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잘못한 것 없지만 적극적으로 고려하겠다”… 탄핵 조사 부정적 입장은 ‘여전’
 

dtrump.jpg
▲ 지난 6월 대선 출정식에서 지지자들의 환호에 화답하는 제스처를 쓰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의회 탄핵청문회에서 직접 증언하라고 촉구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핵심 증인 8명이 나오는 공개 청문회 속개를 앞둔 가운데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17일 < CBS 방송 >에 출연하여 증인으로 나와 직접 진술하든, 아니면 서면 답변을 하든, 대통령 본인이 탄핵 조사에 응하라고 요구했다.

펠로시 의장은 “무죄를 입증할 변명(exculpatory)”이 있으면, 본인이 직접 내놓으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어떤 정보가 됐든, 직접 대면하기를 기대한다는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원한다면 탄핵 조사 위원들 바로 앞에서 모든 진실을 털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도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본인뿐 아니라, 주변 인물들과 백악관 관계자들도 탄핵 조사에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대표는 주변 사람들이 탄핵 조사 위원회에 나와 선서하고 증언하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허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악관 측이 계속해서 탄핵 조사에 협조하지 않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 조사는 지난 13일 공개청문회로 시작되면서 국내외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원조를 도구로, 정치적 경쟁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일가에 대한 조사를 압박했다는 의혹 당시의 실무를 담당했던 당국자들의 증언이 있었다.

윌리엄 테일러 우크라이나 대리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부통령 조사 계획 진척상황을 직접 챙겼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조지 켄트 국무부 부차관보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관련 사안을 “비정상적인 경로(irregular channel)”를 만들어 처리하려 했다고 말했다. 또한 당시 갑작스럽게 자리에서 물러난 마리 요바노비치 전 우크라이나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위협을 느꼈다고 증언했다. 모두가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불리한 진술들이다.

백악관 당국자가 16일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고위 관계자 마크 샌디는 비공개 증언을 통해 당시 트럼프 대통령 지시로 4억 달러 가까운 대우크라이나 원조금 집행을 보류한 과정에 대해 5시간에 걸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원조금 집행을 보류한 과정이 정상적이었나 살핀 것으로, 샌디는 ‘정무직 인사가 이런 업무에 관여한 것이 일상적이지 않았다’고 증언한 것으로 < CNN >이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민주당의 요구와 관련하여 트럼프는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18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내가 아무것도 잘못한 것은 없지만 적법 절차를 무시한 탄핵 괴담에 신뢰성을 주고 싶지 않다’면서 “의회가 초점을 다시 맞출 수 있도록 그것(탄핵 조사 직접 협조)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덧붙였다.

탄핵조사에 대해 부정적인 트럼프의 입장이 바뀐 것이 아니냐는 말도 돌고 있으나 거부하는 입장을 바꾼 것은 아니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트위터 글에서도 펠로시 의장이 “사기(phony) 탄핵”이자 “마녀 사냥”을 이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17일에도 탄핵은 “민주당의 일상적이고 정파적인 무기”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 의회에서 계속 트럼프 대통령에게 불리한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하원 감사실은 18일 연방 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이 로버트 뮬러 특별검사에게 거짓말을 했는지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뮬러 특검은 최근 지난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후보 진영과 러시아 측이 유착했다는 의혹 등에 관해 조사했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캐나다 캘거리중앙도서관, 개관 1주년 맞아...총 174만 명 방문 CN드림 19.11.13.
4776 캐나다 앨버타 분리독립, 정치세력화 추진...“Wexit Alberta”, 서부 캐나다 분리독립 지지 확산 CN드림 19.11.13.
4775 캐나다 썸머타임 해제가 야생동물 충돌 위험 높여...차량 손해배상청구 원인 2위 차지 CN드림 19.11.13.
4774 캐나다 앨버타 역대 최고 로또 잿팟 주인공 나타나...63세 타이 트린, 6천 5백만불 수령 CN드림 19.11.13.
4773 캐나다 캐나다 현충일 행사, 전국 곳곳에서 시작 CN드림 19.11.13.
4772 캐나다 엔카나(Encana) 캘거리에서 미국으로 본사 이전..."상실감 견디기 어려울 것" CN드림 19.11.13.
4771 미국 연방 대법, ‘불체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 심리 코리아위클리.. 19.11.15.
4770 미국 탄핵정국 본격화… 트럼프 탄핵 공개청문회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9 미국 올랜도 호텔 객실서 성경이 사라지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8 미국 11월은 당뇨병 자각의 달 ,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9.11.16.
4767 캐나다 밴쿠버 | 지출 줄여 적자 없앤다는 RCMP BC청, 치안엔 영향 없나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6 캐나다 밴쿠버 | 버스노조 파업, 운행 10%이상 감축 예상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5 캐나다 밴쿠버 | K-뷰티 중소기업들, 밴쿠버에서 가능성을 찾다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4 캐나다 내년 앨버타 경기 회복한다는데 캘거리는? file CN드림 19.11.19.
4763 캐나다 캘거리 마리화나 합법화 비용 1천만불 넘어서 file CN드림 19.11.19.
4762 캐나다 앨버타 일자리, 풀타임 늘고 파트타임 줄고..캘거리, 에드먼튼 실업률은 국내 평균 웃돌아 file CN드림 19.11.19.
4761 캐나다 NDP, “UCP, 부정부패 의혹 커져 간다” file CN드림 19.11.26.
4760 캐나다 캘거리, 바퀴벌레 창궐 비상사태 _ 식당, 아파트, 일반 주택 등 가리지 않고 확산 file CN드림 19.11.26.
4759 캐나다 CBE, 교사 300명에게 계약 종료 통지 file CN드림 19.11.26.
4758 미국 플로리다는 성형에 가장 집착하는 주 코리아위클리.. 1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