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아메리칸 이코노미>, 미국 100개 도시 추려 분석
 
chicago.jpg
▲ 이민자에 친화적인 도시로 꼽힌 시카고 도심 지역 모습.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에서 불법이민자 추방이나 청소년추방유예 프로그램(DACA) 종료 시도 등 반이민정책이 거세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백악관과 국무부가 주도하는 연방 정책이 주 혹은 시 등 지방정부의 정책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같은 주들은 종종 성역 도시와 같은 문제에서 연방 당국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다. 성역 도시는 불법이민 범죄자들의 정보를 연방 정부와 공유하기를 거부하는 지역을 일컫는다.

또 시카고와 같은 도시들은 이민 자체는 물론 이민자가 만들어내는 다문화 프리즘을 북돋우며 이민자들이 더 넓은 공동체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난 14일 나온 <뉴 아메리칸 이코노미’(New American Economy·NAE)>의 보고서는 이같은 이민 친화적인 도시들을 소개하면서 미국내 어느 도시가 이민자들을 가장 환영하고 그들의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촉진하고 다양성과 문화적 교류를 장려하고 있는지 밝혔다.

이민개혁을 추구하는 초당적 비영리 연구단체인 NAE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발표한 연례 도시 지수에서 시카고는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다. 지난해 이민자 친화 도시 지수에서는 뉴어크(Newark)가 1위에 올랐고, 시카고는 8위를 기록했었다.

보고서는 인구조사국 자료를 바탕으로 총 인구는 20만 명 이상, 외국 태생의 인구는 1만 명 이상, 그리고 외국 태생의 전체 인구 비율이 3.6퍼센트 이상인 100개 도시를 골라내 ‘지방정부 방침’, ‘경제력 육성’, ‘포용성’, ‘커뮤니티 역량’, ‘법적 지원’ 등 5개 범주 51개 항목의 점수로 순위를 매겼다.

올해 1위인 시카고는 평균 점수 4.38점(5점 만점)을 얻었다. 시카고는 특히 이민서류 미비자와 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제도 수혜자 등을 위한 법률 지원 환경이 양호한 점이 두드러졌다.

시카고에 이어 샌디에고 남쪽의 출라비스타(4.33점)가 2위를 차지했고, 뉴저지주 저지시티(4.30점), 샌프란시스코(4.25점), 볼티모어(4.23점), 뉴욕(4.03점) 등이 뒤를 이었다.

NAE는 뉴욕 시장을 지낸 마이클 블룸버그가 일부 정치가 및 기업가들과 함께 2010년에 설립한 단체로, 이민개혁에 대한 여론을 조성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단체의 웹페이지에는 "우리의 경제를 성장시키고 모든 미국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똑똑한 연방, 주 및 지방 이민 정책을 위해 싸운다"는 목표가 명시되어 있다.

NAE는 첫 번째 보고서에서 "포춘 500대 기업 중 40% 이상이 이민자나 그들의 자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는 우리의 경제와 사회에서 이민자들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대화의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도약대이다."라고 밝히며 이민자들이 미국 사회에 끼친 막대한 공헌을 강조한 바 있다.

다음은 NAE 선정 20위권 도시들이다.

1. Chicago, IL
2. Chula Vista, CA
3. Jersey City, NJ
4. San Francisco, CA
5. Baltimore, MD
6. New York, NY
7. Anaheim, CA / Newark, NJ / San Jose, CA (tied)
8. Los Angeles, CA / Portland, OR (tied)
9. Philadelphia, PA
10. Washington, D.C.
11. Cleveland, OH
12. Cincinnati, OH / Greensboro, NC / San Diego, CA (동위)
13. Seattle, WA
14. Detroit, MI
15 Fremont, CA / Riverside, CA / Sacramento, CA (동위)
16. Irvine, CA
17. Albuquerque, NM / Milwaukee, WI / Oakland, CA (동위)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캐나다 캘거리중앙도서관, 개관 1주년 맞아...총 174만 명 방문 CN드림 19.11.13.
4776 캐나다 앨버타 분리독립, 정치세력화 추진...“Wexit Alberta”, 서부 캐나다 분리독립 지지 확산 CN드림 19.11.13.
4775 캐나다 썸머타임 해제가 야생동물 충돌 위험 높여...차량 손해배상청구 원인 2위 차지 CN드림 19.11.13.
4774 캐나다 앨버타 역대 최고 로또 잿팟 주인공 나타나...63세 타이 트린, 6천 5백만불 수령 CN드림 19.11.13.
4773 캐나다 캐나다 현충일 행사, 전국 곳곳에서 시작 CN드림 19.11.13.
4772 캐나다 엔카나(Encana) 캘거리에서 미국으로 본사 이전..."상실감 견디기 어려울 것" CN드림 19.11.13.
4771 미국 연방 대법, ‘불체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 심리 코리아위클리.. 19.11.15.
4770 미국 탄핵정국 본격화… 트럼프 탄핵 공개청문회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9 미국 올랜도 호텔 객실서 성경이 사라지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8 미국 11월은 당뇨병 자각의 달 ,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9.11.16.
4767 캐나다 밴쿠버 | 지출 줄여 적자 없앤다는 RCMP BC청, 치안엔 영향 없나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6 캐나다 밴쿠버 | 버스노조 파업, 운행 10%이상 감축 예상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5 캐나다 밴쿠버 | K-뷰티 중소기업들, 밴쿠버에서 가능성을 찾다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4 캐나다 내년 앨버타 경기 회복한다는데 캘거리는? file CN드림 19.11.19.
4763 캐나다 캘거리 마리화나 합법화 비용 1천만불 넘어서 file CN드림 19.11.19.
4762 캐나다 앨버타 일자리, 풀타임 늘고 파트타임 줄고..캘거리, 에드먼튼 실업률은 국내 평균 웃돌아 file CN드림 19.11.19.
4761 캐나다 NDP, “UCP, 부정부패 의혹 커져 간다” file CN드림 19.11.26.
4760 캐나다 캘거리, 바퀴벌레 창궐 비상사태 _ 식당, 아파트, 일반 주택 등 가리지 않고 확산 file CN드림 19.11.26.
4759 캐나다 CBE, 교사 300명에게 계약 종료 통지 file CN드림 19.11.26.
4758 미국 플로리다는 성형에 가장 집착하는 주 코리아위클리.. 1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