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사진#1373(산불스모그).jpg

시드니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거리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금주 월요일(9일) 캠시 거리 신호등에 서 있는 마스크 착용 행인들. 사진: <한국신문>

 

시드니 파란 하늘 사라졌다... 산불 스모그 심각

대기 오염 위험 수위, 곳곳에서 마스크 착용 주민들 늘어나

 

현재 NSW 주 120여 곳에서 한 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역대 최악의 산불 사태로 인한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면서 시드니의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산불 지역 중 50여 곳은 여전히 통제가 되지 못해 애쓰고 있는 상황이다.

NSW주 환경청의 발표에 따르면 이미 지난주(5일) 시드니의 대기 오염은 실시간 대기질 지수(AQI)가 '건강에 매우 해로운 수준'(미국 기준)으로 규정된 206을 기록했는데, 이는 공기질이 매우 나쁜 중국 상하이가 같은 시간 기록한 160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AQI 미국 기준에 따르면 '좋음'(0∼50), '보통'(51∼100), '노약자 건강에 나쁨'(101∼150), '일반인 건강에 나쁨'(151∼200), '매우 건강에 나쁨'(201∼300), '위험'(301∼500) 등 6단계가 있다 - 편집자 주]

호주 기준은 AQI가 200을 넘으면 '위험 수위'로 보는데, 지난주부터 AQI가 이미 위험 수준을 넘어섰으며 금주 들어 점점 더 나빠져 2622까지 치솟은 지역도 있었다. 지난해 산불 시즌에는 시드니 지역 AQI가 200을 넘은 날만 넘은 날은 단 하루뿐이었고, 그 전 시즌에는 이런 날이 아예 없었다. 금주 12일(목) 오전 현재 기상청의 예보에 따르면 다음 주에는 더욱 기온이 높아지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시드니 대기 오염 수준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시드니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거리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기질에 민감한 노약자들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들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는 모습이 시내와 각 동네 주요 거리에 늘어나고 있다. 보건 당국에서는 시민들에게 (특히 노인, 어린이, 환자는) 외출을 가능한 삼가고 실내에 머물며 창문과 문을 닫아 외부 공기를 잘 차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한편 올해 NSW 뿐만 아니라 퀸즐랜드 및 남부 호주 등 호주 전역에서 대규모의 산불 사태가 예년 보다 이르게 발생한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며 연방 정부의 환경 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주전(2일)에는 최근 산불 화재로 집이 불에 타버린 한 여성이 캔베라 연방국회의사당 앞에서 타버린 집의 잔해와 잿더미를 쏟아버리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정부의 기후 정책에 대한 불만과 항의의 표시였던 것이다. 스콧 모리슨 총리는 연방 정부의 기후 대책이 산불 사태를 키웠다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종합(산불스모그)2.jpg

한 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역대 최악의 NSW 산불 사태로 인한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면서 시드니의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 주말 산불 스모그에 뒤덮인 시드니 하늘 모습.

 

보건당국 권고사항 (출처: 서울대학교 건강칼럼)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에는 호흡기나 심혈관 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흡입되는 미세먼지는 활동의 강도와 기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건강한 성인은 과격한 실외 활동을 최소화 것이 좋다.

• 대개 도로변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도로변에서 운동하지 않도록 한다.

• 실외 활동 시에 황사마스크를 착용하고, 불가피한 외출 후에는 코와 손을 잘 씻는 것이 좋다.

