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이 뚜렷한 상황에서, 주택 가격이 더 오르기 전 서둘러 내 집 마련을 이루려는 예비 구매자들이 경매 시장에 몰리면서 입찰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사진은 54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킹스그로브(Kingsgrove) 소재 주택. 잠정 가격에서 18만8천 달러 오른 가격에 낙찰됐다.

 

9월 마지막 주, 747채 나와... 6개월여 만에 최다 매물 등록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주택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내집 마련’을 계획한 예비 구매자들이 주말 경매 현장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부족하여 입찰자들의 경쟁도 한층 가열되고 있으며 경매에 걸리는 시간 또한 길어지고 있다.

 

지난 주말(28일) 킹스그로브, 보바다 스트리트(Bobadah Street, Kingsgrove)의 3개 침실 주택은 최근 주택 시장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했다는 게 부동산 관계자들의 말이다.

벤더(vendor)인 크리스틴과 스티븐 헤이스(Christine and Stephen Hayes)씨는 지난 1976년 결혼한 후부터 이 주택에 거주해 왔으며, 이에 앞서 1965년 크리스틴씨의 부친이 9230파운드에 구매한 주택이었다.

이날 경매에는 12명이 입찰했으며 100만 달러에서 입찰이 시작돼 잠정 가격인 108만 달러를 금세 넘겼지만 이후 6명의 예비 구매자들이 입찰가격을 조금씩 올리면서 경매 시간이 길어졌다.

입찰된 가격이 120만 달러를 넘어설 때까지 6명의 예비 구매자들은 포기하지 않은 채 500달러씩 가격 제시를 이어갔으며, 마침내 126만8천 달러에 이르러 5명의 입찰자가 포기함으로써 경매가 끝났다. 이는 잠정 가격에서 18만8천 달러가 높아진 것으로, 이날 낙찰 결과에 대해 헤이스씨 부부는 크게 기뻐하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좋은 가격에 판매되기를 바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 기대했던(108만 달러) 가격에 거래될 것인지를 확신할 수 없었다”는 게 헤이스씨의 말이다.

 

한편 지난 주말 시드니 전역에서 진행된 경매 매물 수는 747채였는데 이 숫자는 이전 주말인 21일(543채)에 비해 38%가 늘어난 것이며, 이날 저녁 부동산 정보회사 ‘도매인’(Domain)이 집계한 561채의 낙찰률은 78.1%로 최근의 높은 거래비율을 이어갔다. 이 매물 수는 또한 지난 4월 부활절 연휴(Easter long weekend) 앞두고 750채가 나온 6개월 만이다. 당시 경매 낙찰률은 54.9%에 불과했었다.

‘도메인’ 집계에 따르면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지만 공급 매물은 여전히 적은 상황으로, 예비 구매자들의 경쟁이 가열되면서 낙찰 비율은 7주 이상 7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경매를 맡은 쿨리 옥션(Cooley Auctions)의 앤드류 쿨리(Andrew Cooley) 경매사는 “모기지(mortgage) 규정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 분위기는 좋아지고 있는 반면 공급되는 매물이 적어 예비 구매자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서 “각 경매 매물에 입찰하는 예비 구매자들 또한 평균 5명 이상으로 늘어났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쿨리 경매사는 이어 “추가 금리인하가 예상됨으로써 부동산 구입 열기는 더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봄 시즌 동안 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급격하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0년 주택 시장을 낙관적으로 전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경매 2).jpg

시드니 동부, 퀸즈파크(Queens Park)에 자리한 4개 침실 주택(사진). 잠정 가격에서 30만 달러 오른 380만 달러에 낙찰됐다. 이 주택은 2012년 210만 달러에 매매됐었다.

 

이날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에서는 93채의 주택이 매물로 나온 가운데 퀸즈파크(Queens Park)에 자리한 4개 침실 주택이 잠정 가격보다 30만 달러 오른 낙찰가를 기록, 주목을 받았다.

스탠리 스트리트(Stanley Street) 상에 있는 431스퀘어미터 블록의 이 주택은 30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 10만 달러씩 입찰 가격이 제시됐으며, 380만 달러에서 낙찰이 이루어졌다. 이 주택은 지난 2012년 마지막으로 거래됐으며, 당시 매매가는 210만 달러였다.

인근 쿠지의 월슬리 로드(Wolseley Road, Coogee)에서는 3개 침실 아파트 경매에 4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 제법 긴 시간 경매를 이어간 끝에 227만5천 달러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이는 잠정 가격(210만 달러)에서 17만5천 달러 높아진 금액이다. 비교적 오래된 이 유닛은 지난 2009년 95만 달러에 매매된 것이 마지막 거래였다. 20년 만에 거의 100만 달러가 높아진 것이다.

