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이 뚜렷한 상황에서, 주택 가격이 더 오르기 전 서둘러 내 집 마련을 이루려는 예비 구매자들이 경매 시장에 몰리면서 입찰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사진은 54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킹스그로브(Kingsgrove) 소재 주택. 잠정 가격에서 18만8천 달러 오른 가격에 낙찰됐다.

 

9월 마지막 주, 747채 나와... 6개월여 만에 최다 매물 등록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주택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내집 마련’을 계획한 예비 구매자들이 주말 경매 현장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부족하여 입찰자들의 경쟁도 한층 가열되고 있으며 경매에 걸리는 시간 또한 길어지고 있다.

 

지난 주말(28일) 킹스그로브, 보바다 스트리트(Bobadah Street, Kingsgrove)의 3개 침실 주택은 최근 주택 시장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했다는 게 부동산 관계자들의 말이다.

벤더(vendor)인 크리스틴과 스티븐 헤이스(Christine and Stephen Hayes)씨는 지난 1976년 결혼한 후부터 이 주택에 거주해 왔으며, 이에 앞서 1965년 크리스틴씨의 부친이 9230파운드에 구매한 주택이었다.

이날 경매에는 12명이 입찰했으며 100만 달러에서 입찰이 시작돼 잠정 가격인 108만 달러를 금세 넘겼지만 이후 6명의 예비 구매자들이 입찰가격을 조금씩 올리면서 경매 시간이 길어졌다.

입찰된 가격이 120만 달러를 넘어설 때까지 6명의 예비 구매자들은 포기하지 않은 채 500달러씩 가격 제시를 이어갔으며, 마침내 126만8천 달러에 이르러 5명의 입찰자가 포기함으로써 경매가 끝났다. 이는 잠정 가격에서 18만8천 달러가 높아진 것으로, 이날 낙찰 결과에 대해 헤이스씨 부부는 크게 기뻐하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좋은 가격에 판매되기를 바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 기대했던(108만 달러) 가격에 거래될 것인지를 확신할 수 없었다”는 게 헤이스씨의 말이다.

 

한편 지난 주말 시드니 전역에서 진행된 경매 매물 수는 747채였는데 이 숫자는 이전 주말인 21일(543채)에 비해 38%가 늘어난 것이며, 이날 저녁 부동산 정보회사 ‘도매인’(Domain)이 집계한 561채의 낙찰률은 78.1%로 최근의 높은 거래비율을 이어갔다. 이 매물 수는 또한 지난 4월 부활절 연휴(Easter long weekend) 앞두고 750채가 나온 6개월 만이다. 당시 경매 낙찰률은 54.9%에 불과했었다.

‘도메인’ 집계에 따르면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지만 공급 매물은 여전히 적은 상황으로, 예비 구매자들의 경쟁이 가열되면서 낙찰 비율은 7주 이상 7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경매를 맡은 쿨리 옥션(Cooley Auctions)의 앤드류 쿨리(Andrew Cooley) 경매사는 “모기지(mortgage) 규정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 분위기는 좋아지고 있는 반면 공급되는 매물이 적어 예비 구매자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서 “각 경매 매물에 입찰하는 예비 구매자들 또한 평균 5명 이상으로 늘어났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쿨리 경매사는 이어 “추가 금리인하가 예상됨으로써 부동산 구입 열기는 더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봄 시즌 동안 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급격하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0년 주택 시장을 낙관적으로 전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경매 2).jpg

시드니 동부, 퀸즈파크(Queens Park)에 자리한 4개 침실 주택(사진). 잠정 가격에서 30만 달러 오른 380만 달러에 낙찰됐다. 이 주택은 2012년 210만 달러에 매매됐었다.

 

이날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에서는 93채의 주택이 매물로 나온 가운데 퀸즈파크(Queens Park)에 자리한 4개 침실 주택이 잠정 가격보다 30만 달러 오른 낙찰가를 기록, 주목을 받았다.

스탠리 스트리트(Stanley Street) 상에 있는 431스퀘어미터 블록의 이 주택은 30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 10만 달러씩 입찰 가격이 제시됐으며, 380만 달러에서 낙찰이 이루어졌다. 이 주택은 지난 2012년 마지막으로 거래됐으며, 당시 매매가는 210만 달러였다.

인근 쿠지의 월슬리 로드(Wolseley Road, Coogee)에서는 3개 침실 아파트 경매에 4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 제법 긴 시간 경매를 이어간 끝에 227만5천 달러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이는 잠정 가격(210만 달러)에서 17만5천 달러 높아진 금액이다. 비교적 오래된 이 유닛은 지난 2009년 95만 달러에 매매된 것이 마지막 거래였다. 20년 만에 거의 100만 달러가 높아진 것이다.

