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전철 1).jpg

시드니 경전철(Sydney Light rail)이 지난 12월 14일(토) 오전 11시 정식 개통됐다. 하지만 운행개시 3시간30분 만에 차량 한 대에 기술적 결함이 발생, 센트럴(Central) 인근에서 작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사진). 사진 : 트위터 / Teevo

시드니 경전철, 개통 3시간 만에 기술적 결함으로 멈춰

센트럴 인근에서... 탑승 승객들, 너무 긴 소요시간 등 불편 털어놔

 

예정보다 긴 공사와 애초 계획에 비해 거의 두 배가 높아진 추가 비용 등으로 논란이 많았던 시드니 경전철(Sydney Light rail)이 지난 주 토요일(14일) 정식 개통됐다. 하지만 이날 오후 2시30분경, 탑승객을 태우고 랜드윅(Randwick)에서 서큘라키(Circular Quay)로 돌아오던 경전철 하나가 센트럴 인근에서 기술적 결함으로 작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 개통된 지 불과 3시간30분만에 일어난 일이다.

앞서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경전철의 공식 개통을 알리면서 “수개월의 시험운행에도 불구하고 사소한 문제들(teething problems)이 발생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날 발생된 문제에 대해 NSW 운송 서비스부는 “경전철 자체의 기술적 결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전철을 이용했던 이들의 소셜미디어에 따르면 승객들은 경전철에서 내려야 했고, 시내 조지(George) 스트리트는 통제된 상황이었다. 이날 문제가 발생된 경전철 탑승객 대부분은 각자의 소셜미디어에 ‘실패한 경전철’ 또는 ‘어이없다’(joke)는 말을 게시하기도 했다.

서큘라키에서 랜드윅을 운행하는 경전철의 긴 소요시간과 냉난방에 대한 불평도 제기됐다. 한 네티즌은 트위터를 통해 랜드윅에서 서큘라키까지 경전철로 이동하는 데 90분이 소요됐다고 불평을 털어놓았다. 그는 “악몽같은 (경전철) 알리기”(PR nightmare)라며 “캔버라까지 자동차로 더 빨리 운전해 갈 수 있을 것”이라는 말로 경전철 라인의 미비점을 비꼬았다.

 

종합(경전철 2).jpg

시드니 경전철 노선도. 서큘라키에서 킹스포드(Kingsford) 구간 운행은 내년 3월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시드니 경전철,

58년 만에 다시 등장

 

앞서 시드니 경전철은 이날 오전 11시 정식 개통됐다. 시드니 도심에 경전철이 다시 운행하게 된 것은 58년 만이다. 이날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경전철은 우리 도시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네트워크의 시작”이라는 말로 개통을 축하했다.

주 총리는 “스트레스가 많은 시간이었다”는 말로 공사 지연과 지속적으로 추가된 비용 문제 등의 어려움을 털어놓으며 “하지만 도전받지 않는 프로젝트는 추진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에서 가장 번화한 도시의 메인 스트리트 상에 새 라인 작업을 하는 데에는 당연히 어려움이 따른다”고 덧붙였다.

서큘라키에서 시드니 도심(George Street)를 통과해 랜드윅까지 12.8km 거리를 운행하는 경전철 노선에는 19개의 역이 있다. 이날 개통에 이어 내년 3월에는 켄싱턴(Kensington)을 거쳐 킹스포드(Kingsford)를 연결하는 또 다른 노선이 개통된다.

