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손 문잡이, 제트 핸드 드라이어 가장 많은 세균 득실

 3.png

(사진=scmp)

 

폴리텍대 연구팀에 따르면, 공중 화장실의 손 세척 시설에서 인체에 해로운 세균을 포함해 총 52종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가장 위생적일 것이라고 여겨지는 손 세척 시설이 오히려 세균 재오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팀들은 공중 화장실의 재오염 위험에 대하여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폴리택대 연구팀이 2017년 4월부터 8월 사이 도시 전역의 공중 화장실(여자 화장실 28곳, 남자 화장실 27곳) 55곳에서 총 220개의 샘플을 수집하여 화장실 위생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화장실 11곳은 시장·공원·항구에서 수집되었으며 36곳은 운동장·공공 도서관·쇼핑센터, 나머지 8곳은 5성급 호텔·럭셔리 쇼핑몰 등 고급 시설에서 수집되었다.

 

샘플 중 87%에서 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페니실린, 세폭시틴, 에리트로마이신, 코-트라이목사졸, 클린다마이신, 젠타마이신 등과 같은 최소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0%는 최소 3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실 내부 문 손잡이에서 제곱센티미터 당 148개의 세균이 검출되면서 세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제트 핸드 드라이어가 제곱센티미터 당 142개, 온풍 핸드 드라이어가 138개, 페이퍼 타월이 112개, 페이퍼 타월 디스펜서가 90개로 그 뒤를 이었다.

 

폴리텍대의 로나 수엔(Lorna Suen) 간호학 부교수는 “공중 화장실 내의 비누, 핸드 드라이어 등 손 세척 기기들이 위생적일 것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연구 결과 오히려 이런 기기들이 병원성 세균을 전염시키는 잠재적 장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실 시설 사용하면서 손이 재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며 공중 화장실의 재오염 위험에 대하여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검출된 세균들은 정상적인 인간 식물군의 일종으로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질병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우려를 일축했다. 샘플에서 검출된 이콜라이 대장균, 프로테우스균 등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요로 병원균이며 황색포도상구균은 피부, 연조직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세균이다. 그러나 폴리텍대 보건, 기술 및 정보학 길먼 시우(Gilman Siu) 부교수는 “이러한 세균들은 후천적 지역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에 감염된 사람들이 즉각적으로 효과적인 1차 치료를 받아 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남녀 화장실에서 각각 발견된 세균 수의 차이도 보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샘플은 모두 남성 화장실 내부 문손잡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나 수엔 부교수는 “손을 씻지 않거나 제대로 씻지 않은 남성의 손에서 문손잡이로 세균이 옮겨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여성 화장실의 위생이 남성 화장실보다 대체로 청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공중 화장실 위생 증진을 위한 몇 가지 해결방안으로 향후 화장실 설계를 할 때 출입문을 설치하지 않거나 자동문을 설치하고 모션 센서가 장착된 핸드프리 페이퍼 타월 디스펜서와 수도꼭지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했다. 또한 기존의 화장실 손 세척 시설들을 더 자주 청소해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화장실을 이용하는 개인 또한 화장실을 사용한 후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은 후 물기를 말려 손 위생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3.png (File Size:517.0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96 홍콩 홍콩, 2022년까지 저금리 기조 유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5 홍콩 상어 지느러미 수은 함량 ‘위험’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4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6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3 홍콩 5월 개인 파산·기업 청산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2 홍콩 7월 15일부터 요식업 대대적인 할인 행사해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1 홍콩 홍콩 정부, 20대 청년 위해 일자리 5천개 창출 계획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0 홍콩 Covid-19에 소외된 노인들, ‘외로움 전염병’ 확산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89 홍콩 홍콩 시위·Covid-19에 ‘긱 이코노미’ 관심 부상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88 홍콩 홍콩 국가경쟁력, 작년 2위에서 5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87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6 홍콩 공립병원 대기시간 78주→24주로 단축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5 홍콩 홍콩내 대학 5곳 이상, 온라인 수업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4 홍콩 부동산 시장 위축에 경매 부동산도 가격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3 홍콩 사립학교, 추가 비용 수백만 홍콩달러 청구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2 홍콩 홍콩·상하이 간 투자유치 경쟁 치열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1 홍콩 재활용업체 10곳 중 9곳 폐업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7.07.
679 홍콩 법원 영장 없이 페이스북·트위터 수사 협조 요구 가능해져 file 위클리홍콩 20.07.07.
678 홍콩 ‘현금 없는 사회’ 가속하는 코로나바이러스 file 위클리홍콩 20.07.07.
677 홍콩 6월 신축 아파트 거래 건수, 전월 대비 92%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0.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