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전철 0).jpg

수차례의 공사 지연에 애초 계획보다 거의 두 배에 달하는 공사비용이 소요된  시드니 경전철(Sydney light rail)이 12월14일(토) 오전 11시를 기해 개통된다. 사진은 서큘라키역에 정차해 있는 경전철. 사진: <한국신문>

 

서큘라키-랜드윅 12.8Km 구간, 킹스포드는 내년 3월 개통 예정
평일 오전5시~새벽1시 운행, 주말은 무료, 13억 달러 추가 예산

 

수차례의 공사 지연과 애초 계획보다 무려 공사비가 13억 달러가 늘어난 시드니 경전철(Sydney light rail)이 마침내 공식 개통된다.  베레지클라인(Gladys Berejiklian) NSW 주 총리는 지난 주(5일), “서큘라키(Circular Quay)에서 랜드윅(Randwick) 사이의 12.8km 거리를 운행하는 시드니 경전철이 12월 14일(토) 오전 11시를 기해 승객 운송을 시작할 것”이며 “주말 동안은 무료로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밝혔다.
주 총리는 이어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와 남동부 사이의 경전철 라인은 도시 활성화의 큰 발걸음이며 시드니사이더들의 생활, 업무, 외출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기대를 내비쳤다.


주 정부에 따르면 서큘라키-랜드윅 구간을 운행하는 경전철은 아침 및 저녁 피크 시간대, 한 시간에 최대 1만3,500명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으며, 그 동안 도심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에서 운행하던 콩가 라인 버스(conga line of buses. 버스 두 대를 연결한 이중 버스)를 대체하게 된다. 이날(14일) 오전 11시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는 경전철은 주말 이틀간 11시에서 다음날 오전 1시까지, 그리고 16일(월)부터는 오전 5시-다음날 오전 1시까지 운행된다. 시드니 도심에 경전철이 운행되는 것은 1961년 이후 처음이다.

 

종합(경전철 1).jpg

주 정부에 따르면 주말 이틀간은 무료로 서비스가 제공되며 16일(월)부터는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운행된다.

사진은 시내 타운홀 구간을 시험 운행중인 경전철. 사진: NSW 주 정부

 

애초 시드니 경전철 프로젝트는 수차례의 공사 지연 끝에 마지막 계획은 올해 3월에 개통할 예정이었지만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공사구간 내 여러 시설들과의 법적 분쟁 및 예산 문제로 진통을 겪었다.
이 프로젝트는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가 도로-인프라부 장관이던 당시(Mike Baird 주 총리)에 계획된 것으로서 애초 예산은 16억 달러였다. 그러나 지난 11월 22일  도로-인프라부의 앤드류 콘스탄스(Andrew Constance) 장관의 발표에 따르면 경전철 공사비는 당초 예산보다 13억 달러 이상 늘어난 29억 달러에 달한다. 거의 두 배가 증가한 셈이다.
이는 베레지클리안 주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 가운데 세 번째 많은 비용으로, 지난 2014년 최종 계획은 16억 달러를 투입하는 것이었지만 공사가 시작되기도 전 프로젝트에 대한 오판으로 인해 21억 달러로 수정됐으며, 2016년 토목공사가 시작된 후에는 하청회사인 스페인 건설회사 ‘악시오나’(Acciona)로부터 공사 발주의 잘못으로 인한 배상 소송에 휘말리기도 하는 등 5억8,500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 공사비가 27억 달러로 증가했다.

 

종합(경전철 2).jpg

경전철 라인의 한 구간에서 토목공사를 하고 있는 작업자들. 각 구간별 공사가 지연되면서 도심 지역의 스몰 비즈니스들이 집단으로 영업 손실 피해보상 소송을 청구하는가 하면 지역민들은 소음공해를 호소하기도 했다. 사진: NSW 주 정부


시드니경전철은 공사가 여러 차례 지연되면서 베레지클라인 정부에게는 많은 고민을 안겨준 프로젝트였다. 미흡한 계획 하에 공사가 시작된 이후 비용이 계속 추가된 것 외에도 각 구간별 공사가 늦어지면서 해당 지역 스몰비즈니스 업체들의 반발과 영업 부진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이 잇따랐다. 현재 공사구간 자영업자들이 주 정부를 대상으로 NSW 주 대법원에 제기한 4억 달러 규모의 소송은 아직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이다.
가장 최근 2억 달러가 추가로 늘어났는데, 콘스탄스 장관실에 따르면 이 2억 달러에는 우발사태를 대비한 예비비 8천만 달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외 1억2천만 달러는 공사 지연에 따른 추가 인건비와 스몰비즈니스 피해 보상, 노선 활성화 대책 등에 지원된 비용이다.


