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잊고 있던 정치적 꿈이 다시 살아난 것 같다”

‘2019 차세대 지도자 포럼’, 8개 주의 차세대와 기성세대 한마음

 

호주한인총연합회(회장 안영규)가 호주 전국의 한인 차세대 지도자들에게 정계진출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정치 지망생을 발굴 육성하기 위해 시행한 ‘2019 차세대 지도자 포럼’(Future Leaders Forum)이 성황리에 열렸다.

9월 7일 시드니한인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행사엔 호주 8개 주도의 차세대 43명과 전현직 한인회장 등 약 160명이 참석해 한인사회의 정계진출 실태와 개선점 등에 대한 8시간에 걸친 토론회를 진행했다.

주요 내외빈들의 한인사회 정계진출 방안에 대한 당부와 조언 그리고 격려가 쏟아지자 차세대 참석자들은 이날 포럼이 정계진출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일깨우고 잠재된 정치적 욕망을 자극하는 계기가 됐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엔 호주한인총연합회의 안영규 회장과 정현재 사무총장, 이백순 호주 대사, 홍상우 시드니총영사, 백승국 대양주한인회총연합회 회장, 이슬기 ACT 주의원, 피터김 라이드 시의원, 각 주의 전현직 한인회장과 한인단체장, 한국 지상사 대표자 등이 참석했다. 주류사회의 조디 맥케이 NSW 노동당 대표와 존 시도티 NSW 다문화부 장관 등도 참석했다.

이슬기 주의원과 스콧박 치과의사는 이날 오후 2시부터 4시 30분까지 차세대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연설 후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4시 30분부터 5시까지 네트워킹 형성을 위한 교류의 시간을 가진 후 5시부터 공식 행사가 시작됐다.

안 회장, 이백순 대사, 조디 맥케이 노동당 대표, 존 시도티 장관, 이슬기 주의원, 백승국 회장 등이 차례로 인사말과 축사를 전했다.

▶ “차세대 지도력 향상과 호주정치에 대한 관심 제고하길” = 안 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호주 정부에 한인사회를 알리고 차세대의 지도력 향상과 호주정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면서 “한인 정치인을 선출할 기회가 생긴다면 초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사는 “한인들의 호주 정치 참여 비율은 아주 저조하다. 현재 주의회에 한명의 의원만 있다”면서 "이를 개선하려면 한인들의 정치적 역량을 결집하고 강화할 수 있는 전국적 조직과 활동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차세대 지도자를 발굴 육성하고 호주와의 통합을 권장하는 이런 행사 개최는 바람직하다”면서 “한인사회가 한호 양국간 교량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호주정치에 활발히 참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인 밀집 지역 스트라스필드 지역구의 맥케이 의원은 "공동체를 위한 열정과 헌신과 의지를 갖고 있다면 그 어떤 것도 가능하다. 정치적 잠재력이 있는 한인 청년들을 위한 지지와 성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시도티 장관은 “우리는 모두 함께하고, 화합하고, 공통의 명분을 위해 모였다. 젊은이들은 NSW 다문화사회의 조화로운 건설과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포럼을 통해 오늘과 내일의 리더이자 목소리인 젊은이들이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강력한 힘이 있음을 인식시켜 달라”고 밝혔다.

 

▶ “이런 행사는 차세대를 지원하고 멘토링하는 매우 유익한 중심축” = 이슬기 의원은 “7년전 시드니한인회관에서 열린 후원의 밤에서 보여준 한인사회의 강력한 힘 덕분에 자신있게 선거에 출마할 수 있었다. 이런 행사는 차세대를 지원하고 멘토링하는 매우 유익한 중심축”이라며 차세대를 위해 희생한 부모님들께 감사의 뜻을 전했다.

백승국 회장은 “한인 1세대들의 헌신을 바탕으로 2-3세대들은 많은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다”면서 “포럼을 통해 많은 성과를 얻고 장밋빛 미래 발전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옥상두 한호정경포럼 회장, 크리스티나강 전 NSW 주총선 어번 지역구 후보, 정동철 변호사 등도 차세대들을 위한 의미있는 격려의 말을 전했다. 이 대사는 별도의 강연을 통해 그간 경험에 기반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치역량 강화와 한인사회 발전 방안을 전달했다.

 

▶ “주류 정치권 도전의 동기 유발을 위한 좋은 계기였다” = 평가 시간에 한인 청년 참석자들은 "이번 행사가 왜 주류 정치권에 도전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 유발을 위한 좋은 계기였다"고 입을 모았다.

시드니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는 한정태 씨는 "이날 행사를 통해 그동안 잊고 있던 정치적 꿈이 다시 살아난 것 같다. 일단 한인사회 봉사 활동에 참여하면서 차근차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민 1세대로 애들레이드에서 물리치료병원을 운영하는 윤진욱 씨는 "작년에 무작정 시의원 선거에 도전했다가 실패의 쓴맛을 봤는데, 오늘 행사가 큰 격려와 감동이 된다"고 말했다.

멜버른에서 아시아 국가 관련 컨설팅 서비스를 하는 알렉산더 이켈 씨는 "한인들의 정계 진출과 관련, 한인사회의 이익과 호주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경미 씨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정보영 조여진 첼로 듀엣이 영화 '타이타닉' 주제곡을 연주하고 김경혜 씨가 ‘뉴 아리랑’과 ‘꽃밭에서’ 노래를 선사해 참석자들의 갈채를 받기도 했다.

 

권상진 기자 editor@topnews.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01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900 호주 기후-기상 관련 과학자들, 정치권에 ‘기후변화 행동’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9 호주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호주 국제교육산업도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8 호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개교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7 호주 호주 대학들, ‘Times Higher Education’ 평가 순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6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5 호주 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4 호주 부동산 시장 신뢰 회복으로 시드니 주택거래량,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해 첫 경매시장, 402채 등록-낙찰률 79.9%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2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1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4889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488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4887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6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4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3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2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1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8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7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6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4 뉴질랜드 2020년 한-뉴질랜드 참전용사 후손「비전캠프」개최 일요시사 20.02.05.
4873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4872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4871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호주 입국 금지…귀국 호주인도 2주 격리 조치 톱뉴스 20.02.04.
4870 호주 시드니 오틀랜즈 음주운전 참사에 지역 사회 ‘비분’ 톱뉴스 20.02.04.
4869 호주 호주 우한 폐렴 확진 환자, 1월30일 현재 7명으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8 호주 Australian Day가 아니라 침략의 날?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7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번에는 승용차와 충돌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6 호주 산불-우박 등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보상액, 20억 달러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5 호주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의 ‘구글’ 최다 검색어는 ‘산불’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4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여전...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3 호주 NSW 주 산불, 시드니 경제에 하루 최대 5천만 달러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2 호주 “극단적 기후 상황, 호주 정치 실패도 하나의 요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1 호주 호주 각 지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지명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0 호주 Now and then...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 부동산 시장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9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예비 구매자 주택 검색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8 호주 대학 새내기들의 집구하기- 시드니 각 대학 인근의 임대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7 호주 우한 폐렴, 호주에도 전파될까... 방역 당국 여행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6 호주 국가 총력전, 국민들도 나서서 “산불 피해 복구하자”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5 호주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상태, 관광산업에도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4 호주 잘 쉬는 사람이 업무능률도 좋다... 2020년 휴일 최대한 활용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3 호주 2019년 NSW 신생아 최다 이름은 ‘Oliver’와 ‘Charlott’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