 

종합(경매 3).jpg

쿠지(Coogee)에 자리한 3개 침실 아파트 내부(사진). 4명의 예비 구매자가 긴 시간 입찰 경쟁을 이어간 끝에 17만5천 달러 높아진 227만5천 달러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종합(경매 4).jpg

엘리자베스 베이(Elizabeth Bay)의 1개 침실 아파트는 2명의 입찰자가 단 세 차례 가격을 제시한 끝에 68만 달러에 낙찰됐다.

 

엘리자베스 베이(Elizabeth Bay)의 1개 침실 아파트에는 2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했으며 10대 자녀를 위해 작은 주택을 구입하려 한 세인트 아이비스(St Ives)의 한 투자자가 차지했다. 그린나우 애비뉴(Greenknowe Avenue) 상에 자리한 이 아파트는 46스퀘어미터의 작은 블록으로, 2명의 입찰자가 단 세 차례 입찰 가격을 제시한 끝에 68만 달러에서 경매가 끝이 났다. 이 아파트는 지난 2009년 42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레드펀(Redfern)에서는 40여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2개 침실 테라스 주택이 높은 경매 열기를 보였다. 무려 19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한 가운데 95만 달에서 시작된 경매는 입찰 가격이 빠르게 상승, 133만 달러에서 낙찰이 이루어졌다. 이는 잠정 가격(120만 달러)에서 13만 달러가 높아진 것이다.

