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New Start) 2.jpg

 

“뉴스타트는 ‘해먹’(hammock)이 아닌 ‘트램폴린’(trampoline)이어야...”

수혜자들, 연방 상원의회 청문회서 ‘삶에 대한 두려움과 절망감’ 호소

 

호주 연방 정부의 사회복지 혜택 가운데 하나로 실업자에게 지급하는 ‘Newstart Allowance’가 있다. 나이 22~64세 성인 실업자에게 제공하는 수당으로, 1945년 시작된 ‘Unemployment benefits’를 지난 1991년 7월 1일 대체하여 지금까지 유지돼오고 있다.

이 보조금은 신청자가 정부 복지관리 기관인 센터링크(Centrelink)에 신청하고, 정부가 규정한 상호 합의를 기준으로 지불되며, 센터링크는 신청자가 지속적으로 구직을 시도하고 상호 합의된 의무 내용을 이행하는 조건으로 매 2주마다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자녀가 없는 실업자의 뉴스타트 보조금은 기본 2주에 501달러이며, 파트너 또는 자녀가 있는 경우 1일 기본 62달러를 받는다(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하지만 뉴스타트 보조금은 물가상승을 따라가지 못했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 왔다. 1987년을 기준으로 파트나 또는 자녀가 있는 경우 하루 기본 60달러에서 2000년 62달러로 오른 이후 현재까지 같은 액수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업자에 대한 보조금이 인상되어야 한다는 불만의 목소리와 사회 복지 단체들의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현재 뉴스타트 보조금에 의존하는 이들이 실제로 불안과 절망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이 의회 청문회를 통해 공개됐다.

 

지난 금요일(11일) 상원의회 청문회에 나온 뉴스타트 보조금 수혜자들은 한결 같은 목소리로 ‘절망적 상태’, ‘끊이지 않는 걱정’, ‘스트레스와 두려움’을 호소했다고 호주 주요 언론들이 보도했다.

청문회에서 연방 상원 의원들은 낮은 보조금으로 인해 끼니를 거르고 노숙을 해야 하며 자녀를 위해 아무 것도 해 줄 수 없는 뉴스타트 수혜자들의 상황과 증언을 생생한 목소리로 들어야 했다.

 

종합(New Start).png

정부가 실업 상태에 있는 이들에게 제공하는 사회복지 수당 ‘Newstart’ 보조금이 인상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상원 청문회에서 실제 수혜자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나왔다. 사진은 지난해 6월 당시 노동당 빌 쇼튼 대표의 애들레이드(Adelaide) 행사장 앞에서 보조금 인상을 촉구하는 사람들.

 

이날 청문회에서 자신의 삶을 토로한 나이젤(Nigel)씨는 “우리는 사람들의 동정을 바라지 않지만 그들의 공감을 필요로 한다”는 말로 뉴스타트 보조금이 갖고 있는 근본적 문제를 지적했다.

또한 레슬리(Leslie)라는 이름의 50대 여성은 매주 금요일, 센터링크에 출석해 해당 기관과 합의한 사항의 이행 여부를 증명해야 했지만 이날(금) 청문회 출석으로 인해 센터링크에 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해당 주일의 보조금을 받지 못하게 됐다고 청문회 다음날(12일) 한 언론에 토로하기도 했다.

한때 저널리스트로 일하며 기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던 마크(Mark)씨는 지난 5년 사이 두 차례 직장을 잃었으며 뉴스타트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 그는 주(week) 280달러로 일주일을 살아야 한다. “센터링크나 뉴스타트 등 복지 시스템에 의존하다 보면 자신의 배경과 과거의 화려한 경력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토로한 그는 “(이런 시스템으로부터) 취급받는 방식으로 인해 스스로가 아무 것도 아닌 존재라고 느끼게 된다”며 절망적인 심정을 토로했다.

