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데이터에 현재진행형 홍콩 시위 반영 안 돼

 

1-1.png

▲ 세계 경제력 순위에서 싱가포르가 미국을 제치고 1위에 랭킹되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가 지난 9일(수)에 발표한 최신 세계 국가 경쟁력 순위에서 홍콩이 작년 7위에서 올해 4단계 상승해 올해 3위를 차지했다. 국가별 종합 국가 경쟁력에서 싱가포르와 미국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으며 홍콩 다음으로는 네덜란드, 스위스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보고서는 현재진행형인 홍콩 대규모 시위가 반영되지 않은 순위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혔다.

 

세계경제포럼은 141개 경제권을 대상으로 기관, 인프라, 정보통신기술 보급(ICT), 거시경제 안정성, 보건, 노동시장 등 12개 평가항목에 따라 매년 평가한다. 최신 순위는 3월부터 7월 기간의 데이터와 1월부터 4월까지의 각국 기업 최고경영자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순위를 평가했다.

 

홍콩은 12개 평가항목 중 8개 항목에서 상위 10위권에 올랐다. 특히 거시경제 안정성, 보건, 금융 시스템 부문에서 만점을 받아 우수한 성적을 냈다. 반면 사법 독립성과 언론의 자유 부문에서 점수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경제포럼 보고서는 “홍콩의 최대 약점은 혁신 역량의 한계이다. 홍콩은 혁신 역량 부문에서 100점 만점에 63.9점을 받아 26위에 올랐다. 반면 라이벌인 싱가포르는 75.9점으로 13위에 올랐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노동시장 부문에서 싱가포르와 큰 점수차를 보였다. 전체 노동 시장 부문에서는 75.8점을 받아 7위에 올랐지만, 노동자 권리 보호 하위 지표에서 10점을 받아 전체 경제권 중 116위로 나타났다. 반면 싱가포르는 노동자 권리 보호 하위 지표에서 89점을 받아 전체 18위에 올랐다.

 

홍콩 정부는 이번 순위 결과를 만족하며 향후 언론의 자유를 보호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약속했다. 대변인은 “홍콩에는 약 80개 지역 신문과 538개의 정기 간행물이 발행되고 있으며 정부는 발행물에 대하여 어떠한 검열 절차를 실시하지 않는다. 현지 및 외신 기자들이 자유롭게 사회문제를 보도하고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에서 홍콩의 약점이라고 지적한 혁신 역량에 대하여 대변인은 10개 하위 지표 중 8개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작년보다 점수가 향상되었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정부가 그동안 혁신 및 기술 발전에 대한 투자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홍콩 정부는 작년부터 혁신 및 기술 산업 발전을 위해 총 430억 홍콩 달러를 투입했다.

 

올해 글로벌 무역 긴장 속에서 싱가포르, 베트남 등 국가는 무역 전환을 통해 오히려 수혜를 받아, 순위가 상승했다.

 

라이벌 관계인 싱가포르는 인프라, 도로 품질, 항구 및 공항 효율성, 해상 운송 연결성 등 부문에서 1위를 받았다. 그러나 언론의 자유 부문에서 124위를 받았다. 또한 보고서는 기업가정신, 기술 기량 향상이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중국은 작년과 동일하게 28위를 머물렀으며 브릭스(BRICS,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순위를 받았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png (File Size:760.6KB/Download:16)
  2. 1-1.png (File Size:117.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6 홍콩 Covid-19 사태로 재조명받은 블루칼라의 열악한 근무환경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5 홍콩 홍콩 경제 성장 –6% ~ -8%로 또 하향 조정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4 홍콩 7월 상업 부동산 임대 계약 95%, 저렴한 외곽지역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3 홍콩 美, 홍콩산 제품 ‘메이드 인 차이나’ 표기 의무화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2 홍콩 공과금 과다 청구 횡포에도 불만 신고 ‘소극적’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1 홍콩 올해 대학 합격률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8.18.
63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9 홍콩 고급 부동산 자산 처분하는 중국인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8 홍콩 비자 지연에 홍콩 취업 예정 외국인 ‘골머리 앓아’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7 홍콩 중소기업 42%, 정부 지원 없이 6개월 이상 생존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6 홍콩 상업 부동산, 담보인정비율 40% → 50%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5 홍콩 7월 실업률 6.1%, 상승세 꺾였지만 아직 안심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4 홍콩 바이러스 감염 우려에 헌혈자 발길 끊기자 ‘헌혈 동참 호소’ file 위클리홍콩 20.08.25.
62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22 홍콩 홍콩 기업 82%, Covid-19 이후에도 재택근무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21 홍콩 미드랜드 홀딩스, 상반기 적자 기록…2016년 이후 최악의 성적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20 홍콩 홍콩 외국인 주재원, 2019년 실수령 급여 아시아에서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19 홍콩 국제학교, ESS 보조금 1.8억 홍콩달러 지급받아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18 홍콩 지난 7월, 기상청 기록 시작 이래 가장 더워 file 위클리홍콩 20.09.01.
617 홍콩 Covid-19 장기화로 스포츠 업계도 비상 file 위클리홍콩 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