이날 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서큘라키-랜드윅 구간 운행에 이어 서큘라키-킹스포드(Kingsford) 구간은 내년 3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된다.
앞서 지난 달 29일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 온 시드니 도심 특정 지역 주류제공 업소의 영업 제한 규정인 ‘Lockout Laws’ 해제(2020년 1월14일부터)를 발표하면서, 이 같은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 시드니 경전철 개통을 언급했다. 야간 대중교통의 안전성과 가용성이 시드니 밤 문화와 야간 경제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하지만 경전철의 심야 운행이 새벽 1시에 끝남에 따라 이 서비스의 효용성은 야간 경제의 활성화와 거의 관련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전철 0).jpg (File Size:61.3KB/Download:18)
  2. 종합(경전철 1).jpg (File Size:74.3KB/Download:19)
  3. 종합(경전철 2).jpg (File Size:98.4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51 호주 여름철 해변 즐기기... NSW 정부, ‘안전 조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20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저조한 낙찰률, ‘포스트 붐’(post-boom) 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2049 뉴질랜드 NZ 항공기 제작사, 북한에 항공기 부품 간접 수출 유죄 판결받아 NZ코리아포.. 17.10.12.
2048 뉴질랜드 지난 달 뉴질랜드 소비자, 예상보다 소비 적어 NZ코리아포.. 17.10.11.
2047 호주 호주 태동 ‘핵무기 폐기국제운동(ICAN) 2017 노벨 평화상 수상 톱뉴스 17.10.10.
2046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2045 호주 비숍 외교장관, 대북 정책 설명회 - ”외교적 해법” 역설 톱뉴스 17.10.10.
2044 호주 노동당 중진 마이클 댄비, ABC와 ’휴전’..사과는 거부 톱뉴스 17.10.10.
2043 호주 최근 3년간 호주 정착 북한 국적자15명 가량 톱뉴스 17.10.10.
2042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0.
2041 뉴질랜드 Air NZ “기내 Wi-Fi 시범 운영 시작” NZ코리아포.. 17.10.10.
2040 뉴질랜드 교통사고로 졸지에 부모 잃은 2살과 생후 8개월의 두 아기 NZ코리아포.. 17.10.10.
2039 뉴질랜드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NZ코리아포.. 17.10.10.
2038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다섯달째 연속 약세 NZ코리아포.. 17.10.10.
2037 뉴질랜드 5년 동안 8000km 바다 떠돌다 NZ에 도착한 병 편지 NZ코리아포.. 17.10.09.
2036 뉴질랜드 미국 전과 기록 숨겨, 뉴질랜드 시민권 박탈당해 NZ코리아포.. 17.10.09.
2035 뉴질랜드 건강 과일 음료, 스포츠 음료보다 설탕 함유량 더 많아 NZ코리아포.. 17.10.09.
2034 뉴질랜드 오클랜드 해변가에 대형 가오리들 죽은채 떠밀려와 NZ코리아포.. 17.10.09.
2033 뉴질랜드 4백만 달러 매물로 나온 최고급 승용차 NZ코리아포.. 17.10.09.
2032 호주 [월드컵 플레이오프 1차전] 사커루즈, 복병 시리아와 1-1 톱뉴스 17.10.06.
2031 호주 미술 감상하러, 본다이 비치로 간다 톱뉴스 17.10.06.
2030 호주 호주에서 내 입맛에 딱 맞는 빵 찾기 톱뉴스 17.10.06.
2029 호주 옷 소매 터치로 스마트폰 조작…'스마트 재킷' 나왔다 톱뉴스 17.10.06.
2028 호주 시드니, 멜버른 CBD 교통체증 돌파구는? 톱뉴스 17.10.06.
2027 호주 대도시 부동산 가격 상승세 “여전”…상승폭은 완화 톱뉴스 17.10.06.
2026 호주 에너지 수급 대책 팔 걷고 나선 연방정부 톱뉴스 17.10.06.
2025 호주 토요타 VIC 공장 3일부로 폐쇄…90년 역사 대단원 톱뉴스 17.10.06.
2024 호주 특정 도시에 편중된 주택 시장 열기…그 이유는? 톱뉴스 17.10.06.
2023 호주 [2017 세계 주거의 날] 지구촌 16억, “판자촌” 거주 톱뉴스 17.10.06.
2022 호주 ‘북유럽 st’이라면 뭐든지 좋아 톱뉴스 17.10.06.
2021 호주 내 자녀도 호주와 한국 이중국적? 톱뉴스 17.10.06.
2020 호주 이민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추방 조치 가속화 톱뉴스 17.10.06.
2019 호주 호주, 北 위협 맞서 새 프리깃함 9척에 요격체제 갖추기로 톱뉴스 17.10.06.
2018 호주 반환점 지난 동성결혼 우편투표, 찬반 논쟁 “과열” 톱뉴스 17.10.06.
2017 호주 마누스섬 수감 타밀 난민 자살…4년 동안 6번째 사망자 발생 톱뉴스 17.10.06.
2016 뉴질랜드 뉴질랜드 합성 마약 들여오는 일 점점 쉬워지고 있어 NZ코리아포.. 17.10.06.
2015 호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세대간 자산 격차 더욱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4 호주 “영국은 제한된 이민비자 고삐 풀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3 호주 ‘투자용 아파트 구입’ 권유되는 호주 내 5개 도시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2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유권자 4분의 3 참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1 호주 운송 서비스의 새 패러다임 ‘TAAS’, “향후 6년 이내 삶 전체를 바꿔놓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10 호주 오는 2035년, 호주 내 단일성별 학교 사라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9 호주 NSW 주 일부 유명 해변, 건강상 ‘유해’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8 호주 200만 달러로 제작된 ‘웨스트커넥스’ 광고,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7 호주 60년 전의 시드니 트램 흔적, 완전히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6 호주 퀸즐랜드 내륙의 한 목장, ‘노익장’ 과시하는 101세 목축업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5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14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노동절 연휴로 낙찰률 다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2003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가격, 약 4만 달러 오른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7.10.05.
2002 뉴질랜드 키위 세이버 재정 문제로 해지, 전년도에 비해 25% 늘어나 NZ코리아포.. 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