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풀뿌리 평화통일 공공 외교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중국 광저우협의회(회장 허중식)는 9월 19일 중국 광저우건국호텔에서 제19기 출범식을 개최했다.

 

微信图片_20190923154316.jpg

 

이날 출범식에는 민주평통본부 이승환 사무처장, 주광저우총영사관 홍성욱 총영사, 중국지역회의 허남세 부의장, 민주평통본부 이창호 운영위원을 비롯한 화남연합회/광저우한국인상공회 이민재 회장, 선전한인(상공)회 정우영 회장, 동관한국(상공)인회 김기호 회장, 혜주한인(상공)회 손종수 회장 등  광저우 코트라 김우정 부관장, 관광공사 윤석구 지사장, 아시아나항공 박진우 지점장, 대한항공 손종국 지점장 외 내외빈 인사 및 자문위원, 약 100여 명이 참석했다.

 

微信图片_20190923132240.jpg

 

새롭게 출범한 광저우협의회 19기 허중식 회장은 개회사에서 “1919년 3.1 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2019년, 1919년에 이어 오늘 2019년 9월 19일, 19기가 출범하니 어찌 길일이 아닐 수 있겠습니까?”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국위선양과 대중국 관계 개선을 위해 풀뿌리 평화통일 공공 외교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습니다”라며 광저우협의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微信图片_20190923132313.jpg

 

이번 19기 민주평통 해외 자문위원은 124개국에서 3600명이 선발되었다. 그 중 광저우협의회는 71명으로 광저우, 선전, 동관, 혜주, 샤먼, 총칭, 청두, 구이양, 쿤밍 지역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앞으로 2년의 임기동안 찾아가는 통일교실, 화남지역 독립운동사 발굴지원, 통일 글짓기/사생대회, 통일 골든벨, 역사의식/평화통일의식 고취 등의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 라이프매거진

 

  • |
  • |
  1. 微信图片_20190923132313.jpg (File Size:146.7KB/Download:29)
  2. 微信图片_20190923132240.jpg (File Size:145.7KB/Download:28)
  3. 微信图片_20190923154316.jpg (File Size:285.1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6 홍콩 Covid-19 사태로 재조명받은 블루칼라의 열악한 근무환경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5 홍콩 홍콩 경제 성장 –6% ~ -8%로 또 하향 조정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4 홍콩 7월 상업 부동산 임대 계약 95%, 저렴한 외곽지역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3 홍콩 美, 홍콩산 제품 ‘메이드 인 차이나’ 표기 의무화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2 홍콩 공과금 과다 청구 횡포에도 불만 신고 ‘소극적’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1 홍콩 올해 대학 합격률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9 홍콩 고급 부동산 자산 처분하는 중국인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8 홍콩 비자 지연에 홍콩 취업 예정 외국인 ‘골머리 앓아’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7 홍콩 중소기업 42%, 정부 지원 없이 6개월 이상 생존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6 홍콩 상업 부동산, 담보인정비율 40% → 50%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5 홍콩 7월 실업률 6.1%, 상승세 꺾였지만 아직 안심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4 홍콩 바이러스 감염 우려에 헌혈자 발길 끊기자 ‘헌혈 동참 호소’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22 홍콩 홍콩 기업 82%, Covid-19 이후에도 재택근무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21 홍콩 미드랜드 홀딩스, 상반기 적자 기록…2016년 이후 최악의 성적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20 홍콩 홍콩 외국인 주재원, 2019년 실수령 급여 아시아에서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19 홍콩 국제학교, ESS 보조금 1.8억 홍콩달러 지급받아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18 홍콩 지난 7월, 기상청 기록 시작 이래 가장 더워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17 홍콩 Covid-19 장기화로 스포츠 업계도 비상 file 위클리홍콩 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