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아메리칸 이코노미>, 미국 100개 도시 추려 분석
 
chicago.jpg
▲ 이민자에 친화적인 도시로 꼽힌 시카고 도심 지역 모습.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에서 불법이민자 추방이나 청소년추방유예 프로그램(DACA) 종료 시도 등 반이민정책이 거세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백악관과 국무부가 주도하는 연방 정책이 주 혹은 시 등 지방정부의 정책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같은 주들은 종종 성역 도시와 같은 문제에서 연방 당국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다. 성역 도시는 불법이민 범죄자들의 정보를 연방 정부와 공유하기를 거부하는 지역을 일컫는다.

또 시카고와 같은 도시들은 이민 자체는 물론 이민자가 만들어내는 다문화 프리즘을 북돋우며 이민자들이 더 넓은 공동체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난 14일 나온 <뉴 아메리칸 이코노미’(New American Economy·NAE)>의 보고서는 이같은 이민 친화적인 도시들을 소개하면서 미국내 어느 도시가 이민자들을 가장 환영하고 그들의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촉진하고 다양성과 문화적 교류를 장려하고 있는지 밝혔다.

이민개혁을 추구하는 초당적 비영리 연구단체인 NAE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발표한 연례 도시 지수에서 시카고는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다. 지난해 이민자 친화 도시 지수에서는 뉴어크(Newark)가 1위에 올랐고, 시카고는 8위를 기록했었다.

보고서는 인구조사국 자료를 바탕으로 총 인구는 20만 명 이상, 외국 태생의 인구는 1만 명 이상, 그리고 외국 태생의 전체 인구 비율이 3.6퍼센트 이상인 100개 도시를 골라내 ‘지방정부 방침’, ‘경제력 육성’, ‘포용성’, ‘커뮤니티 역량’, ‘법적 지원’ 등 5개 범주 51개 항목의 점수로 순위를 매겼다.

올해 1위인 시카고는 평균 점수 4.38점(5점 만점)을 얻었다. 시카고는 특히 이민서류 미비자와 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제도 수혜자 등을 위한 법률 지원 환경이 양호한 점이 두드러졌다.

시카고에 이어 샌디에고 남쪽의 출라비스타(4.33점)가 2위를 차지했고, 뉴저지주 저지시티(4.30점), 샌프란시스코(4.25점), 볼티모어(4.23점), 뉴욕(4.03점) 등이 뒤를 이었다.

NAE는 뉴욕 시장을 지낸 마이클 블룸버그가 일부 정치가 및 기업가들과 함께 2010년에 설립한 단체로, 이민개혁에 대한 여론을 조성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단체의 웹페이지에는 "우리의 경제를 성장시키고 모든 미국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똑똑한 연방, 주 및 지방 이민 정책을 위해 싸운다"는 목표가 명시되어 있다.

NAE는 첫 번째 보고서에서 "포춘 500대 기업 중 40% 이상이 이민자나 그들의 자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는 우리의 경제와 사회에서 이민자들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대화의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도약대이다."라고 밝히며 이민자들이 미국 사회에 끼친 막대한 공헌을 강조한 바 있다.

다음은 NAE 선정 20위권 도시들이다.

1. Chicago, IL
2. Chula Vista, CA
3. Jersey City, NJ
4. San Francisco, CA
5. Baltimore, MD
6. New York, NY
7. Anaheim, CA / Newark, NJ / San Jose, CA (tied)
8. Los Angeles, CA / Portland, OR (tied)
9. Philadelphia, PA
10. Washington, D.C.
11. Cleveland, OH
12. Cincinnati, OH / Greensboro, NC / San Diego, CA (동위)
13. Seattle, WA
14. Detroit, MI
15 Fremont, CA / Riverside, CA / Sacramento, CA (동위)
16. Irvine, CA
17. Albuquerque, NM / Milwaukee, WI / Oakland, CA (동위)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37 캐나다 컨트리 스타, Urban 그레이컵 하프타임 공연한다 CN드림 19.10.08.
4836 캐나다 캐나다 성별임금격차 13.3% 밴쿠버중앙일.. 19.10.10.
4835 캐나다 비싼 좌석 옵션 팔고도 나몰라라 하는 에어캐나다 밴쿠버중앙일.. 19.10.10.
4834 캐나다 밴쿠버 | 사람에게 알레르기 유발 독나방확산 방지 주민 협조 필요 밴쿠버중앙일.. 19.10.10.
4833 미국 올랜도 6세아동에 수갑 채운 경찰 결국 해고 file 코리아위클리.. 19.10.14.
4832 미국 6주 동안 허리케인의 '눈'이 3차례 지났다면? 코리아위클리.. 19.10.14.
4831 미국 미국 빈부 격차 더 커졌다… 소득격차 50년 이래 최고치 코리아위클리.. 19.10.14.
4830 미국 ‘상승세’ 엘리자베스 워런, 민주당 대선 경선 선두 코리아위클리.. 19.10.14.
4829 캐나다 밴쿠버 | 시골 마을 주민들 텃세에 별장 임대 불법화 밴쿠버중앙일.. 19.10.17.
4828 캐나다 밴쿠버 | HPV면역으로 자궁경부암발병 절반 감소 밴쿠버중앙일.. 19.10.17.
4827 캐나다 연방총선 각 당 지지도 말고 진짜 각 당별 예상되는 의석 수는? 밴쿠버중앙일.. 19.10.17.
4826 캐나다 BC정부, 마리화나 합법화 관리 잘했다 자평 밴쿠버중앙일.. 19.10.22.
4825 캐나다 BC주민 13%, 합법화 후 마리화나 시작 밴쿠버중앙일.. 19.10.22.
4824 캐나다 내 자녀가 캐나다 주인으로 이 땅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길 밴쿠버중앙일.. 19.10.22.
4823 미국 '세계 최대 크리스마스 빛 메이즈' 플로리다에 온다 코리아위클리.. 19.10.22.
4822 미국 플로리다 포트 마이어스, 미국 은퇴지 1위에 코리아위클리.. 19.10.22.
4821 미국 내년 소셜 시큐리티 연금 1.6% 인상 코리아위클리.. 19.10.22.
4820 미국 미국 낙태율, 44년 이래 최저치 기록 코리아위클리.. 19.10.22.
4819 미국 트럼프 행정부, 이민 신청자에 건강보험 가입 요구 코리아위클리.. 19.10.22.
4818 미국 미 의회, 백인 우월주의 단체 ‘테러집단’ 지정 움직임 코리아위클리.. 1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