또 다른 뉴스타트 수당 수혜자인 카렌(Karren)씨는 질병을 갖고 있어 ‘부분적으로만 일할 수 있는’ 상태에서 혜택을 받고 있는 사람이다. ‘부분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말은 그녀가 정부가 현재 20만 명에게 지급하고 있는 ‘장애인 지원 수당’ 혜택을 받을 수 없음을 뜻한다. 주거지를 구할 수 없게 된 그녀는 결국 홈리스가 되었고, 노숙자를 수용하는 정부 시설로 가야 했다. 그녀는 그곳에서 한 차례 폭력피해를 경험했고 침대에는 빈대가 들끓었다. 정기적으로 수혈이 필요한 질환을 안고 있는 그녀는 한 차례 수혈에 150달러가 필요하지만 메디케어(Medicare)로 비용을 커버할 수 없는 치료였다. “사람들로부터 뉴스타트는 ‘해먹’(hammock)이 아닌 ‘트램폴린’(trampoline)이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는 그녀는 이 실업자 보조금을 ‘빈곤의 올가미’(poverty trap, 빈곤층이 취업을 한다 해도 그에 따라 정부 보조금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결국 생활수준은 변하지 않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나온 실제 뉴스타트 수혜자들의 생생한 증언은 ‘뉴스타트 지급액이 싱글 수혜자의 경우 최소 하루 40달러(기본)는 되어야 한다’는 지적을 충분히 뒷받침하고 있다.

청문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호주 사회복지협의회(Australian Council of Social Service) 대표 카산드라 골디(Cassandra Goldie) 박사는 뉴스타트 보조금 인상이 경제에도 활력을 줄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골디 박사는 특히 외딴 내륙 농촌 및 지방 지역사회가 높아진 수당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이라며 “복지 수당을 인상하는 것이 국가 빈곤율을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말했다.

