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자 주택소유 비율 상대적으로 높아

BC 첫 주택구입자 중간소득 6만 1200불

기존주택 소유주만 주택구입 가능성 있어

 

캐나다의 주택가격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소득을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특히 고소득자 위주로 주택 소유 비율이 높아 부익부 빈익빈의 양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방통계청이 주택소유와 소득 그리고 주택자산가치 분석 자료를 발표했는데, 주택소유자의 소득이 그렇지 못한 측보다 2배나 높다고 나왔다.

 

2017년도에 BC주에서 첫 주택을 구입하고 주택구입세금감면(home buyers’ amount HBA)를 신청한 주택소유주의 세전 중간소득은 6만 1200달러였다. 기존 주택 소유자는 4만 7000다러였으며,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주민은 고작 2만 4400달러에 불과했다.

 

온타리오주는 HBA 신청자 주택소유자는 5만 9100달러, 기존 주택소유자는 4만 4300달러, 그리고 무주택자는 2만 2900달러였다.

 

결국 캐나다 대도시에서 고소득 전문직을 갖고 있지 못한 무주택자는 주택을 구입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얘기다. 그래도 계속 돈을 벌면 언젠가는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꿈을 꾸지만 이도 만만치 않다.

 

이번 자료에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중간소득자의 수입이 27.6% 올랐는데, 같은 기간 주택가격은 69.1%로 2배 넘게 더 크게 올랐다. 결국 지금 고소득 전문직이 아니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주택구입이 힘들어진다는 의미다. 

 

주택소유주들의 집값은 어느 정도인가를 보면 BC주의 경우 HBA를 청구한 고소득 새 주택구입자의  중간 주택가격은 44만 6000달러로 기존 주택소유자의 64만 5000달러에 비해 낮았다. 즉 고소득자도 이미 주택을 갖고 있는 사람들보다 자산가치가 낮다는 얘기다. 결국 소득으로 주택을 사는 일은 힘들고 소득과 상관없이 기존 주택을 갖고 있었던 사람들만이 집값 상승에 다른 집을 살 수 있는 밑천이 있다는 결론이다. 

 

BC주에서 단독주택을 가진 주택소유주 비율은 52.8%이고 HBA 청구한 새 주택구입자도 25.7%여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주택소유비율을 보여 결국 빈익빈 부익부의 문제가 제일 심각하고 개선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아파트의 경우는 오히려 HBA 청구한 새 주택구입자 비율이 40.2%로 다른 주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고, 기존 주택소유주의 비율도 15.3%여서, BC주는 이제 무주택자가 캐나다의 대표적인 주택형태인 단독주택의 구입은 요원하고 아파트를 선호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세계적인 금융자문전문기관인 KPMG 캐나다 지사도 주택이 없는 세대의 주택구입 가능성은 점점 더 힘들어진다는 조사보고서를 내놓았다.

 

캐나다의 밀레니엄세대는 아무리 좋은 직장을 가지고 있어도 주택을 구입할 정도로 여유가 없다는 절망적인 결론을 내렸다. 

 

이번 조사에서 72%의 밀레니엄 세대가 주택구입을 자신들의 삶의 목표라고 밝혔지만, 46%가 몽상(pipedream)이라고 대답을 했다. 그나마 주택을 가지고 있는 밀레니엄 세대의 46%는 주택구입을 위해 부모로부터 재정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대답했다. 즉 부모라도 주택이 있어야 그나마 도움을 받아 주택소유주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이다.

 

KPMG 캐나다는 캐나다에서 밀레니엄세대가 13년간 저축을 해야 20%의 다운페이를 마련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부모세대가 1976년에 5년 걸리던 것에 4배나 오래 걸린다. 그러나 이는 현재 주택가격이 소득과 같은 정도로 오를 때나 가능한 일이다.

 

메트로밴쿠버부동산협회가 3일 발표한 11월 주택거래 통계에 따르면, 단독주택의 벤치마크 가격이 141만 5400달러로 작년 11월에 비해 5.8%가 내렸다. 또 타운하우스는 4.4%가 내린 77만 2800달러, 아파트는 3.8%가 내린 65만 1500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렇게 크게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에 다시 주택소유의 희망을 가져 볼 수 있을 것 같지만, 해당 가격은 100년이 넘게 걸리는 액수여서 언감생심 희망을 갖기에 너무 높다. 

 

11월에 메트로밴쿠버에서 총 주택거래량은 2498건으로 작년 11월보다 55.3%가 늘었다. 그러나 단순하게 현 소득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비율인지, 아니면 기존 주택자나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았는지를 다 감안했을 때 과연 무주택자가 기존 주택거래에 참여 했는지 보기는 힘들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37 캐나다 신고된 매장내 성폭행 의심 사건 경찰조사결과, 합의 하에 발행한 불미스러운(?) 상황 밴쿠버중앙일.. 16.05.31.
8536 캐나다 코퀴틀람, 롱 위크엔드에 주택 화재 3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5.31.
8535 캐나다 메트로 시장 vs 주정부, 교통 예산 두고 갈등 밴쿠버중앙일.. 16.05.31.
8534 캐나다 12학년 주정부 시험, 5과목에서 2과목 간소화 밴쿠버중앙일.. 16.05.31.
8533 캐나다 피스 아치 국경 자동차 화재, 다행히 인명 피해 없어 밴쿠버중앙일.. 16.05.31.
8532 캐나다 노스 쇼어 실종 영국인, 2년 반만에 시신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5.31.
8531 캐나다 BC주, 2016년 산불진압 예산 - 이미 절반 지출 밴쿠버중앙일.. 16.06.01.
8530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 다량 수은 발견, BC 환경부 조사 밴쿠버중앙일.. 16.06.01.
8529 캐나다 캠룹스, 뺑소니 운전자 911 신고자 차 훔쳐 도주 밴쿠버중앙일.. 16.06.01.
8528 미국 ‘선샤인 스테이트’ 플로리다 주민들, 피부암 달고 산다?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7 미국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6 미국 1센트를 절약하면 1센트를 버는 것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5 미국 공공 수영장 자세히 조사해 봤더니…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4 미국 공부 잘하려면 밤샘 공부 피해야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3 미국 '청정비치 10위'에 플로리다 비치 3곳 차지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2 미국 진짜 아웃렛 몰 구경하려면 ‘소그래스 밀’에서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1 미국 2016 허리케인 시즌 시작... 올해 전망치는 평균 수준 코리아위클리.. 16.06.02.
8520 캐나다 패스벤더 장관, "트랜스링크 운영방식 변화 없을 것" 밴쿠버중앙일.. 16.06.03.
8519 캐나다 걸프 아일랜드, 벌써 가뭄 3단계 "물 부족 대비해야" 밴쿠버중앙일.. 16.06.03.
8518 캐나다 헬프스 빅토리아 시장, "페이스북 계정 폐쇄, 내 이름 때문" 밴쿠버중앙일.. 1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