한편 이너웨스트(inner west), 러셀리 지역의 불바디아 스트리트(Bouvardia Street, Russell Lea)에 자리한 3개 침실 주택(373스퀘어미터) 또한 11명의 예비 구매자가 나와 입찰 경쟁을 펼쳤다. 130만 달러에서 시작된 경매는 5만 달러 이상씩 입찰 가격이 제시되면서 빠르게 상승한 끝에 165만 달러에서 거래가 마무리됐다.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 헌틀리 코브(Huntleys Cove)에서 진행된 3개 침실 아파트는 다른 지역의 경매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 매물의 잠정 가격은 180만 달러였으나 입찰자들이 내놓은 최고 제시 가격은 152만5천 달러로 벤더가 원하는 가격에 크게 못 미쳤다. 결국 경매는 무산됐지만 곧바로 협상을 이어가 177만7,500달러에서 매매가 성사됐다. 이 아파트는 2년 전인 지난 2017년 169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88.2KB/Download:14)
  2. 종합(경매 2).jpg (File Size:98.1KB/Download:16)
  3. 종합(경매 3).jpg (File Size:66.1KB/Download:19)
  4. 종합(경매 4).jpg (File Size:52.0KB/Download:19)
  5. 종합(경매 5).jpg (File Size:100.2KB/Download:18)
  6. 종합(경매 6).jpg (File Size:86.9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호주 아마존, 호주로 성큼…첫 물류센터 멜버른으로 확정 톱뉴스 17.08.11.
515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5149 호주 끝이 안보이는 시드니 부동산 시장 열기 톱뉴스 17.08.11.
5148 호주 11주간 야외 낮잠 진행한 호주 유치원…"감기 등으로 결석 1% 미만" 톱뉴스 17.08.11.
5147 호주 마스터 셰프 오스트레일리아를 꿈꾸는 한인청년 톱뉴스 17.08.11.
5146 호주 호주 육상 ‘올림픽 금메달 소녀’ 베티 커스버트 별세…향년 78세 톱뉴스 17.08.11.
5145 호주 마피아 두목과의 롭스터 만찬… VIC 야당당수 “구설수” 톱뉴스 17.08.11.
5144 호주 QLD 해안가 추락 미 해병 ‘오스프리’ 수송기 추락 지점 확인…해병대원 3명 실종 톱뉴스 17.08.11.
5143 호주 연방상원, 동성결혼 국민투표안 재부결… 자유당, 우편국민투표 실시 강행 톱뉴스 17.08.11.
5142 호주 ‘법의 사각지대’ 마틴 플레이스 홈리스 텐트촌 …주정부-시드니 시청 힘겨루기 격화 톱뉴스 17.08.11.
5141 뉴질랜드 세계 최고의 12층 목재 사무실 고층빌딩 “웰링턴에 들어선다” NZ코리아포.. 17.08.11.
5140 뉴질랜드 칼 휘두르며 담배 강탈한 여성 강도 NZ코리아포.. 17.08.11.
5139 호주 호주 “북, 미국 공격시 ANUS 즉각 발동” 톱뉴스 17.08.12.
5138 뉴질랜드 많은 키위들, 부채에 대한 우려 NZ코리아포.. 17.08.14.
5137 호주 계속되는 호주 달러화 강세에 RBA “경제성장, 고용전망에 부담” 톱뉴스 17.08.14.
5136 호주 ‘첩첩산중’ 한국전력공사 바이롱 탄광 프로젝트 ‘오리무중’ 톱뉴스 17.08.14.
5135 뉴질랜드 뉴질랜드 지난 분기, 소매 매출 늘어나 NZ코리아포.. 17.08.15.
5134 뉴질랜드 키위 67% 비디오 게임 즐겨 NZ코리아포.. 17.08.15.
5133 뉴질랜드 노숙자 증가, 10년 이내 임대주택 건설 추가 필요 NZ코리아포.. 17.08.15.
5132 뉴질랜드 남태평양에서 신혼여행 중이던 NZ 여성 아동작가, 말 사고로 사망 NZ코리아포.. 17.08.15.
5131 호주 호주 연방부총리는 뉴질랜드인…? 톱뉴스 17.08.15.
5130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의 차 문화 선보인다. 톱뉴스 17.08.15.
5129 호주 케빈 러드 전 총리, 대북 군사 대응 주장 말콤 턴불 총리에 “독설” 톱뉴스 17.08.15.
5128 뉴질랜드 교통사고 사망자 중 3백 명 넘는 수, 안전벨트 미착용 NZ코리아포.. 17.08.16.
5127 뉴질랜드 6월말 현재 NZ 총인구 479만명, 작년에 10만 4천명 증가 NZ코리아포.. 17.08.16.
5126 호주 글로벌 자원 기업이 눈독들이는 WA 그린부시스 광산 마을 톱뉴스 17.08.16.
5125 호주 시드니 홈부쉬 아파트 개발단지 난맥상…선분양자 80명 ‘망연자실’ file 톱뉴스 17.08.16.
5124 호주 멜버른 카운슬,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거부’…정부, ”카운슬의 도 넘은 정치 행위” 톱뉴스 17.08.16.
5123 뉴질랜드 존키 전 총리, 명예 훈장 수락 후 기사 직위 받아 NZ코리아포.. 17.08.17.
5122 호주 8월 2주 경매, 지난 2개월 만에 최고 낙찰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2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Spring Festival’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20 호주 NSW 주 총리, “한국과의 협력 촉진, 기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9 호주 시드니, ‘테러 공포’로 ‘살기 좋은 도시’ 순위서 밀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8 호주 멜번 야라카운슬, ‘Australia Day 명칭 변경’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7 호주 시드니 '메트로 웨스트 프로젝트', 지역 고층화 촉진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6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2)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5 호주 자녀의 디지털 기술 적응력-안전을 위한 10가지 팁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4 호주 바나비 조이스 연방 부총리, 뉴질랜드 ‘이중국적’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7.
5113 뉴질랜드 공중화장실 훔쳐가려다 버리고 가버린 도둑 NZ코리아포.. 17.08.17.
5112 호주 베레지클리안 NSW 주총리 23, 24일 방한 톱뉴스 17.08.17.
5111 호주 연방의원 이중국적 파문 뉴질랜드로 확산 톱뉴스 17.08.17.
5110 호주 연방대법원, 동성결혼 위헌소송 9월초 심리 톱뉴스 17.08.17.
5109 뉴질랜드 포드 뉴질랜드, 화재 위험 연료 탱크 문제로 리콜 중 NZ코리아포.. 17.08.18.
5108 호주 라이징 골프 스타, 그레이스 김 톱뉴스 17.08.18.
5107 호주 줄리안 리서 연방하원의원, 대북 규탄 동의안 발의 톱뉴스 17.08.18.
5106 호주 연방정부, 아동 예방접종 권장 캠페인 발진 톱뉴스 17.08.18.
5105 호주 원내이션 당 폴린 핸슨 당수, 부르카 착용하고 상원 출석 ‘깜짝쇼’ 톱뉴스 17.08.18.
5104 호주 재부각되는 시드니 홈리스 실태…부익부 빈익빈 시드니의 민낯 톱뉴스 17.08.18.
5103 호주 최고의 무대 - 호주 오페라 지평 넓힌 ‘파르지팔’ 톱뉴스 17.08.18.
5102 호주 정신 나간 호주 맥도날드, 이틀 연속 구더기 발견 톱뉴스 17.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