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클래식연주자 참여

 

 

Newsroh=민지영기자 newsrohny@gmail.com

 

 

12.jpg

 

 

 

워싱턴한국문화원이 11일 DC 소재 앤더슨 하우스에서 2019년 문화원 송년 음악회를 열었다.

 

약 170명의 문화예술계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관객들은 우수한 실력의 한인 연주자들의 연주에 환호(歡呼)와 기립박수(起立拍手)를 보내며 앵콜곡을 요청했고, 대표적인 전통 민요 아리랑이 연주됐다.

 

초청 연주자는 국내외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이유진, 첼리스트 김민지, 피아니스트 김도현의 트리오로 구성되었고, 리스트 <Mephisto Waltz>, 데뷔시 <Beau soir>, 바흐 <Suite for Cello Solo, No. 3>, 쇼팽 <Barcarolle in F sharp Major, Op. 60>, 라흐마니노프 <Trio ėlégiaque in G minor, No.1>, 베토벤 <Piano Trio No. 4, Op. 11> 등을 연주하였다.

 

 

기념촬영.jpg

 

 

청중들은 한국의 클래식 연주자들의 수준이 굉장히 높고 특히 예술가들의 표현력과 감성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남겼다. 행사 후에 마련된 리셥션 행사에 참석한 관객들은 다채로운 한식을 즐기며 연주자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음악회는 현지 예술기관 엠바시 시리즈(The Embassy Series)와 공동 주최로 진행된 행사로 미국의 독립을 기념하고자 설립된 단체 신시내티 소사이어티의 역사적인 박물관 앤더슨 하우스에서 열려 눈길을 끌었다. 엠바시 시리즈는 1994에 설립된 문화예술 비영리 기관으로 각 나라의 대사관과 교류하며 유망한 클래식 연주자를 발굴해 현지에 소개하는 문화교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11.jpg

 

 

 

<꼬리뉴스>

 

이유진 김민지 김도현 트리오

 

 

차세대 음악재원으로 꾸준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바이올린 연주자 이유진은 서울예원중학교를 졸업 후 미국으로 건너가 콜번 스쿨을 졸업했으며, 현재 커티스 음악원(아이다 카파피안 사사)에 재학 중이다. 스툴버그 국제 현악 콩쿠르 1위(2013), 클라인 국제 음악콩쿠르 1위(2013), 서울 국제 음악 콩쿠르 2위(2018), 워싱턴 국제 현악 콩쿠르에서 1위(2018)를 수상한 바 있다.

 

첼리스트 김민지는 2004년 금호영재콘서트 연주회로 데뷔했고, 예원학교와 서울예고를 거쳐 한국예술영재교육원(정명화 교수 사사)을 졸업한 음악재원이다. 서울대 음대 재학 중 스위스로 건너가 스위스 바젤 음악대학(학사)및 스페인 레이나소피아 음악원(연주자 과정)을 마치고, 현재 독일 바이마르 국립음대에서 석사 과정에 재학하고 있다. 가스파르 카사도 국제 첼로 콩쿠르 2위(2013), 베네데토 마차쿠라티 콩쿠르 2위(2016), 제6회 파울로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공동 2위(2018)를 수상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 photo by Morris Simon

 

피아니스트 김도현은 서울예고를 졸업 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재학 중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아드 음악 대학원을 졸업했고, 현재 클리블랜드 음악원(백혜선, 세르게이 바바얀 사사) 연주자 과정에 재학 중이다. 스위스 방돔 프라이즈 콩쿠르에서 1위없는 공동 2위 수상(2017), 모스크바 국제 차이코프스키대회 최우수 공연 특별상(2019)을 수상하였다. 내년 1월 16일 워싱턴 DC 소재 케네디센터(테라스 극장)에서 Young Concert Artist가 주최하는 김도현 피아노 독주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
  1. 11.jpg (File Size:17.2KB/Download:38)
  2. 12.jpg (File Size:16.9KB/Download:43)
  3. 기념촬영.jpg (File Size:15.8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0 캐나다 [UBC 한인 약대생들이 알려 드립니다] 약사, 어려움 많치만 보람 크다 밴쿠버중앙일.. 16.03.02.
349 캐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 3.1절 독립운동 기념 성명서 발표 밴쿠버중앙일.. 16.03.02.
348 캐나다 KEB 하나은행 이현수 은행장 취임 밴쿠버중앙일.. 16.03.02.
347 캐나다 [총영사관] 제19기 재외동포재단 초청장학생 모집 밴쿠버중앙일.. 16.03.02.
346 미국 신개념 '온라인 종합 미디어'가 온다! file KoreaTimesTexas 16.03.02.
345 미국 뉴스넷, 왜 종이매체대신 온라인을 택했나? [1] file KoreaTimesTexas 16.03.02.
344 캐나다 유가와 함께 추락하는 노틀리 주주상 지지도 file CN드림 16.03.01.
343 캐나다 "우리것을 알리기에 앞서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 밴쿠버중앙일.. 16.03.01.
342 캐나다 [아기 호랑이의 노래 - 2] Hello, Vancouver! 밴쿠버중앙일.. 16.03.01.
341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조규형 이사장, 한글학교 개강 축하인사 전해 밴쿠버중앙일.. 16.03.01.
340 캐나다 박영길 자문위원, 장민우 보좌관 등 4명 포상 받아 밴쿠버중앙일.. 16.03.01.
339 캐나다 6.25 참전 유공자회, 이우석 회장 선임 밴쿠버중앙일.. 16.03.01.
338 캐나다 한국 건축 자재 우수성, 널리 알렸다 밴쿠버중앙일.. 16.03.01.
337 캐나다 공연 앞둔 정희주 씨, 코리간 버나비 시장 만나 밴쿠버중앙일.. 16.02.27.
336 캐나다 안봉자 시인, 여덟번 때 시집 '프레이저 강가에' 발간 밴쿠버중앙일.. 16.02.27.
335 캐나다 캐나다 이민부, 시민권 개정안 발표 밴쿠버중앙일.. 16.02.27.
334 캐나다 BC 한인공인회계사 협회, 장광순 회장 연임 밴쿠버중앙일.. 16.02.27.
333 캐나다 [중앙일보가 만난 사람] '한인 차세대 위한 정보 공유 장터 마련' 밴쿠버중앙일.. 16.02.27.
332 캐나다 '한국문화 전파, 정말 소중한 일' 밴쿠버중앙일.. 16.02.27.
331 미국 마이애미 교육계, 전남 교환학생들 따뜻한 포옹 코리아위클리.. 16.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