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중국 구매자 1).jpg

중국 당국의 자금 유출 규제로 주춤했던 중국인들의 호주 부동산 투자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중국 부동산 포털 ‘주와이’(Juwai) 조사 결과 중국 여행자들은 호주 여행에서 ‘부동산 쇼핑’을 하겠다는 답변이었다. 사진은 최근 중국인들의 투자 지역으로 부상한 골드코스트.

 

중국 부동산 포털 ‘Juwai’ 조사... ‘삶의 질-높은 투자 수익’으로 ‘관심’ 높아

 

호주 부동산 시장이 둔화되기 시작한 지난 2017년 중반기 이전까지 중국계 부동산 구매자들이 호주 부동산 가격 인상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공교롭게도 중국 공산당 정부가 자국 내 자금의 해외유출을 강력하게 단속하기 시작한 시점과 호주 부동산 시장이 침체로 접어든 시기가 거의 일치한다.

 

지난 5월 연방 선거에서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책을 선거 캠페인으로 내놓았던 자유-국민 연립 정부가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호주 부동산 시장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국의 글로벌 부동산 포털사이트인 ‘주와이’(Juwai)가 본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27%가 해외 부동산 시장 조사를 위한 여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호주에 대해 ‘(주택을) 쇼핑하기에 좋은 국가’라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와이 조사에서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호주 내 도시는 멜번과 시드니로 나타났으며 브리즈번(Brisbane)과 골드코스트(Gold Coast)가 뒤를 이었다.

주와이의 데이브 플래터(Dave Platter) 대변인은 “중국 본토 부동산 예비 구매자들이 호주 시장으로 돌아오면서 특히 골드코스트 부동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 2분기, 골드코스트 부동산에 대한 중국인들의 문의는 두 자릿수로 늘어났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플래터씨는 “최근 중국인들에게 주목을 받는 도시는 골드코스트”라면서 그 배경으로 “다른 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주 정부의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 중국인들이 쉽게 갈 수 있는 이점”을 꼽았다.

 

부동산(중국 구매자 1).jpg

중국 부동산 투자 열기가 쏠린 지역을 표시한 주와이의 통계 지도. (BBC 뉴스)

 

이번 설문 응답자의 49%는 지난 여름방학(7-8월) 기간 중 호주 여행을 했으며 42%는 국경절(National Day. 10월1일) 연휴, 29%는 설 연휴에 호주 여행을 계획한다는 답변이었다.

호주 부동산 구매를 위해 입국하는 중국인들은 지난 2016년 이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주와이 자체 조사 결과 최근 이들의 호주 방문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

플래터 대변인은 “퀸즐랜드 부동산 수요는 계절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며 “휴가 기간에 호주를 방문한 중국인 예비 구매자들이 ‘부동산 쇼핑’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인 여행자를 가득 태운 밴 차량들이 유명 부동산 현장으로 이끌고 있다는 게 그의 말이다.

그는 “중국인 여행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신축 부동산”이라며 “이는 호주의 외국인 투자 심사위원회(Foreign Investment Review Board. FIRB) 규정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플래터 대변인은 중국의 호주 여행자들이 부동산에 눈을 돌리는 것은, 이미 많은 이들이 신규 주택에 투자해 수익을 얻고 있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라는 말도 전했다.

 

플래터 대변인에 따르면 중국의 예비 구매자들은 신축 전 판매하는 ‘off-the-plan’의 품질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편이다. 다만 오프더플랜으로 판매하는 부동산을 어떤 개발회사가 진행하는가를 본다.

중국인들은 주거용 부동산 개발 경험이 많고 오래된 회사의 매물을 선호하며, 이런 회사들 가운데는 중국 출신 개발업자들도 있다.

그는 중국인들이 호주 부동산에 눈을 돌리는 이유에 대해 호주의 높은 삶의 질, 아시아 지역 국가와의 활발한 교류, 인기 여행지, 교육산업의 힘 때문으로 풀이했다. 플래터씨는 “호주의 고등교육 시설이 많은 중국 유학생을 끌어들이고 있다”면서 “중국인들이 호주 부동산을 구매하는 이유 중 하나는 호주에서 공부하는 유학생들이 거주할 집을 마련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동산(중국 구매자 3).jpg

한때 시드니 신규 주택 4채 중 1채는 중국인이 산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던 호주에 대한 중국 부동산 투자가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

 

골드코스트의 파라다이스 포인트(Paradise Point)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회사 ‘Alex Phillis Real Estate’ 사의 발 파킨(Val Parkin) 에이전트는 “FIRB가 승인한 아파트 목록에 대해 외국 구매자들로부터 많은 문의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상담하는 내용 중 절반이 FIRB 승인여부”라는 그는 “확실히 외국 구매자들이 돌아온 것 같다”면서 “실제로 지난달에만 5채의 부동산을 중국 구매자에게 판매했다”고 덧붙였다.

파킨 에이전트는 이어 “FIRB의 승인여부가 해외 구매자들에게는 큰 문제”라며 “반면 중국 구매자가 매입한 부동산은 10%내외의 수익을 얻고 있어 다른 중국인들에게 매력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앞서 올 상반기 실시한 주와이 조사에서는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퇴직 후 머물 부동산을 구매하려는 중국인 예비 구매자들이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에 따라 주와이 측은 자시의 사이트에 ‘퇴직자를 위한 부동산’ 검색 엔진을 추가하기도 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중국 구매자 1).jpg (File Size:107.4KB/Download:34)
  2. 부동산(중국 구매자 2).jpg (File Size:6.8KB/Download:41)
  3. 부동산(중국 구매자 3).jpg (File Size:94.3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01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900 호주 기후-기상 관련 과학자들, 정치권에 ‘기후변화 행동’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9 호주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호주 국제교육산업도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8 호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개교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7 호주 호주 대학들, ‘Times Higher Education’ 평가 순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6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5 호주 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4 호주 부동산 시장 신뢰 회복으로 시드니 주택거래량,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해 첫 경매시장, 402채 등록-낙찰률 79.9%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2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1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4889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488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4887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6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4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3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2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1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8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7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6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4 뉴질랜드 2020년 한-뉴질랜드 참전용사 후손「비전캠프」개최 일요시사 20.02.05.
4873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4872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4871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호주 입국 금지…귀국 호주인도 2주 격리 조치 톱뉴스 20.02.04.
4870 호주 시드니 오틀랜즈 음주운전 참사에 지역 사회 ‘비분’ 톱뉴스 20.02.04.
4869 호주 호주 우한 폐렴 확진 환자, 1월30일 현재 7명으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8 호주 Australian Day가 아니라 침략의 날?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7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번에는 승용차와 충돌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6 호주 산불-우박 등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보상액, 20억 달러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5 호주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의 ‘구글’ 최다 검색어는 ‘산불’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4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여전...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3 호주 NSW 주 산불, 시드니 경제에 하루 최대 5천만 달러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2 호주 “극단적 기후 상황, 호주 정치 실패도 하나의 요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1 호주 호주 각 지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지명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0 호주 Now and then...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 부동산 시장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9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예비 구매자 주택 검색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8 호주 대학 새내기들의 집구하기- 시드니 각 대학 인근의 임대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7 호주 우한 폐렴, 호주에도 전파될까... 방역 당국 여행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6 호주 국가 총력전, 국민들도 나서서 “산불 피해 복구하자”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5 호주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상태, 관광산업에도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4 호주 잘 쉬는 사람이 업무능률도 좋다... 2020년 휴일 최대한 활용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3 호주 2019년 NSW 신생아 최다 이름은 ‘Oliver’와 ‘Charlott’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