빈곤 계층에 음식을 제공하는 사회단체 ‘Foodbank Australia’ 역시 “복지 혜택에 의존하는 이들의 경우 매 끼니를 해결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며 뉴스타트 수혜자들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채널 7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뉴스타트 청문회와 관련, 글로벌 컨설팅 사인 KPMG는 파트나 또는 가족이 없는 실업자의 뉴스타트 수당이 현재 주(week) 277.85달러에서 370달러로 인상되어 최저임금의 절반 수준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모리슨(Scott Morrison) 연방 정부는 정부의 재정 정책이 현재 적자 예산을 피하기 위해 지출 억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다양한 기관이 제출한 뉴스타트 보조금 인상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New Start) 2.jpg (File Size:83.1KB/Download:20)
  2. 종합(New Start).png (File Size:280.8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51 호주 뉴질랜드 노동당 자신다 아던 총리 등극…'자신다마니아' 연립정부 구성 견인 톱뉴스 17.10.30.
2150 호주 북한, 호주연방의회에 공개서한 발송…PM “트럼프 비방 서한” 톱뉴스 17.10.30.
2149 호주 호주 유권자 2/3 동성결혼 우편투표 참여 톱뉴스 17.10.30.
2148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13일 서울에서 개최 톱뉴스 17.10.30.
2147 호주 NSW-VIC 주의회 ‘안락사’ 허용 법안 검토 본궤도 톱뉴스 17.10.30.
2146 뉴질랜드 오클랜드 남부 농장 지대, 50만 명 수용 새도시 건설 계획 NZ코리아포.. 17.10.30.
2145 뉴질랜드 주택 개발로 과일 야채 재배지 사라질까봐 우려 NZ코리아포.. 17.10.30.
2144 뉴질랜드 휴일 아침에 가족들 단잠 깨운 불청객 ‘물개’ NZ코리아포.. 17.10.30.
2143 뉴질랜드 하구 횡단 중 보트 전복으로 물에 빠진 남성 3명 “구명조끼는 달랑 하나” NZ코리아포.. 17.10.29.
2142 뉴질랜드 지나가던 할머니 물고 늘어졌던 펫 불독, 주인은 벌금형 받아 NZ코리아포.. 17.10.27.
2141 호주 ‘센서스 2016’- 직종 변화... ‘뷰티’ 부문 일자리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40 호주 ‘센서스 2016’- 각 도시 및 지역별 인구 이동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9 호주 “연방 경찰, 대테러 집중... 마약밀매 단속에는 소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8 호주 NSW 주 정부, 광역시드니 ‘3개 도심’ 개발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7 호주 시드니의 미래... 무인자동차-말하는 쓰레기통-자기부상열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6 호주 이성과의 관계를 넘어 ‘자유와 독립’을 선택하는 여성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5 호주 호주의 ‘국민차’ 브랜드, ‘홀든 자동차’ 생산 막 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4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되면, 동성커플 웨딩 장소 제공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3 호주 채스우드 투신소동 남성, 전 여자친구 살해 혐의 기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9월 이후 둔화세, 다소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2131 뉴질랜드 제니 살레사 의원, 최초의 통가 출신 내각 장관에 임명돼 NZ코리아포.. 17.10.26.
2130 뉴질랜드 지진으로 망가진 수영장 다시 만든 학생, 학부모들과 지역 주민들 NZ코리아포.. 17.10.24.
2129 뉴질랜드 미망인 위해 잔디 마저 깎아준 경찰관들의 선행 NZ코리아포.. 17.10.24.
2128 뉴질랜드 범고래 등장, 한바탕 대피 소동 벌어진 핫 워터 비치 NZ코리아포.. 17.10.23.
2127 뉴질랜드 “부모 맞아?” 경찰 어이없게 만든 15세 소년의 음주운전 사고 NZ코리아포.. 17.10.23.
2126 뉴질랜드 어렵게 구조된 호주 등반객들 “지름길 잘못 선택했다” NZ코리아포.. 17.10.23.
2125 호주 2017 민영 라디오 시상식 ‘싹쓸이’ 2GB 청취율도 석권 톱뉴스 17.10.22.
2124 뉴질랜드 88년 만에 10월 낮 최고기온 수립한 MT. Cook NZ코리아포.. 17.10.20.
2123 뉴질랜드 “산비둘기들 총으로 쏴 죽인 범인은?” NZ코리아포.. 17.10.20.
2122 뉴질랜드 뉴질랜드 기온, 이산화탄소 수치, 해수면 모두 높아져 NZ코리아포.. 17.10.20.
2121 호주 호주 부동산, 지상 최고의 투자 톱뉴스 17.10.19.
2120 호주 사커루즈 사령탑 포스테코글루 감독 ‘중국 행…?’ 톱뉴스 17.10.19.
2119 호주 <연방정부> 청정 에너지 정책, ‘에너지 안정 대책’으로 대체 톱뉴스 17.10.19.
2118 호주 퍼스 출발 ‘에어 아시아’ 급강하 소동 속 회항…승객들 공포, 분노 톱뉴스 17.10.19.
2117 호주 메디케어 정보 접속 규정 강화 움직임 톱뉴스 17.10.19.
2116 호주 Ch9 ‘투데이’ 진행자 리사 윌킨슨 ‘하차’…Ch10 ‘더 프로젝트’로 톱뉴스 17.10.19.
2115 호주 호주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북한인권 유린 실태 부각시킬 것” 톱뉴스 17.10.19.
2114 호주 <뉴스폴>자유당연립-노동당 지지율 “정체’ 톱뉴스 17.10.19.
2113 호주 북한 위협 ‘호주 정조준’… 호주정부 “북한 압박 가중할 것” 톱뉴스 17.10.19.
2112 호주 대입 지망 해외 유학생 영어 요건 강화 톱뉴스 17.10.19.
2111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에 북한 ‘반발’…호주, 북한 위협 일축 톱뉴스 17.10.19.
2110 호주 <10.15 NSW주 보궐선거>국민당, 힘겹게 지역구 수성…지지율 크게 이탈 톱뉴스 17.10.19.
2109 호주 “일요일 근무수당 삭감 조치 존속” 톱뉴스 17.10.19.
2108 호주 시드니 도심 소매업자들, 크리스마스 앞두고 ‘한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2107 호주 정부 보조금 수혜 자료에서 드러난 ‘가난의 대물림’...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2106 호주 웨인스타인 성추행 파문? “헐리우드만의 문제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2105 호주 Top 10 drives around the Northern Territory(2)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2104 호주 ‘기부 천사’ 빌 게이츠, 거액 기부로 ‘최고 부자’ 자리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2103 호주 <Lincoln in the Bardo> 작가 선더스, 올해 ‘맨부커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2102 호주 “고령 근로자 고용 차별, 호주 경제성장 저해 초래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