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iker 0).jpg

트레킹이 끝나갈 무렵, 로라는 늘 익숙했던(?), 가슴을 답답하게 했던 불안과 걱정이 다시금 꿈틀거리는 것을 깨달았다.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었던 모든 것, 사람들과의 관계와 빠듯한 회사 업무, 도시의 번잡함과 소음 속으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는 것 때문이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그런 것들을 견뎌내지 못할 것 같았다. 도시의 삶에서 자신이 밀려났다 해도 아무런 미련이 없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스스로 그런 삶에 어울린다고 여긴 적이 없었으므로. 그 순간, 머리를 스치는 생각. “맞아, 굳이 그런 삶을 살 필요는 없지.” [본문 중에서]

 

로라 워터스씨, 북섬에서 남섬까지 트레킹 후 ‘삶을 바꿀 용기’를 얻다

 

40대 중반의 나이, 좋지 못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로라 워터스(Laura Waters)씨는 무거운 스트레스와 벗어날 수 없는 불안감에 휩싸인 날들을 보내고 있었다. 그녀는 심호흡, 약물섭취 등을 통해 심적 압박을 벗어나고자 노력했으나 모든 게 허사였다.

그러던 중 로라는 트레킹 여행을 생각했다. 그 코스는 뉴질랜드, 북섬에서 남섬까지 ‘두 발로 걸어가기’ 였다. 스스로를 혹독한 환경에 버려두는 강력한 방법이라 생각했다. “진실로 내 삶을 ‘Control-Alt-Delete’(Ctrl-Alt-Del. PC 호환 시스템의 컴퓨터 키보드 명령으로, 컴퓨터를 재부팅할 때 이용하는 단축키) 하고, 삶의 나쁜 흔적들을 깨끗하게 지워버리고 싶었다”는 게 그녀의 말이다.

 

종합(Hiker 1).jpg

40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힘겨웠던 일상에 억눌렸던 한 여성이 장기간의 뉴질랜드 트레킹 여행을 통해 새로운 삶을 시작할 용기를 얻은 사연이 최근 ABC 전국 라디오 방송에서 소개돼 청취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사진 : Laura Waters)

 

이 모험을 떠나기 전에는 혼자서 캠핑을 해본 적이 없는 로라는 트레킹 여행 한 달 만에 스스로의 결정이 옳았음을 알게 됐다. 그녀는 “그 동안 내가 관계됐던 주변, 내가 속해 있던 사회로부터 스스로를 떼어놓음으로써 (나에게)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났다. 모든 것을 떨쳐내고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트레킹 코스는 상당히 위험했다.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심이 들기도 했지만 그녀는 끝내 계획했던 코스를 ‘다’ 걸었다. 그리고 호주로 돌아왔을 때, 로라는 자신의 삶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용기가 생겼음을 깨달았다.

 

최근 ABC 방송 전국 라디오인 RN은 멜번(Melbourne)에 거주하는 로라 워터스씨의 이야기를 소개, 청취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종합(Hiker 2).jpg

트레킹 여정 중 한 여행자 쉼터에서 휴식을 취하는 로라 워터스(Laura Waters)씨. (사진 : Laura Waters)

 

어떤 일이든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작은 교훈

 

그녀가 5개월에 걸쳐 걸은 길은 ‘Te Araroa’였다. ‘The Long Pathway’로 불리기도 하는 이 코스는 북섬 끝 케이프 링가(Cape Reinga)에서 남섬 끝 캠벨타운(Campbelltown)으로 불리는 블러프(Blaff)에 이르는 총 3천 킬로미터(1,900마일)의 장거리 트레일 이다.

 

로라는 이 코스에 대해 “말 그대로 긴 트레일이었을 뿐이며 거기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면서 ‘Bewildered’를 지날 당시에 대해서는 “단지 끝없는 해변의 모래와 파도 그리고 바닷새들만 있었다”고 회상했다.

도시의 번잡함, 그 속에서 과도한 자극에 시달렸던 그녀는 그러나 그런 풍경 속에 있다는 것에서 행복감을 느꼈다. 혼돈이 없다는 것은 규칙이 없다는 것과 같았다.

하루 종일 걸어도 말을 거는 사람 하나 없었고 캠프장에는 물을 받을 수도꼭지도 없었다. 그럼에도 마음은 편했다, 기분이 내키는 대로 백팩 배낭을 내려놓고는 텐트를 세웠다.