당초 서큘라키-랜드윅 소요 예정시간은 38분이었지만 이날 개통된 경전철은 50분이 소요됐다. 운행시간이 본래 계획대로 정착되기까지는 몇 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시드니 경전철은 앞으로 주말에는 6분 간격으로, 평일에는 4~8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요금은 오팔카드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요금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편 시드니 경전철이 개통됐지만 주 정부로서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다. 계획된 공사기간이 늘어나면서 관련 구간 조지 스트리트 상의 스몰 비즈니스들이 상당한 영업 손실을 입었고, 이에 따른 집단 손해배상 소송이 현재 NSW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전철 1).jpg (File Size:81.8KB/Download:39)
  2. 종합(경전철 2).jpg (File Size:95.5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01 호주 호주, 코로나19 'NSW, QLD, VIC' 등 3개 주에서 급증! 확진 299명 사망 5명… 호주브레이크.. 20.03.16.
5000 호주 호주 총리, “세계 경제가 공포에 휩싸였다”…G20 긴급 재무장관 회의 개최 제안 호주브레이크.. 20.03.15.
4999 호주 호주, 해외입국자 ‘무조건’ 자가 격리! “2주간 격리 의무화” 호주브레이크.. 20.03.15.
4998 호주 호주 시드니, 부활절 최대 행사 ‘로얄 이스터쇼’ 전격 취소! 코로나 바이러스 심각성 인식 한 듯…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7 호주 호주, NSW “주 전역 160만 명까지 확산 될 수 있다!”…주 인구 20%까지 감염 가능성 시사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6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대형 행사 참가 했었다”…당국 “야외 행사라 전파력 낮다”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5 호주 호주, 14조 원 규모 경기부양책 발표! 취약계층에 우선 현금 지급 호주브레이크.. 20.03.12.
4994 호주 WHO, 코로나-19 바이러스 발병에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3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전문가들, 독감백신 접종 권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2 호주 시드니 북부 양로원서 COVID-19 관련 사망자, 연이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1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이번 바이러스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0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화장지 대량 구매행동’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8 호주 COVID-19로 산업시설 중단된 중국, ‘대기오염’ 크게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7 호주 뉴스 제공 ‘AAP’ 사, 85년 만에 서비스 중단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6 호주 도로교통 안전의 ‘잃어버린 10년’... ‘예방가능’ 사고 사망자, 최소 500명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5 호주 “환자를 위험에 빠뜨린다” vs “환자에게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4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3 호주 “대산호초 사멸을 방지하고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웨스트라이드 소재 주택, 9개월 만에 41만5천 달러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1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116명 3명 사망…뉴사우스웨일스 61명으로 증가 호주브레이크.. 20.03.11.
4980 호주 호주, F1 개막전 예정대로 치른다! ˝무관중 경기는 어림없다!˝ 호주브레이크.. 20.03.11.
4979 호주 호주, '페이스북' 법정에 섰다! ˝비허가 노출로부터 정보 보호조치 묵과˝… 호주브레이크.. 20.03.11.
4978 호주 “휴지 걱정 마세요!”…세계 각국 ‘화장지’ 대란에 묘책 호주브레이크.. 20.03.10.
4977 호주 호주, ‘8조원’ 재정 부양책 내놓는다! 가계 ‘현금 지급 추진’에 재무부 난색…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6 호주 호주, 12년 만에 증시 7% 넘게 폭락…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5 호주 호주, “화장지 전쟁 끝이 안보인다!”… 거친 몸싸움에 경찰까지 수시 출동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4 호주 호주 퀸즈랜드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국제선 항공편 역학 조사 중˝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3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 ‘멜버른 의사’도 확진 판정… 호주브레이크.. 20.03.07.
4972 호주 호주, 10년 공든 탑 '와 르르르!', 코로나19로 재정 흑자 전망 물거품 전망… 호주브레이크.. 20.03.07.
4971 호주 RBA, 25bp 금리 인하…”코로나19 대응 나섰다” 톱뉴스 20.03.05.
4970 호주 60대 한국 여성 확진자 대한항공 편으로 27일 입국…시드니 누적 확진자 15명 톱뉴스 20.03.05.
4969 호주 위축된 마디 그라 열기…부추기는 공영 방송사 톱뉴스 20.03.05.
4968 호주 코로나 19 공포 호주 엄습….첫 사망자에 확진자 증가 톱뉴스 20.03.05.
4967 호주 호주, 한국 발 여행자 입국 금지 및 한국 방문 여행 경보 추가 격상 톱뉴스 20.03.05.
4966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4 호주 NSW 주 교육부, 학생들 해외 단체여행 취소 지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3 호주 ‘세계적 전염병’ 선포 앞둔 COVID-19 상황, 그 대응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2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1 호주 노숙자 문제에 팔 걷어 부친 NSW 주정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0 호주 시드니에도 ‘스마트시티' 인기... 멜로즈파크 아파트 개발현장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9 호주 전 세계 고용주들이 직원 뽑을 때 가장 좋아하는 출신대학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8 호주 환경단체의 강한 반대 속 ‘the Bight’ 앞 원유탐사 계획, ‘원점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7 호주 호주의 높은 주택가격, 해외 유입 이민자들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6 호주 올 여름시즌 NSW 주 산불로 코알라 1만 마리 사망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5 호주 알츠하이머 위험,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예방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4 호주 “의자에 앉아 일하는 것, 척추 건강에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3 호주 각 지역 도시들,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2 호주 주택 소유 호주 고령층, 임대주택 거주자 비해 20배 ‘부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