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거조건 1).jpg

생산성위원회의 조사 결과 호주인 5명 중 1명이 매년 우울증과 불안감 등 정신건강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 세미나에서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새로운 도시 디자인과 기능이 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더 나은 도시 디자인, 거주민 정신건강 증진시킨다”

도시 계획가-건축가-개발회사-카운슬 등, 시드니 국제 세미나에서 제시

 

거의 절반에 가까운 호주인들이 일생 동안 어떤 종류의 정신 질환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다. 그렇다면 인구가 많고 복잡한 도시가 거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

호주 생산성위원회(Productivity Commission)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건강 악화에 따른 자살과 관련, 연간 3천 명이 목숨을 끊고 있으며,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연간 최대 1천80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전 세계 전문가들의 세미나에서 보다 나은 도시 디자인과 기능이 이 엄청난 재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달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 세미나에서 도시 계획 전문가, 건축가, 개발회사 및 카운슬 관계자들은 정신질환 비율을 줄이고 이를 초래하는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됐다.

현재 약 3천700만 명 인구의 도쿄(Tokyo)에 기반을 둔 ‘도시 계획 및 정신건강 센터’(Centre for Urban Design and Mental Health)의 이탈리아 연구원 앨리스 코바타(Alice Covatta) 박사는 “인구 밀도가 높이지면 거주민의 정신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어 우울증 및 불안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코바트 박사는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 “소음공해, 많은 사람들, 공공 공간 부족, 대형 광고판이 부착된 건축물 등이 특히 그러하며 이런 것들로 인해 거주민들은 정신적 과부하, 과체중, 압박감을 느낄 수 있다”면서 “반면 잘 설계된 도시는 사람들에게 친밀감과 개성을 부여하며, 군중 속에서도 외로움을 덜 느끼게 함으로써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공공 공간을 건축물 내부에 두기보다는 외부로 끌어내고 서점, 도서관, 편안하게 앉아 책을 읽거나 쉴 수 있는 공원과 공공 공간, 그리고 사생활을 즐기면서도 고립감을 느끼지 않을 공공장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주거조건 2).jpg

도시계획 전문가들이 제시한 보다 나은 도시 디자인 가운데는 녹색공간을 두어 거주민들이 교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아파트 거주가 늘어남에 따라 이웃들 간의 갈등 소지를 차단하는 건축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바트 박사의 의견은 인구밀도가 높고 공공 공간이 부족할 경우 고립감을 심화시키고 정신질환 발생 비율도 높아지는 반면 개방적인 도시 디자인을 구축하는 경우, 보다 건강하고 행복감을 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의료-심리-정신의학 지원 기관 접근도 용이하다는 것.

이날 세미나 발표 가운데는 고밀도 지구(high density precinct)와 관련해 건강증진 계획을 연구한 NSW대학교 수잔 톰슨(Sussan Tompson) 교수도 포함되어 있다. 톰슨 교수는 거주민의 복지 증진을 위한 도시계획-디자인-건축 환경을 연구하는 전문가로서 최근 생산성위원회의 정신건강 및 자살 관련 보고서와 관련, 이를 통해 세 가지 교훈을 정리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즉 △거주민들의 신체적 활동 공간을 지원-격려하고, △건강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 연결망을 제공하는 도시 구축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녀에 따르면 최악의 도시는 긴 출퇴근 거리, 지나치게 많은 자동차와 대기오염, 비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지역일수록 취약해지는 녹색 공간 비율 등의 문제점을 가진 도시들로서, 이런 조건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외로움과 이유를 알 수 없는 적대감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종합(주거조건 3).jpg

 

반면 좋은 도시는 가까운 곳에 직장이 있어 유연한 근무 준비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잘 계획된 도로와 보도,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녹지 공간, 커뮤니티 가든, 농산물 직판 마켓(farmers’ markets), 사람들끼리 쉽게 연결되는 공공 공간이 있는 도시이다.