그녀는 “거기서 큰 자유를 얻은 느낌이었다”고 말한다.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작은 타운을 지나며 사람들을 만났다. 그녀는 스스로가 사람들로부터 고립되는 것에 걱정이 들지 않았다. 다만 트레일의 지형은 편하지 않았다. 트랙은 매우 거칠었고 때로는 길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종합(Hiker 3).jpg

그녀가 선택한 뉴질랜드 횡단 코스는 ‘The Long Pathway’로 불리기도 하는 ‘Te Araroa’였다. ‘The Long Pathway’로 불리기도 하는 이 코스는 북섬 끝 케이프 링가(Cape Reinga)에서 남섬 끝 캠벨타운(Campbelltown)으로 불리는 블러프(Blaff)에 이르는 총 3천 킬로미터(1,900마일)의 트레일이다. 산악지대를 걷고 있는 로라 워터스씨. (사진 : Laura Waters)

 

종합(Hiker 4).jpg

트레킹을 하는 동안만큼은 도시에서의 생활이 주는 갖가지 스트레스, 심적 불안감을 떨쳐낼 수 있었다는 게 워터스씨의 말이다. 사진은 랑기타타 강(Rangitata River)을 건너고 있는 워터스씨. (사진 : Laura Waters)

 

종합(Hiker 5).jpg

북섬 서쪽, Ninety Mile Beach에서의 워터스씨(사진). 하루 종일 걸어도 마주치는 사람을 볼 수 없는 경우가 허다했지만 그녀는 마음이 편했다고 말했다. (사진 : Laura Waters)

 

그녀에 앞서 몇 주 먼저 출발했던 한 트래커가 절벽 길을 걷다가 180미터 아래로 추락해 사망했다는 소식도 들었다. 사람들은 말했다. “뉴질랜드에서는 항상 그렇다. 호주에서의 트레킹과는 다르다”고. 예측 불가능한 날씨는 트레킹의 위험을 가중시켰다. 그녀는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정말 극복하기 힘든 여정이었다”고 회상했다.

상당히 심한 바람이 몰아치던 날, 몸을 숨길만한 곳 하나 없는 북섬 타라루아(Tararua) 삼림지대의 능선을 지날 때는 바람에 몸이 날려 여기저기 부딪혀야 했다.

얼마나 세게 바람이 불었는지에 대해 그녀는 “숨을 쉴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르게 공기가 목구멍 안으로 몰아쳤다”고 표현했다. 또 “그 세찬 바람소리는 귀에서 비명을 지르는 제트 엔진과 같았다”고도 했다. “바람에 날아가지 않으려고 잔디를 꽉 붙잡고 있어야 하는 상황을 상상하면 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남섬에서는 눈 폭풍에 휘말리기도 했다. 체온이 급격히 떨어져 몸이 돌처럼 굳어갔고 피난처는 없었으며 물건을 잡을 수 없을 만큼 손이 마비됐다.

운 좋게도 30분 거리에 그녀가 몸을 숨길 수 있는 오두막이 있었다. 그녀는 “그대로 조금만 더 시간이 흘렀다면 내 삶이 어떻게 끝났을는지 모르겠다”며 당시의 위태로웠던 순간을 떠올렸다.

 

종합(Hiker 8).jpg

 

예전의 삶으로 돌아갈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그 트레킹 여행에서 로라는, 그 동안 자신을 휘감고 있던 불안감에서 벗어났음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그것이 마음속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트레킹이 끝나갈 무렵, 로라는 늘 익숙했던(?), 가슴을 답답하게 했던 불안과 걱정이 다시금 꿈틀거리는 것을 깨달았다.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었던 모든 것, 사람들과의 관계와 빠듯한 회사 업무, 도시의 번잡함과 소음 속으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는 것 때문이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그런 것들을 견뎌내지 못할 것 같았다. 도시의 삶에서 자신이 밀려났다 해도 아무런 미련이 없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스스로 그런 삶에 어울린다고 여긴 적이 없었으므로.

 

종합(Hiker 7).jpg

한 초원에서의 야영. 5개월에 걸친 트레킹을 마치고 호주로 돌아온 그녀는 이제까지의 생활 방식을 정리한 뒤 여행 작가가 되기로 마음먹었고 이를 실천했으며, 이전보다 훨씬 행복한 삶을 즐기고 있다고 말한다. (사진 : Laura Waters)

 

그 순간, 머리를 스치는 생각. “맞아, 굳이 그런 삶을 살 필요는 없지.”

