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 자녀의 성품 형성에는 부모 역할 매우 중요

(워싱턴 디시=코리아위클리) 엔젤라 김(교육 칼럼니스트) = 부모라고 하면 과연 자녀를 어떻게 키우는 것이 정말 제대로 키우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안 해본 사람이 아무도 없을 것이다. 특별한 목표와 계획이 없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이 좋다 하면 따라서 우왕좌왕 따라 해보기도 하고 또 정해 놓은 목표가 있어도 아이들의 성격과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시행 착오를 겪으면서 그렇게 한 해 한 해 아이들이 나이를 먹어가는 듯싶다.
 
angela.jpg
▲ 엔젤라 김
 
그런데 남의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 아, 저 아이는 참 잘 키웠구나, 참 가정 교육이 반듯이 되었다”라고 느낌이 드는 아이들은, 그리고 정말 부러운 아이들은 특별히 공부를 잘하거나 어떤 재능이 뛰어나서 상을 받았거나 하는 아이들보다 “성격이 짱이야, 예의가 참 바르네” 하는 아이들이다. 세상적으로 무엇을 성취하고 출세 해서 ‘난 사람’ 이 있고, 지식이 풍부하고 아는 것이 많아서 ‘든 사람’이 있지만 정작 우리가 키우고 싶은 아이들은 인격적으로 훌륭한 ‘된 사람’이 아닌가. 물론 난 사람과 든 사람의 요소까지 모두 갖추기를 원하는 것이 부모의 욕심이요 바람이기도 하지만 말이다.

학교에서도 보면 인기 있는 아이들, 즉 또래 아이들이 따르고 좋아하는 아이들은 (특히 한국에서의 경우) 춤, 노래를 잘하거나, 유머러스 한 아이들, 공부를 잘 하는 아이들이기도 하겠지만 성격이 좋은 아이들이야 말로 진정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는다.

그럼 성품이나 성격이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이 수 많은 연구를 하고 이론 체계를 세웠지만 필자는 그저 아이 엄마의 입장에서, 학생들을 상담하는 가운데 생각하게 된 것들을 조금 나누어볼까 한다. 성격은 물론 타고 나지만, 특별히 부모의 그것을 무척 닮지만, 자라나면서 형성되는 부분이 훨씬 크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성품을 교육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드라마에서 자주 설정되는 테마 중에 한 가지가 이것이다. 두 남녀가 너무나 사랑하고 그 중 하나는 흔히 말하는 콩가루 집안에서 자랐다. 그러나 두 남녀는 집안의 내력은 무시한 채, 부모나 가정 내력은 두 남녀의 결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생각으로 ‘사랑’만을 내세우며 결혼을 고집하고 집안 내력을 문제 삼는 사람들은 마치 시대에 뒤떨어지고 저속한 부류인양 매도된다.

드라마는 대부분 ‘사랑’의 승리로 끝나고 그것으로 해피 엔딩을 알린다. 그러나 드라마는 그 결혼 이후의 이야기는 전혀 다루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해피 엔딩인지 섣불리 결정해서는 안 된다.

필자도 어렸을 때는(철이 덜 들었을 때는) 사랑이 중요하지 그깟 집안 분위기가 무슨 대수야 하는 부류였지만 살면 살수록, 이런 저런 사람을 대하면 대할수록 한 사람의 인격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어떤 교육을 받았는지, 어떤 환경에서 자랐는지가 얼마나 중요한지 많이 느낀다.

그럼 한 인격으로써 가질 수 있는 바람직한 성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구체적으로 어떤 성격들이 사람들의 호감을 불러 일으키며 또 ‘내 자식이지만 참 기특해’ 하는 탄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들일까.

중세에 쓰여진 서사시 “싸이코마키아(영혼의 내용물)”에는 그 유명한 일곱 가지 미덕이 나온다. 이 미덕을 가지고 있어야 각종 유혹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으며 일곱 가지 치명적인 죄를 짓지 않을 수 있다고 쓰여 있다. 순결, 절제, 관대함, 근면, 인내, 친절, 겸손이 그것이다.

