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한국 상공회의소(Australia-Korea Business Council, AKBC)와 한국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12일과 13일 양일간에 걸쳐 시드니 시내에서 제40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는 호주 측 호한상공회의소의 회장 사이먼 크린 전 연방재무장관과 전경련을 이끌고 있는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개막 연설을 맡았고, 이백순 주호한국대사와  제임스 최 주한호주대사가 각각 축사를 했다.

·

사진: 앨런 핀클 호주 수석과학자

기조연설은 호주정부의 수석 과학관 직위를 맡고 있는 알란 핀클(Alan Finkel) 박사가 과학산업 분야를 통한 한국과 호주의 쌍무적 경제협력방안에 대해 기조연설을 했다.

 

그 밖에 호주와 한국의 에너지, 투자, 금융, 자동차, 국방, 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대표자들이 주제발표를 맡았다.

 

최정우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포스코 회장)을 비롯한 한국 재계는 이번 40차 합동회의를 통해 LNG 협력을 넘어 수소경제시대의 동반자로 도약하기 위한 한호 협력 증진방안을 적극 모색했다.

한국에서는 포스코, 현대차, 한화에너지가 수소전기차, 태양열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관련 상호협력방안을 제시했고, 호주에서는 맥쿼리 캐피탈 등이 호주의 수소에너지 정책과 협력 방안에 대해 공유했다.
 

이 외에도 바이오·헬스케어 등 신산업과 금융, 인프라, 자원개발 등 기존 협력 분야 내에서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부산에서 열린 지난해의 회의에서는 과거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 금융 연구개발(R&D) 등 다양한 분야로 양국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이뤄졌다.

 

즉, 제4차 산업혁명에 맞춰 변화하고 있는 양국 관계의 동향을 들여다봤던 것.
 

올해의 경우 충분히 예고된대로 LNG 협력을 넘어 수소경제시대의 동반자로 도약하는 등 새로운 쌍무적 관계 설정의 지표를 모색한 것으로 평가된다.

 

양국간의 유일한 민간 경제 협의체인 한호 경제협력위원회는 1978년 한국과 호주의 산업협력과 무역증진을 위해 설립된 이후 약 40년간 협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사진: 제임스최 주한호주대사

제임스 최 대사는 한호경제협력회의의 가장 큰 성과로 “한국과 호주 재계 및 경제계 인사들의 인적 교류 확대 및 증진이다”라고 강조했다.

 

최 대사는 앞서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오랜 기간 양국의 기업인들이 서로 만나 새로운 사업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며 “핀테크(금융과 IT의 결합) 스타트업 기업인 등도 회의에 참석하면서 호주 기업인들의 평균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런 점을 의식한 듯 한호경제협력위원회는 지난 2017년부터 양국의 젊은 전문가를 선정해 미래 지도자 프로그램(Future Leaders Program)을 개최해 오고 있다.

 

지난해에 11명의 차세대 지도자를 선발한데 이어 올해 역시 12명의 젊은 전문가를 선정해 인적 네트워크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 선정된 젊은 전문가에는 호주 외무부와 연방법무부의 공직자를 비롯해 대형로펌의  법조인, 다국적회계법인의 회계사, 호주에 법인을 두고 있는 한국 대기업체의 간부 직원, 학자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리더들이 포함됐다.

 

미래 지도자 프로그램은 향후 양국관계를 이끌 차세대 리더를 대상으로 리더십 역량 개발과 양자 관계에 대한 지식 강화를 목표로 운용되고 있다.
 

권상진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뉴질랜드 인구 500만명 시대까지 앞당긴 ‘코로나 19’ NZ코리아포.. 20.05.18.
5150 뉴질랜드 오클랜드 역사상 가장 가뭄 심한 상황, 물 사용 제한 NZ코리아포.. 20.05.18.
5149 뉴질랜드 아던 총리도 카페 밖에서 줄 서서 대기 NZ코리아포.. 20.05.18.
5148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13.
5147 뉴질랜드 COVID-19 5월 10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누적확진자 1,494명 일요시사 20.05.11.
5146 뉴질랜드 COVID-19 5월 8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감염자 1,490명 (확진자 1,141명 + 의심 확진자 349명… 일요시사 20.05.11.
5145 뉴질랜드 COVID-19 ,4월 30일 1:00PM 브리핑 요약 일요시사 20.05.11.
5144 뉴질랜드 COVID-19 4월 23일 오후,추가 감염자 3명 ,사망 2명,총 누적확진자 1451명 일요시사 20.05.11.
5143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2 호주 서호주 실내외 모임 최대 10명까지 허용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1 호주 개개인 이동경로 파악 ‘앱’ 활용시 수개월 이내 ‘제한조치’ 해제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4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해제 또는 완화, 세 가지 조건 충족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호주인 삶은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8 호주 공공보건 명령 위반의 다양한 사례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7 호주 SARS보다 덜 치명적인 COVID-19, 사망자 많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6 호주 NSW 주 정부, 4억4천만 달러의 ‘임차인’ 지원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5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각 부문별 구인광고,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4 호주 시드니대학교, COVID-19로 4억7천만 달러 손실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3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 5건의 수치로 보는 피해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2 호주 실내 공간에서 COVID-19는 얼마나 퍼져나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1 호주 COVID-19 영향으로 전 세계 5억 명 ‘빈곤층’ 전락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0 호주 L-plater의 운전 교습, ‘Coronavirus shutdown’ 단속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9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8 호주 공개 경매 이외 각 국가의 보편적인 주택 매매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6 호주 NSW 주정부, $4억4000만 세입자 지원 대책 발표 톱뉴스 20.04.15.
5125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5124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5123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5122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5121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5120 뉴질랜드 정부,대학생들을 위한 학생 융자 지원책 진행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9 뉴질랜드 15일 (수) 오후 1시 40분, 51초동안 크라이스처치 테러 공격 희생자 추모하는 묵념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8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15.
5117 뉴질랜드 국제시장 상품가격 하락, 뉴질랜드 달러 약세로 완화 일요시사 20.04.09.
5116 뉴질랜드 경찰 ,부활절 휴가 기간 이동하는 사람들 단속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5 뉴질랜드 아던 총리, 모든 입국자 들에게 강제적 14일간 격리 수용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4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09.
511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 고프 시장, 레이트 3.5% 인상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2 뉴질랜드 뉴질랜드,1,000명 이상의 코비드19 확진자에 1명의 사망자를 낸 유일한 국가 일요시사 20.04.09.
5111 뉴질랜드 모든 뉴질랜드 입국자들에게 강력한 의무 자가격리 방침 발표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0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9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8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5107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5106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5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3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