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오남용, 과도한 음주, 자살 사망자 증가 등이 원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인들의 ‘기대수명(life expectancy)’이 최근 3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 살까지 살 수 있을지 예측하는 수치를 말하는 기대수명은 한 나라 국민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황을 살필 수 있는 척도이다.

지난26일 <미국의사협회저널>(JAMA)을 통해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년 78.9세로 최고치를 기록한 기대수명은 계속 소폭으로 줄어서 2017년에는 78.6세로 떨어졌다. 지난 50여년 동안은 가파르게 기대수명이 높아지는 추세였는데, 정점을 찍은 뒤에 내려가는 흐름으로 바뀐 것이다.

미국인들의 기대수명은 1959년 69.9세에서 2014년 78.9세로 무려 10살 가까이 높아졌었다. 의학기술이 발달하고 생활환경이 개선되면서 미국인들의 전반적인 건강이 향상된 것이다.

이같은 상향 추세가 갑자기 감소 추세로 바뀐 이유는 세 가지로 꼽힌다. 약물 오남용과 과도한 음주, 그리고 자살로 인한 사망 사례가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연구진이 25세부터 64세까지 노동 가능 인구의 사망 원인을 담은 ‘미국 사망 통계(USMD)’와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세 가지 주요 원인으로 인한 사망 사례 가운데 약물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 1999년부터 2017년 사이 약물 오남용 사망 사례가 386.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음주와 연결되는 간 질환과 간경변 등 관련 사망은 40.6% 증가했다. 자살 사망도 38.3% 많아졌다.

연구를 주관한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의 스티븐 울프 박사는 “다른 잘 사는 나라들에서는 기대수명이 계속 증가하는데, 미국은 뒤처져 가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이유를 미국 일부 지역의 경제.사회적 형편과 연결지었다.

가령 미국 북동부 해안에 접한 ‘뉴잉글랜드’ 지역과 함께, 오하이오와 웨스트버지니아, 켄터키, 인디애나주 등지에서 이번 조사 결과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는데, 이 곳은 한때 제조업이 번창했다가 쇠락한 ‘러스트 벨트’와 겹친다. 러스트 벨트 지역이 경제적 타격으로 일자리가 대거 사라지면서 약물과 음주 관련 사망, 그리고 자살이 많아진 것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캐나다 캘거리중앙도서관, 개관 1주년 맞아...총 174만 명 방문 CN드림 19.11.13.
4776 캐나다 앨버타 분리독립, 정치세력화 추진...“Wexit Alberta”, 서부 캐나다 분리독립 지지 확산 CN드림 19.11.13.
4775 캐나다 썸머타임 해제가 야생동물 충돌 위험 높여...차량 손해배상청구 원인 2위 차지 CN드림 19.11.13.
4774 캐나다 앨버타 역대 최고 로또 잿팟 주인공 나타나...63세 타이 트린, 6천 5백만불 수령 CN드림 19.11.13.
4773 캐나다 캐나다 현충일 행사, 전국 곳곳에서 시작 CN드림 19.11.13.
4772 캐나다 엔카나(Encana) 캘거리에서 미국으로 본사 이전..."상실감 견디기 어려울 것" CN드림 19.11.13.
4771 미국 연방 대법, ‘불체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 심리 코리아위클리.. 19.11.15.
4770 미국 탄핵정국 본격화… 트럼프 탄핵 공개청문회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9 미국 올랜도 호텔 객실서 성경이 사라지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9.11.15.
4768 미국 11월은 당뇨병 자각의 달 ,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9.11.16.
4767 캐나다 밴쿠버 | 지출 줄여 적자 없앤다는 RCMP BC청, 치안엔 영향 없나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6 캐나다 밴쿠버 | 버스노조 파업, 운행 10%이상 감축 예상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5 캐나다 밴쿠버 | K-뷰티 중소기업들, 밴쿠버에서 가능성을 찾다 밴쿠버중앙일.. 19.11.19.
4764 캐나다 내년 앨버타 경기 회복한다는데 캘거리는? file CN드림 19.11.19.
4763 캐나다 캘거리 마리화나 합법화 비용 1천만불 넘어서 file CN드림 19.11.19.
4762 캐나다 앨버타 일자리, 풀타임 늘고 파트타임 줄고..캘거리, 에드먼튼 실업률은 국내 평균 웃돌아 file CN드림 19.11.19.
4761 캐나다 NDP, “UCP, 부정부패 의혹 커져 간다” file CN드림 19.11.26.
4760 캐나다 캘거리, 바퀴벌레 창궐 비상사태 _ 식당, 아파트, 일반 주택 등 가리지 않고 확산 file CN드림 19.11.26.
4759 캐나다 CBE, 교사 300명에게 계약 종료 통지 file CN드림 19.11.26.
4758 미국 플로리다는 성형에 가장 집착하는 주 코리아위클리.. 1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