• 창문을 열어 두면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창문을 닫아야 한다. 에어필터나 공기청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촛불을 켜는 것은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피해야 한다.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표지사진#1373(산불스모그).jpg (File Size:81.2KB/Download:44)
  2. 종합(산불스모그)2.jpg (File Size:19.2KB/Download:4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01 호주 “새로운 유행병, 생각보다 더 빨리 오고 있다”... 전염병 전문가들 경고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200 호주 시드니 여행 중 이른 아침을 시간 활용하는 65가지 액티비티-1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9 호주 ‘그레이 노마드’ 여행자 증가, 호주 캐러밴 판매 크게 늘어나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8 호주 임금착취-코로나 바이러스로 유학생들, ‘최악 상황’ 처해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7 호주 4WD 여행자들, 타스마니아 서부 해안 ‘유사’ 지역 피해야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6 호주 시드니 서부 거주민, 일자리 부족으로 교통 상황은 갈수록 ‘악몽’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5 호주 하늘 나는 F1 자동차... 호주서 비행차량 레이스 열릴 듯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4 호주 퀸즐랜드 해변의 아름다움을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3 호주 중국의 호주 관광 중단... 수십억 달러 ‘금광’이 말랐다 file 헬로시드니 20.07.03.
5192 뉴질랜드 뉴질랜드, 코로나_19 위기 대응 OECD국가 중 최고 점수 NZ코리아포.. 20.07.02.
5191 뉴질랜드 호주 멜번 4주간 록다운 시작, 타스만 버블은? NZ코리아포.. 20.07.02.
5190 호주 서호주 신축주택 구매 지원금 $20,000 : 중앙정부 보조금과 중복혜택가능 file 퍼스인사이드 20.07.01.
5189 호주 홈빌더(HomeBuilder) 프로그램 : $25,000 연방정부 보조금(Federal Gov) file 퍼스인사이드 20.07.01.
5188 뉴질랜드 리디아 고, 정다래 뉴질랜드 국가대표 축하 메시지 NZ코리아포.. 20.06.30.
5187 뉴질랜드 “록다운 기간 얼마 안됐건만...” 3월 분기 GDP 1.6% 감소 NZ코리아포.. 20.06.28.
5186 호주 호주-뉴질랜드, 2023 FIFA 여자 월드컵 공동 개최 결정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85 호주 자율주행 자동차,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불평등’ 야기할 수도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84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병실에 대머리 환자가 많은 이유는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83 호주 밀레니얼 세대의 지방 이주, 가장 큰 이유는 ‘주택가격’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82 호주 중국에 대한 호주인들의 신뢰,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81 호주 1960년대 무인도에서 살았던 호주판 ‘로빈슨 크루소’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80 호주 올해 첫 ‘Darling Portrait Prize’, ‘People's Choice’는 데이빗 다르시에게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79 호주 대도시의 삶을 벗어난 사람들, “다시 돌아갈 수 없을 듯...”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78 호주 호주 미취학 아동 81%, 정기적으로 인터넷 사용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77 호주 Your happiness... 인생에서의 ‘불행’, 47.2세에서 가장 높아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76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제한조치 속, 호주 여성들 음주량 증가 file 헬로시드니 20.06.26.
5175 뉴질랜드 한국에 진출한 뉴질랜드 경주마 한국에서 훨훨!! NZ코리아포.. 20.06.25.
5174 뉴질랜드 바이러스 검사하는 텐트를 훔쳐간 파렴치범 NZ코리아포.. 20.06.23.
5173 뉴질랜드 뉴질랜드, '평화로운 나라' 세계 2위 NZ코리아포.. 20.06.10.
5172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보단계 1단계, 사실상 코로나 종식 선언 NZ코리아포.. 20.06.08.
5171 뉴질랜드 코로나를 극복하는 한인들, 약사 NZ코리아포.. 20.06.07.
5170 뉴질랜드 활기찬 인생 마치고 트레킹 중 영면한 유명 의사 NZ코리아포.. 20.06.06.
5169 뉴질랜드 ‘그레이트 워크스 트랙’ “다음주부터 예약 재개” NZ코리아포.. 20.06.06.
5168 뉴질랜드 담배밀수로 대규모 탈세한 사업가에게 징역 5년 3개월 선고 NZ코리아포.. 20.06.05.
5167 뉴질랜드 퀸스타운, 내년에 8천 개의 일자기 감소 예측 NZ코리아포.. 20.06.05.
5166 뉴질랜드 국경 통제는 당분간 지속, 관광객 유치 위한 노력 NZ코리아포.. 20.06.05.
5165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찰, "인종 차별 없다"고는 할 수 없어 NZ코리아포.. 20.06.03.
5164 뉴질랜드 버닝스 “전국 7개 점포 폐점, 145명의 일자리 없어져” NZ코리아포.. 20.06.03.
5163 뉴질랜드 무료 직업 훈련, 2년 6개월 동안 시행 예정 NZ코리아포.. 20.06.03.
5162 뉴질랜드 트랜스-타스만 버블, 9월 시작 언급 NZ코리아포.. 20.05.30.
5161 뉴질랜드 NZ 와인 제조업자, 수 십년 만에 최고의 수확 NZ코리아포.. 20.05.30.
5160 뉴질랜드 코로나 사태, NZ 경제 벼랑으로 떨어져 NZ코리아포.. 20.05.28.
5159 뉴질랜드 레빈 서해안, 월요일부터 148회 넘는 여진 계속 NZ코리아포.. 20.05.28.
5158 뉴질랜드 뉴질랜드 시민, 정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압도적 지지 NZ코리아포.. 20.05.27.
5157 호주 서호주 내 경계봉쇄 완화 : Kimberley지역은 예외 file 퍼스인사이드 20.05.26.
5156 호주 태풍이 휩쓴 서호주 file 퍼스인사이드 20.05.26.
5155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26.
5154 뉴질랜드 지난 록다운 레벨 4, 전국적으로 식품 가격 가장 높이 올라 NZ코리아포.. 20.05.22.
5153 뉴질랜드 "the KFC Golf Scholarship"에 송하니양 수상자 영예. NZ코리아포.. 20.05.19.
5152 뉴질랜드 뉴질랜드에도 특별기 뜬다. NZ코리아포.. 2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