유학 상담을 하면서 학생이 학교에 입학 신청을 할 때 필요한 서류들 중에 부모들이 자녀들에 대하여 설문 조사서를 쓰고, 또 잘 아는 개인이 학생에 대하여 추천서를 쓰게 되어있는 것이 있는데, 아이의 바람직한 성격에 대해서 쓰는 난에 가장 많이 쓰시는 내용들을 보면 ‘배려가 깊다’, ‘친절 하다’, ‘예의가 바르다’, ‘긍정적이다’, ‘활발하다’, ‘책임감이 강하다’, ‘독립심이 강하다’, ‘남의 말을 잘 들어 준다’ 등등이다.

어쨌든 살면서 형성된 이런 저런 성품들이 아주 천천히 한 사람의 인생을 성공과 실패로 갈라놓는 듯싶다. 그런 면에서 우리 부모들이 이 성품이라는 면을 더욱 신경 쓰고 적극적으로 교육해야 하겠다. 다음 주부터는 오늘 생각해본 여러 가지 성품의 덕목들 중 중요한 것들을 한 가지씩 더욱 자세히 생각해 보고 어떻게 교육해 볼지 나누어 보기로 한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상담 그룹, www.angelaconsulting.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캐나다 캘거리중앙도서관, 개관 1주년 맞아...총 174만 명 방문 CN드림 19.11.13.
4776 캐나다 앨버타 분리독립, 정치세력화 추진...“Wexit Alberta”, 서부 캐나다 분리독립 지지 확산 CN드림 19.11.13.
4775 캐나다 썸머타임 해제가 야생동물 충돌 위험 높여...차량 손해배상청구 원인 2위 차지 CN드림 19.11.13.
4774 캐나다 앨버타 역대 최고 로또 잿팟 주인공 나타나...63세 타이 트린, 6천 5백만불 수령 CN드림 19.11.13.
4773 캐나다 캐나다 현충일 행사, 전국 곳곳에서 시작 CN드림 19.11.13.
4772 캐나다 엔카나(Encana) 캘거리에서 미국으로 본사 이전..."상실감 견디기 어려울 것" CN드림 19.11.13.
4771 미국 연방 대법, ‘불체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 심리 코리아위클리.. 19.11.15.
4770 미국 탄핵정국 본격화… 트럼프 탄핵 공개청문회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9 미국 올랜도 호텔 객실서 성경이 사라지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8 미국 11월은 당뇨병 자각의 달 ,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9.11.16.
4767 캐나다 밴쿠버 | 지출 줄여 적자 없앤다는 RCMP BC청, 치안엔 영향 없나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6 캐나다 밴쿠버 | 버스노조 파업, 운행 10%이상 감축 예상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5 캐나다 밴쿠버 | K-뷰티 중소기업들, 밴쿠버에서 가능성을 찾다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4 캐나다 내년 앨버타 경기 회복한다는데 캘거리는? file CN드림 19.11.19.
4763 캐나다 캘거리 마리화나 합법화 비용 1천만불 넘어서 file CN드림 19.11.19.
4762 캐나다 앨버타 일자리, 풀타임 늘고 파트타임 줄고..캘거리, 에드먼튼 실업률은 국내 평균 웃돌아 file CN드림 19.11.19.
4761 캐나다 NDP, “UCP, 부정부패 의혹 커져 간다” file CN드림 19.11.26.
4760 캐나다 캘거리, 바퀴벌레 창궐 비상사태 _ 식당, 아파트, 일반 주택 등 가리지 않고 확산 file CN드림 19.11.26.
4759 캐나다 CBE, 교사 300명에게 계약 종료 통지 file CN드림 19.11.26.
4758 미국 플로리다는 성형에 가장 집착하는 주 코리아위클리.. 1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