 

종합(경매 3).jpg

쿠지(Coogee)에 자리한 3개 침실 아파트 내부(사진). 4명의 예비 구매자가 긴 시간 입찰 경쟁을 이어간 끝에 17만5천 달러 높아진 227만5천 달러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종합(경매 4).jpg

엘리자베스 베이(Elizabeth Bay)의 1개 침실 아파트는 2명의 입찰자가 단 세 차례 가격을 제시한 끝에 68만 달러에 낙찰됐다.

 

엘리자베스 베이(Elizabeth Bay)의 1개 침실 아파트에는 2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했으며 10대 자녀를 위해 작은 주택을 구입하려 한 세인트 아이비스(St Ives)의 한 투자자가 차지했다. 그린나우 애비뉴(Greenknowe Avenue) 상에 자리한 이 아파트는 46스퀘어미터의 작은 블록으로, 2명의 입찰자가 단 세 차례 입찰 가격을 제시한 끝에 68만 달러에서 경매가 끝이 났다. 이 아파트는 지난 2009년 42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레드펀(Redfern)에서는 40여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2개 침실 테라스 주택이 높은 경매 열기를 보였다. 무려 19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한 가운데 95만 달에서 시작된 경매는 입찰 가격이 빠르게 상승, 133만 달러에서 낙찰이 이루어졌다. 이는 잠정 가격(120만 달러)에서 13만 달러가 높아진 것이다.

한편 이너웨스트(inner west), 러셀리 지역의 불바디아 스트리트(Bouvardia Street, Russell Lea)에 자리한 3개 침실 주택(373스퀘어미터) 또한 11명의 예비 구매자가 나와 입찰 경쟁을 펼쳤다. 130만 달러에서 시작된 경매는 5만 달러 이상씩 입찰 가격이 제시되면서 빠르게 상승한 끝에 165만 달러에서 거래가 마무리됐다.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 헌틀리 코브(Huntleys Cove)에서 진행된 3개 침실 아파트는 다른 지역의 경매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 매물의 잠정 가격은 180만 달러였으나 입찰자들이 내놓은 최고 제시 가격은 152만5천 달러로 벤더가 원하는 가격에 크게 못 미쳤다. 결국 경매는 무산됐지만 곧바로 협상을 이어가 177만7,500달러에서 매매가 성사됐다. 이 아파트는 2년 전인 지난 2017년 169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88.2KB/Download:34)
  2. 종합(경매 2).jpg (File Size:98.1KB/Download:34)
  3. 종합(경매 3).jpg (File Size:66.1KB/Download:34)
  4. 종합(경매 4).jpg (File Size:52.0KB/Download:33)
  5. 종합(경매 5).jpg (File Size:100.2KB/Download:39)
  6. 종합(경매 6).jpg (File Size:86.9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01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900 호주 기후-기상 관련 과학자들, 정치권에 ‘기후변화 행동’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9 호주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호주 국제교육산업도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8 호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개교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7 호주 호주 대학들, ‘Times Higher Education’ 평가 순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6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5 호주 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4 호주 부동산 시장 신뢰 회복으로 시드니 주택거래량,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해 첫 경매시장, 402채 등록-낙찰률 79.9%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4892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1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489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4889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488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4887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6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4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3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2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1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8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8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7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6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4874 뉴질랜드 2020년 한-뉴질랜드 참전용사 후손「비전캠프」개최 일요시사 20.02.05.
4873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4872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4871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호주 입국 금지…귀국 호주인도 2주 격리 조치 톱뉴스 20.02.04.
4870 호주 시드니 오틀랜즈 음주운전 참사에 지역 사회 ‘비분’ 톱뉴스 20.02.04.
4869 호주 호주 우한 폐렴 확진 환자, 1월30일 현재 7명으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8 호주 Australian Day가 아니라 침략의 날?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7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번에는 승용차와 충돌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6 호주 산불-우박 등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보상액, 20억 달러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5 호주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의 ‘구글’ 최다 검색어는 ‘산불’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4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여전...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3 호주 NSW 주 산불, 시드니 경제에 하루 최대 5천만 달러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2 호주 “극단적 기후 상황, 호주 정치 실패도 하나의 요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1 호주 호주 각 지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지명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60 호주 Now and then...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 부동산 시장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9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예비 구매자 주택 검색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8 호주 대학 새내기들의 집구하기- 시드니 각 대학 인근의 임대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4857 호주 우한 폐렴, 호주에도 전파될까... 방역 당국 여행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6 호주 국가 총력전, 국민들도 나서서 “산불 피해 복구하자”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5 호주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상태, 관광산업에도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4 호주 잘 쉬는 사람이 업무능률도 좋다... 2020년 휴일 최대한 활용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3 호주 2019년 NSW 신생아 최다 이름은 ‘Oliver’와 ‘Charlott’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