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오래 일하고 은퇴 늦어지는 영향 있을 것
 
news_img1_1570482381.png

 

BDO Canada의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노후를 위한 저축도 없이 월급을 받아 근근이 살아가고 있어, 은퇴가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47명의 캐나다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보고서는 응답자의 53%는 소득이 낮으며, 응답자의 25%는 빚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년도에 비해 더 많은 국민들이 신용카드 부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분의 1은 신용카드 빚을 갚을 수 없고, 40%는 모기지가 아닌 부채가 2만 불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BDO Canada의 대표인 더그 존스는 “부채는 캐나다 국민들에게 점점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라며, “시간이 지날수록 재정적 목표에 다가가지 못하도록 복합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캐나다의 인플레이션이 중앙은행의 목표인 2%에 가까워지고 있고 주식 시장이 계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부채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장기 투자에 대한 이자율이 단기 투자에 대한 이자율보다 낮아지는 등 경기 침체에 대한 걱정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동산 시장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는 것도 감지되고 있다.
BDO의 보고서에 따르면 밀레니엄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들에 비해 X세대들이 가장 큰 부채에 시달리고 있으며, X세대들의 44%가 2만 불 이상의 부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로 35-54세들이 주택을 보유하며 모기지로 인한 커다란 부채를 가지는 것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베이비붐 세대는 모기지를 다 갚은 세대이며, 밀레니엄 세대는 치솟는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아직 내 집 마련을 하기 어려운 세대이다.
X세대의 38%는 노후 자금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반 이상이 노후를 위한 저축을 할 여력이 없다고 응답했다. 존스는 “캐나다 40-50대 국민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가지거나 은퇴를 위한 준비를 못 한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라며, “이는 생활비를 감당하기 위해 더 많은 빚을 지게 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전했다.
젊은 세대들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일을 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의 비율이 82%로 전년도 75%에 비해 높아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저축을 하더라도 은퇴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는 사람들의 비율도 69%로 전년도보다 높은 기록을 보였다. 남성에 비해 여성이 재정적인 어려움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수입이 부족한 사람들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중요한 구매를 위한 저축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비율도 여성이 높았다.
BDO는 “최근 몇 년간 캐나다 국민들은 어려움을 겪어왔다.”라며, 이 같은 인덱스가 더 큰 어려움이 다가오고 있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고 전했다. BDO는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캐나다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부채에 대한 책임과 미래를 위한 재정적 목표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남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97 캐나다 일광절약시간 폐지 여부 설문조사 마쳐...앨버타 주민 14만 명 참여 CN드림 19.12.24.
4696 캐나다 BC PNP 연말 최대규모 영주권 기회 제공 밴쿠버중앙일.. 19.12.27.
4695 캐나다 밴쿠버 다운타운서 주먹질 대가로 벌금 1000달러 밴쿠버중앙일.. 19.12.27.
4694 캐나다 10월 BC 주택건축투자 전달대비 5.3% 증가 밴쿠버중앙일.. 19.12.27.
4693 캐나다 2020년 달라지는 재외국민 관련 제도 밴쿠버중앙일.. 20.01.04.
4692 캐나다 흔한 이름이 좋을까 희귀한 이름이 좋을까? 밴쿠버중앙일.. 20.01.04.
4691 캐나다 써리 새해 벽두부터 살인사건 등 시끌시끌 밴쿠버중앙일.. 20.01.04.
4690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주택공시가 전년대비 15% 하락 밴쿠버중앙일.. 20.01.04.
4689 캐나다 BC 아트 꿈나무를 위한 한국 공예품 전시 밴쿠버중앙일.. 20.01.04.
4688 미국 마이애미지역에 미국 최대 메가몰 들어선다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7 미국 트럼프 탄핵소추 결의안 하원 통과…미국 역사상 세번째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6 미국 ‘연기 흡입식’ 대마초 사용 청소년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5 미국 미 하원, 1조 4천억 달러 정부 지출안 승인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4 미국 미국내 문닫은 소매점 , 작년보다 60%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3 미국 플로리다 ‘최저임금 15달러’ 인상안, 내년 투표지에 오른다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2 미국 도로변 구걸 '홈리스', 그들은 과연 누구인가 코리아위클리.. 20.01.05.
4681 캐나다 [대한민국 외교부]영사서비스 이렇게 개선되었습니다! 밴쿠버중앙일.. 20.01.07.
4680 캐나다 주택 소유자 보조금 대상 주택가격 153만 달러 밴쿠버중앙일.. 20.01.07.
4679 캐나다 연방 탄소세, 내년 1월 1일부터 앨버타에 적용 CN드림 20.01.07.
4678 캐나다 아발란체 캐나다, 로키산 눈사태 위험 높아...야외활동 시 철저한 준비가 필요 CN드림 2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