동 대학교 ‘도시 미래연구센터’(City Futures Research Centre)의 도시복지 프로그램 연구 책임이기도 한 톰슨 교수는 “고밀도 아파트 거주가 늘어나면서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같은 의견은 같은 연구센터 헤이즐 이스도프(Hazel Easthope) 박사 또한 마찬가지이다. ‘The Politics and Practices of Apartment Living’(아파트 생활에 대한 정책과 관행)이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한 이스도프 박사는 대도시마다 아파트 거주자들이 늘어나면서 아파트 건축물 설계가 거주민의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스도프 박사는 제대로 설계되지 않은 아파트 블록에 다양한 사람들이 뒤섞여 거주하는 경우 건물 관리 방식, 애완견 소음, 밤늦게까지 이어지는 파티 등 다양한 분쟁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이런 상황에서 거주민들은 종종 긴장감을 느끼고 이것이 정신건강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런 여러 가지 사항을 감안하여 건축된 블록의 경우, 이웃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고 작은 공동체의 결속을 가져오며 거주민들의 정신건강에도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UTS의 도시계획 연구소인 ‘Institute for Sustainable Futures’의 제이슨 프라이어(Jason Prior) 교수 또한 “건축 환경이 심각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며 “(정부의) 도시계획 정책에 거주민의 정신건강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잘 계획된 건축 환경, 잘 계획된 인구밀도는 고립감을 줄여 거주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연방 정부의 의뢰로 생산성위원회가 조사를 진행, 이달 초 내놓은 1차 드라프트 보고서는 호주인 5명 가운데 1명이 매년 우울증, 불안감, 약물사용 등 정신질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거조건 1).jpg (File Size:79.2KB/Download:20)
  2. 종합(주거조건 2).jpg (File Size:100.7KB/Download:19)
  3. 종합(주거조건 3).jpg (File Size:96.2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51 호주 여름철 해변 즐기기... NSW 정부, ‘안전 조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20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저조한 낙찰률, ‘포스트 붐’(post-boom) 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2049 뉴질랜드 NZ 항공기 제작사, 북한에 항공기 부품 간접 수출 유죄 판결받아 NZ코리아포.. 17.10.12.
2048 뉴질랜드 지난 달 뉴질랜드 소비자, 예상보다 소비 적어 NZ코리아포.. 17.10.11.
2047 호주 호주 태동 ‘핵무기 폐기국제운동(ICAN) 2017 노벨 평화상 수상 톱뉴스 17.10.10.
2046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2045 호주 비숍 외교장관, 대북 정책 설명회 - ”외교적 해법” 역설 톱뉴스 17.10.10.
2044 호주 노동당 중진 마이클 댄비, ABC와 ’휴전’..사과는 거부 톱뉴스 17.10.10.
2043 호주 최근 3년간 호주 정착 북한 국적자15명 가량 톱뉴스 17.10.10.
2042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0.
2041 뉴질랜드 Air NZ “기내 Wi-Fi 시범 운영 시작” NZ코리아포.. 17.10.10.
2040 뉴질랜드 교통사고로 졸지에 부모 잃은 2살과 생후 8개월의 두 아기 NZ코리아포.. 17.10.10.
2039 뉴질랜드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NZ코리아포.. 17.10.10.
2038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다섯달째 연속 약세 NZ코리아포.. 17.10.10.
2037 뉴질랜드 5년 동안 8000km 바다 떠돌다 NZ에 도착한 병 편지 NZ코리아포.. 17.10.09.
2036 뉴질랜드 미국 전과 기록 숨겨, 뉴질랜드 시민권 박탈당해 NZ코리아포.. 17.10.09.
2035 뉴질랜드 건강 과일 음료, 스포츠 음료보다 설탕 함유량 더 많아 NZ코리아포.. 17.10.09.
2034 뉴질랜드 오클랜드 해변가에 대형 가오리들 죽은채 떠밀려와 NZ코리아포.. 17.10.09.
2033 뉴질랜드 4백만 달러 매물로 나온 최고급 승용차 NZ코리아포.. 17.10.09.
2032 호주 [월드컵 플레이오프 1차전] 사커루즈, 복병 시리아와 1-1 톱뉴스 17.10.06.
2031 호주 미술 감상하러, 본다이 비치로 간다 톱뉴스 17.10.06.
2030 호주 호주에서 내 입맛에 딱 맞는 빵 찾기 톱뉴스 17.10.06.
2029 호주 옷 소매 터치로 스마트폰 조작…'스마트 재킷' 나왔다 톱뉴스 17.10.06.
2028 호주 시드니, 멜버른 CBD 교통체증 돌파구는? 톱뉴스 17.10.06.
2027 호주 대도시 부동산 가격 상승세 “여전”…상승폭은 완화 톱뉴스 17.10.06.
2026 호주 에너지 수급 대책 팔 걷고 나선 연방정부 톱뉴스 17.10.06.
2025 호주 토요타 VIC 공장 3일부로 폐쇄…90년 역사 대단원 톱뉴스 17.10.06.
2024 호주 특정 도시에 편중된 주택 시장 열기…그 이유는? 톱뉴스 17.10.06.
2023 호주 [2017 세계 주거의 날] 지구촌 16억, “판자촌” 거주 톱뉴스 17.10.06.
2022 호주 ‘북유럽 st’이라면 뭐든지 좋아 톱뉴스 17.10.06.
2021 호주 내 자녀도 호주와 한국 이중국적? 톱뉴스 17.10.06.
2020 호주 이민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추방 조치 가속화 톱뉴스 17.10.06.
2019 호주 호주, 北 위협 맞서 새 프리깃함 9척에 요격체제 갖추기로 톱뉴스 17.10.06.
2018 호주 반환점 지난 동성결혼 우편투표, 찬반 논쟁 “과열” 톱뉴스 17.10.06.
2017 호주 마누스섬 수감 타밀 난민 자살…4년 동안 6번째 사망자 발생 톱뉴스 17.10.06.
2016 뉴질랜드 뉴질랜드 합성 마약 들여오는 일 점점 쉬워지고 있어 NZ코리아포.. 17.10.06.
2015 호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세대간 자산 격차 더욱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4 호주 “영국은 제한된 이민비자 고삐 풀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3 호주 ‘투자용 아파트 구입’ 권유되는 호주 내 5개 도시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2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유권자 4분의 3 참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1 호주 운송 서비스의 새 패러다임 ‘TAAS’, “향후 6년 이내 삶 전체를 바꿔놓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0 호주 오는 2035년, 호주 내 단일성별 학교 사라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9 호주 NSW 주 일부 유명 해변, 건강상 ‘유해’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8 호주 200만 달러로 제작된 ‘웨스트커넥스’ 광고,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7 호주 60년 전의 시드니 트램 흔적, 완전히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6 호주 퀸즐랜드 내륙의 한 목장, ‘노익장’ 과시하는 101세 목축업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5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14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노동절 연휴로 낙찰률 다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3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가격, 약 4만 달러 오른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7.10.05.
2002 뉴질랜드 키위 세이버 재정 문제로 해지, 전년도에 비해 25% 늘어나 NZ코리아포.. 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