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라 김 교육칼럼] 나쁜 길로 빠지기 쉬운 시기, 자신 잘 다스려야

대학 지원 마감일은 조기 지원의 경우 11월 1일이고 정기지원의 경우는1월 1일, 1월 10일, 1월 15일, 2월 1일, 3월 1일 등, 지원하는 학교마다 다 다릅니다. 지금쯤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지원서를 제출해 놓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지내고 있을 것입니다.
angela.jpg
▲ 엔젤라 김
 
대학 지원서를 접수시키고 나면 마치 고등학교 생활은 끝난 듯이 정신줄을 놓아버리는 학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제 고등학교의 남은 한 학기를 어떻게 보내야 하는 지를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첫째는 성적 유지입니다. 우선은 12학년 1학기 파이널 시험에 최선을 다해서 성적이 잘 나올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그리고 mid-year report라고 부르는데, 12학년 1학기 성적을 요구하는 학교에 (대부분의 학교가 원합니다) 12학년 1학기 성적을 보내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12학년 2학기 성적을 잘 유지하십시오. 많은 학생들이 12학년 2학기 성적이 대학 입시와 무관하다고 생각하는데 잘못된 생각입니다. 4월 초에 받을 합격통지서에는 “학생이 계속적으로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한다는 조건하에 입학을 허락합니다” 라는 글이 적혀있습니다. 그것은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하지 못하면 입학을 허락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과 동일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사들로 부터 이러한 사실을 듣고 알고 있으면서도 “설마”하며 무시합니다. 그리고 “믿고 싶은 말”만 듣습니다. 즉, 누구 누구 선배는 어느 유명 대학에 합격하고 12학년 2학기 때 D만 받았는데 문제 없이 입학했다, 라는 내용의 각종 소문들 말이지요.

그렇다면 소문이 아닌 이런 실질적인 통계는 어떻습니까. 몇 년 전 시애틀의 워싱턴 주립대학에서는 입학을 허락한 신입생 5,400명의 파일을 검토한 후 23명의 학생에 대하여 입학을 취소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같은 해에 유씨 버클리도 37명, UCLA는 73명에 대해 입학 허가를 취소하였습니다. 이유는 12학년 2학기 성적 때문이었습니다. 마지막 학기라고 소홀히 하지말고 최선을 다해서 유종의 미를 거두는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둘째로 앞으로 몇 개월 후면 대학에서 공부한다는 생각을 하고 미리 준비하십시오. 부모님의 도움을 받으며 공부만 하면 던 고등학교로 부터 빨래, 방청소및 모든 사소한 일부터 학교 일을 다 독립적으로 해가며 벅찬 수업을 해나가야할 대학 생활을 미리 그려보며 스스로 판단해보고 준비하라는 말씀입니다.

대학교 공부는 그야말로 장난이 아닙니다. 고등학교 때와 현저히 다른 것은 막대한 독서량입니다. 읽어야 할 책은 분량도 많고 써 내야할 페이퍼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 학생들은 읽고 쓰는데 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대학 입시가 끝났다고 집어 넣어 두었던 SAT책을 다시 꺼내십시오. SAT에서 나오는 영어 단어들은 실지 사용되지 않는 단어라고 치부하지 마십시오. 대학교 서적을 읽다보면 필요한 단어들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그러니 그 단어들을 다시 공부하고 책을 많이 읽으면서 대학 공부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세 째로, 순간순간 분별있고 현명한 선택을 하는 훈련을 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 못하는 학생들을 막론하고 이 시기에 나쁜 길에 빠지는 학생들이 무척 많습니다. 시간이 남아 돌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은 물론 나쁜 길이라고 생각 하지 않고 그냥 재미라고 하지요. 그러나 우리 부모님들이 상상도 하지 못할 정도로 대마초나 마약, 담배, 술등이 우리 학생들 근처에 많습니다. 전에 마리화나를 하다가 걸린 모 고등학교 축구부의 한 여학생이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옆에 있던 사람이 왜 하게 되었냐고 묻자, “그냥 거기 있으니까(Because it’s there).”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학생들의 심리는 “아 그동안 입학 원서 준비하느라 열심히 공부하고 일했는데, 이 정도쯤.” “대마초 정도인데 그냥 재미로..” “남 들 다 하는데 뭐” “뭔지 경험해 보지도 않고 안하느니 뭔가 한 번 해보자” 등 다양하다고 합니다. 12학년 1학기에는 이런 저런 일로 너무 바쁘다가 2학기때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일로 빠지는 것은 이제 목표가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2학년 2학기의 목표를 정하십시오. 계속해서 학과목 공부를 충실히 하고, 방과후 활동, 스포츠, 자원 봉사 활동, 인턴십등 의미 있는 활동을 계속해서 활발히 하면서 대학에 가서 전공하게 될 학문의 분야나 앞으로 갖고 싶은 직업을 찾아보고 연구해보며 스스로에게 틈을 주지말고 부지런히 열심히 산다면 나쁜 길에 빠질 여유는 없을 것입니다.

엔젤라 유학/교육 컨설팅, angelagroup@g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517 캐나다 <송광호기자의 북녘 프리즘(조명)> 사무총장 14.04.12.
9516 업무의 연장선...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함정 file 프랑스존 14.05.01.
9515 우크라이나 사태, 아시아로 향하던 미국의 대외정책 방향 선회시켜. 유로저널 14.05.06.
9514 캐나다 BC 주민들의 RCMP 신뢰도, 2012년보다 크게 상승 밴쿠버중앙일.. 14.05.08.
9513 캐나다 캐나다 엄마들이 원하는 '어머니의 날' 선물은? file 밴쿠버중앙일.. 14.05.08.
9512 2050년의 영국, 흑인 및 소수 인종이 인구의 1/3 file 유로저널 14.05.09.
9511 미국 북텍사스 ‘운전 중 전화사용금지’ 확산 뉴스코리아 14.05.10.
9510 캐나다 관광공사 김두조 토론토 지사장 인터뷰 file 밴쿠버중앙일.. 14.05.14.
9509 미국 우석대, 뉴욕서 태권도 아트 퍼포먼스 호평 file 옥자 14.05.14.
9508 미국 정승진 민권센터 회장, 뉴욕주상원의원 도전 file 옥자 14.05.14.
9507 캐나다 클락 BC 주 수상, 어두운 이민 과거 공식 사과 file 밴쿠버중앙일.. 14.05.17.
9506 미국 뉴욕 할렘서 첫 ‘한국문화 거리축제’ 성황 file 옥자 14.05.19.
9505 미국 美뉴욕주 한인 추모다리 탄생..故 최규혁 하사 file 옥자 14.05.25.
9504 이민가기 매력적인 국가 독일, OECD국가 중 2위 차지 file 유로저널 14.05.28.
9503 미국 NYT에 ‘日 전범기’ 축구 유니폼 비판광고 file 옥자 14.05.30.
9502 유럽 식품,연 120억 유로 규모 러시아 수출길 막혀 타격 심각 file 유로저널 14.09.03.
9501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가 만난 사람] 41대 밴쿠버 한인회 이정주 회장 밴쿠버중앙일.. 14.09.13.
9500 캐나다 웨스트젯, 여행가방에 비용 청구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14.09.18.
9499 미국 ‘덤보아트페스티벌’ 뉴욕 뜨거운 열기 file 뉴스로_USA 14.10.02.
9498 캐나다 밴쿠버 시 vs CP 레일 갈등, 결국 법정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1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