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문근영씨 기부로 시작, 호주 최대 한글 도서관으로 성장
현대·전통 아우르는 다채로운 공연 선보여

배우 문근영 씨가 기부한 1억원을 마중물로 시작된 '한글사랑 도서관' 10주년 기념 후원 음악회가 14일 시드니 북부 린필드 연합교회에서 열렸다.

린필드 연합교회 별관에 자리 잡은 '한글사랑 도서관'은 현재 1만 3천여권의 장서를 보유한 호주 최대의 한글 도서관이다.

'음악이 흐르는 도서관'이라는 주제 아래 열린 이날 행사는 동·서양은 물론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레퍼토리로 150여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줬다.

첫 순서는 맬컴 알러딩의 파이프 오르간 연주였다. 그는 바흐의 '그리스도 부활하셨네'(Christ ist erstanden)를 장중한 톤으로 연주해 부드럽고 깊은 여운을 남겼다.

이어 린필드 한국학교의 한상대 교장은 조두남의 '선구자'를 바리톤으로 불러 조국 독립을 위해 투쟁한 선열들의 꿈을 되새겼다.

하동준 피아니스트가 연주한 레오폴드 고도프스키의 '인터메조 멜린코니코'(Intermezzo Malinconico)는 맑고 시원한 시냇물이 흐르는 듯한 감흥을 줬다.

다음으로는 오리나 소프라노가 움츠린 마음을 폭죽처럼 터지게 하는 감동의 '넬라 판타지아'(Nella Fantasia)를 솔로로 노래했다.

오지아 어린이는 천진한 망아지가 뛰어다니는 듯한 경쾌한 첼로 곡으로 청중들을 흥겹게 했다.

정보영 첼리스트는 데이비드 포퍼의 '콘서트 폴로네이즈 Op.14'(Concert Polonaise, Op.14)를 화려하고 열정적으로 연주해 관객들의 환호를 받기도 했다.

음악 공연뿐 아니라 정채원, 유동규 학생은 각각 윤동주의 '아우의 인상화'와 이병철의 '한사람'을 또렷한 한국어 발음과 호소력 있는 감정으로 낭송함으로써 진한 감동을 주었다.

호주에서 활동하는 이우희 국악인은 '상사화'(드라마 '역적'의 OST) 대금 연주를 통해 격정적으로 터져 나오는 한(恨)의 정서를 온몸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 순서로 린필드 한국학교 6학년 학생 7명이 무대로 올라와 장구, 북, 소고를 치며 경기민요 '아리랑'을 부른 후, 방탄소년단(BTS)의 '아리랑'에 맞춰 군무를 춰 청중들의 우레와 같은 박수를 받았다.

음악회는 참석한 모든 사람이 '고향의 봄'을 합창함으로써 마무리됐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제니퍼 앤더슨 쿠링가이 시장은 축사를 통해 "이전에 한국 오페라 가수의 노래를 듣고 감동해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고 회고하면서 "'한글사랑 도서관'이 문화적 다양성을 위해 꾸준히 기여해온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홍상우 주시드니 총영사는 "교민 2세들이 영어와 함께 한국어도 잘한다면,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은 물론 개인적인 경쟁력 차원에서도 남다른 강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린필드 한국학교 합창단으로 참가한 최소림(11) 학생은 "호주에서 태어났지만 8년 동안 한국학교에 다녀서인지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익숙하다. 앞으로 '한글사랑 도서관'에서 좋은 책을 많이 빌려 읽고 싶다."고 말했다.

김동숙 도서관장은 "'한글사랑 도서관'은 문근영 씨와 많은 뜻있는 분들의 헌신으로 10년 동안 놀랍게 성장했다. 앞으로도 호주 사회에서 한글의 우수성과 한국 문화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장소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01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900 호주 기후-기상 관련 과학자들, 정치권에 ‘기후변화 행동’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9 호주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호주 국제교육산업도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8 호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개교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7 호주 호주 대학들, ‘Times Higher Education’ 평가 순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6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5 호주 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4 호주 부동산 시장 신뢰 회복으로 시드니 주택거래량,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해 첫 경매시장, 402채 등록-낙찰률 79.9%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2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1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4889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488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4887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6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4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3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2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1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8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7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6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4 뉴질랜드 2020년 한-뉴질랜드 참전용사 후손「비전캠프」개최 일요시사 20.02.05.
4873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4872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4871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호주 입국 금지…귀국 호주인도 2주 격리 조치 톱뉴스 20.02.04.
4870 호주 시드니 오틀랜즈 음주운전 참사에 지역 사회 ‘비분’ 톱뉴스 20.02.04.
4869 호주 호주 우한 폐렴 확진 환자, 1월30일 현재 7명으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8 호주 Australian Day가 아니라 침략의 날?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7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번에는 승용차와 충돌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6 호주 산불-우박 등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보상액, 20억 달러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5 호주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의 ‘구글’ 최다 검색어는 ‘산불’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4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여전...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3 호주 NSW 주 산불, 시드니 경제에 하루 최대 5천만 달러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2 호주 “극단적 기후 상황, 호주 정치 실패도 하나의 요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1 호주 호주 각 지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지명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0 호주 Now and then...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 부동산 시장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9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예비 구매자 주택 검색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8 호주 대학 새내기들의 집구하기- 시드니 각 대학 인근의 임대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7 호주 우한 폐렴, 호주에도 전파될까... 방역 당국 여행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6 호주 국가 총력전, 국민들도 나서서 “산불 피해 복구하자”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5 호주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상태, 관광산업에도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4 호주 잘 쉬는 사람이 업무능률도 좋다... 2020년 휴일 최대한 활용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3 호주 2019년 NSW 신생아 최다 이름은 ‘Oliver’와 ‘Charlott’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