그리하여 그녀는 평소 하고 싶었던 글쓰기를 위해 스스로에게 1년간 휴가를 주기로 하고 아무 일이든 하고 싶은 것을 해보기로 했다. 아파트를 가득 메우고 있던 책과 타고 다니던 자전거, 여분의 옷 등 팔 수 있는 것은 다 팔아 돈을 마련했다.

그리고 그녀는 주인 없는 집을 봐주거나 솔로몬 제도의 작은 리조트, 뉴질랜드의 삼림에서 자원봉사를 했으며, 잠자리와 음식을 얻기 위해 돈을 버는 일은 하루 몇 시간으로 제한했다.

“돈을 많이 쓰지 않는다면, 많은 돈을 위해 일할 필요가 없다.” 그녀는 “대신 자유를 얻었기에 믿을 수 없을 만큼 부자가 되었다”고 말한다.

 

그렇게, 1년간 본인에게 주었던 휴가가 어느덧 5년이 되었고, 그 사이 그녀는 회사를 정리했으며, 도시를 떠나 프리랜서 여행 작가가 되어 있었다. 자연 속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이제까지 맛보지 못했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로라 워터스씨는 “뉴질랜드에서의 힘들었던 트레킹을 통해 얻은 용기가 스스로를 변화시켰다”고 말했다.

 

복잡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스스로를 뒤돌아보게 하는 그녀의 진솔한 말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Hiker 0).jpg (File Size:35.5KB/Download:34)
  2. 종합(Hiker 1).jpg (File Size:64.6KB/Download:36)
  3. 종합(Hiker 2).jpg (File Size:95.3KB/Download:34)
  4. 종합(Hiker 3).jpg (File Size:84.1KB/Download:35)
  5. 종합(Hiker 4).jpg (File Size:64.2KB/Download:36)
  6. 종합(Hiker 5).jpg (File Size:36.8KB/Download:33)
  7. 종합(Hiker 6).jpg (File Size:68.6KB/Download:37)
  8. 종합(Hiker 7).jpg (File Size:66.4KB/Download:40)
  9. 종합(Hiker 8).jpg (File Size:42.0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01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900 호주 기후-기상 관련 과학자들, 정치권에 ‘기후변화 행동’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9 호주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호주 국제교육산업도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8 호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개교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7 호주 호주 대학들, ‘Times Higher Education’ 평가 순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6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5 호주 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4 호주 부동산 시장 신뢰 회복으로 시드니 주택거래량,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해 첫 경매시장, 402채 등록-낙찰률 79.9%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2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1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4889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488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4887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6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4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3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2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1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8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7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6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4 뉴질랜드 2020년 한-뉴질랜드 참전용사 후손「비전캠프」개최 일요시사 20.02.05.
4873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4872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4871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호주 입국 금지…귀국 호주인도 2주 격리 조치 톱뉴스 20.02.04.
4870 호주 시드니 오틀랜즈 음주운전 참사에 지역 사회 ‘비분’ 톱뉴스 20.02.04.
4869 호주 호주 우한 폐렴 확진 환자, 1월30일 현재 7명으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8 호주 Australian Day가 아니라 침략의 날?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7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번에는 승용차와 충돌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6 호주 산불-우박 등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보상액, 20억 달러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5 호주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의 ‘구글’ 최다 검색어는 ‘산불’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4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여전...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3 호주 NSW 주 산불, 시드니 경제에 하루 최대 5천만 달러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2 호주 “극단적 기후 상황, 호주 정치 실패도 하나의 요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1 호주 호주 각 지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지명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0 호주 Now and then...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 부동산 시장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9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예비 구매자 주택 검색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8 호주 대학 새내기들의 집구하기- 시드니 각 대학 인근의 임대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7 호주 우한 폐렴, 호주에도 전파될까... 방역 당국 여행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6 호주 국가 총력전, 국민들도 나서서 “산불 피해 복구하자”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5 호주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상태, 관광산업에도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4 호주 잘 쉬는 사람이 업무능률도 좋다... 2020년 휴일 최대한 활용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3 호주 2019년 NSW 신생아 최다 이름은 ‘Oliver’와 ‘Charlott’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