전까지 예술의 전당에서만 30년을 일했다. 기획 단계에서부터 섭외와 진행에 이르기까지 예술의 전당 모든 프로젝트에 그의 손을 거치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경험만 풍부한 것이 아니라 탁월한 기획력을 인정 받았으며, 또한 예술기관이나 단체의 운영에 ...

    전해웅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 ''한국문화 확산의 전초기지로...''
  • 소설가 엘리자 슈아 뒤사팽 ''글쓰기는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

    프랑스와 스위스, 벨기에 등 불어권 나라에서 사는 한국인들을 찾아 이들의 작업 활동과 삶을 인터뷰하고자 한다. 대부분 예술계에 종사하는 이들로 현지인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만, 한국이나 재불한인들에게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기도 하다. 그 첫번째로 Elisa Shua Dusapin을 만났다. 올해 27세인 (1992년생)...

    소설가 엘리자 슈아 뒤사팽 ''글쓰기는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
  • 홍콩 의회 의원 – 사틴 지역 '진조양 구의원' file

      지난 11월 24일(일)에 구의원 선거가 뜨거운 관심 속에서 치러졌다.   18개 선거구에서 구의원 452명을 뽑는 선거로 홍콩 유권자 410만 명이 등록하여 거의 3백만 명 투표로 홍콩 역사상 최고 투표율 71.2%를 기록했다. 452명 구의원 중 우리 한국계 의원이 3명이나 당선이 되어 한인사회가 크게 기뻐하고 축하했다.   이...

    홍콩 의회 의원 – 사틴 지역 '진조양 구의원'
  • Korean Care Desk(The tied agency force of FWD Hong Kong) - ‘... file

    ▲ FWD Hong Kong Korean Care Desk의 언본재 본부장(Head-Korean Care Desk)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건들이 있다. 흔히, ‘의식주衣食住)가 기본적으로 인식되어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의식주만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아니다. 정해지지도 않게, 환영하지도 않는데 삶의 여정 속에서 ...

    Korean Care Desk(The tied agency force of FWD Hong Kong) - ‘언본재’ 본부장(Head-Korean Care Desk)
  • 강명구마라토너 새해 3대 대장정 file

    극동, 한라~백두, 베트남 종주     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인류 최초로 유라시아 대륙을 마라톤의 횡단한 강명구 울트라마라토너가 새해 야심찬 3가지 프로젝트에 도전한다.   강명구 마라토너는 18일 글로벌웹진 뉴스로와의 인터뷰에서 “2020년 새해를 맞아 백두에서 한라 통일 마라톤과 블라디보스...

    강명구마라토너 새해 3대 대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