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자 주택소유 비율 상대적으로 높아

BC 첫 주택구입자 중간소득 6만 1200불

기존주택 소유주만 주택구입 가능성 있어

 

캐나다의 주택가격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소득을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특히 고소득자 위주로 주택 소유 비율이 높아 부익부 빈익빈의 양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방통계청이 주택소유와 소득 그리고 주택자산가치 분석 자료를 발표했는데, 주택소유자의 소득이 그렇지 못한 측보다 2배나 높다고 나왔다.

 

2017년도에 BC주에서 첫 주택을 구입하고 주택구입세금감면(home buyers’ amount HBA)를 신청한 주택소유주의 세전 중간소득은 6만 1200달러였다. 기존 주택 소유자는 4만 7000다러였으며,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주민은 고작 2만 4400달러에 불과했다.

 

온타리오주는 HBA 신청자 주택소유자는 5만 9100달러, 기존 주택소유자는 4만 4300달러, 그리고 무주택자는 2만 2900달러였다.

 

결국 캐나다 대도시에서 고소득 전문직을 갖고 있지 못한 무주택자는 주택을 구입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얘기다. 그래도 계속 돈을 벌면 언젠가는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꿈을 꾸지만 이도 만만치 않다.

 

이번 자료에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중간소득자의 수입이 27.6% 올랐는데, 같은 기간 주택가격은 69.1%로 2배 넘게 더 크게 올랐다. 결국 지금 고소득 전문직이 아니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주택구입이 힘들어진다는 의미다. 

 

주택소유주들의 집값은 어느 정도인가를 보면 BC주의 경우 HBA를 청구한 고소득 새 주택구입자의  중간 주택가격은 44만 6000달러로 기존 주택소유자의 64만 5000달러에 비해 낮았다. 즉 고소득자도 이미 주택을 갖고 있는 사람들보다 자산가치가 낮다는 얘기다. 결국 소득으로 주택을 사는 일은 힘들고 소득과 상관없이 기존 주택을 갖고 있었던 사람들만이 집값 상승에 다른 집을 살 수 있는 밑천이 있다는 결론이다. 

 

BC주에서 단독주택을 가진 주택소유주 비율은 52.8%이고 HBA 청구한 새 주택구입자도 25.7%여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주택소유비율을 보여 결국 빈익빈 부익부의 문제가 제일 심각하고 개선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아파트의 경우는 오히려 HBA 청구한 새 주택구입자 비율이 40.2%로 다른 주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고, 기존 주택소유주의 비율도 15.3%여서, BC주는 이제 무주택자가 캐나다의 대표적인 주택형태인 단독주택의 구입은 요원하고 아파트를 선호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세계적인 금융자문전문기관인 KPMG 캐나다 지사도 주택이 없는 세대의 주택구입 가능성은 점점 더 힘들어진다는 조사보고서를 내놓았다.

 

캐나다의 밀레니엄세대는 아무리 좋은 직장을 가지고 있어도 주택을 구입할 정도로 여유가 없다는 절망적인 결론을 내렸다. 

 

이번 조사에서 72%의 밀레니엄 세대가 주택구입을 자신들의 삶의 목표라고 밝혔지만, 46%가 몽상(pipedream)이라고 대답을 했다. 그나마 주택을 가지고 있는 밀레니엄 세대의 46%는 주택구입을 위해 부모로부터 재정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대답했다. 즉 부모라도 주택이 있어야 그나마 도움을 받아 주택소유주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이다.

 

KPMG 캐나다는 캐나다에서 밀레니엄세대가 13년간 저축을 해야 20%의 다운페이를 마련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부모세대가 1976년에 5년 걸리던 것에 4배나 오래 걸린다. 그러나 이는 현재 주택가격이 소득과 같은 정도로 오를 때나 가능한 일이다.

 

메트로밴쿠버부동산협회가 3일 발표한 11월 주택거래 통계에 따르면, 단독주택의 벤치마크 가격이 141만 5400달러로 작년 11월에 비해 5.8%가 내렸다. 또 타운하우스는 4.4%가 내린 77만 2800달러, 아파트는 3.8%가 내린 65만 1500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렇게 크게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에 다시 주택소유의 희망을 가져 볼 수 있을 것 같지만, 해당 가격은 100년이 넘게 걸리는 액수여서 언감생심 희망을 갖기에 너무 높다. 

 

11월에 메트로밴쿠버에서 총 주택거래량은 2498건으로 작년 11월보다 55.3%가 늘었다. 그러나 단순하게 현 소득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비율인지, 아니면 기존 주택자나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았는지를 다 감안했을 때 과연 무주택자가 기존 주택거래에 참여 했는지 보기는 힘들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97 미국 연례 메디케어 등록, 이달 15일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0.29.
4796 미국 높아지는 총기 규제 강화 목소리…미국민 60% ‘찬성’ 코리아위클리.. 19.10.29.
4795 캐나다 8월 BC주 평균주급 다시 1000달러 돌파 밴쿠버중앙일.. 19.11.02.
4794 캐나다 세계한인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과 함께 한 궁중무용 밴쿠버중앙일.. 19.11.02.
4793 캐나다 밴쿠버 | 다운타운 고층 빌딩 평가 가치가 1달러...왜? 밴쿠버중앙일.. 19.11.02.
4792 캐나다 캘거리 시, 주거지역 속도제한 강화 시민 의견 수렴키로 CN드림 19.11.05.
4791 캐나다 캘거리 국제 공항, 탑승수속 보다 빠르게 CN드림 19.11.05.
4790 캐나다 캐나다 주택공사는 캘거리 시장 밝게 전망...부동산 향후 2년간 꾸준히 나아질 것 CN드림 19.11.05.
4789 캐나다 Car2go 이번 주 철수한다...캘거리 시, 다른 자동차 공유회사와 논의중 CN드림 19.11.05.
4788 캐나다 텔러스 스파크, ‘Body Worlds : Animal Inside Out’ 전시회 열어 CN드림 19.11.05.
4787 캐나다 남매 판다곰, 내년 초까지 캘거리 머문다...작별 행사 마쳤으나 허가와 항공편에 차질 CN드림 19.11.05.
4786 캐나다 소비스, 스마트 카트 시범 운영...계산대에 줄을 줄이려는 시도 CN드림 19.11.05.
4785 캐나다 몸에 근육들이 무슨 일을 할까? 알고 나면 내 인생이 바뀐다!! CN드림 19.11.05.
4784 미국 마이애미 세미놀 하드락 카지노 호텔 개관 코리아위클리.. 19.11.06.
4783 미국 I-4 개선 프로젝트, 공사 지연 및 인부 사망 등 '몸살' 코리아위클리.. 19.11.06.
4782 미국 오바마 케어 연례 등록 11월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06.
4781 미국 바이든 지지율 부진 벗어나 반등 34%, 워런에 크게 앞서 코리아위클리.. 19.11.06.
4780 미국 미 의회, 전기 자동차 구매 대규모 지원 계획 발표 코리아위클리.. 19.11.06.
4779 미국 미국에서 '부자'는 100만 달러론 어림없다 코리아위클리.. 19.11.06.
4778 미국 '바람 든 무' 골다공증 방치하면 골절 위험 코리아위클리.. 19.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