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보안 의뢰 급증

 

7.png

(사진=인터넷 캡처)

 

홍콩 시위가 수개월 동안 지속되면서 수많은 크고 작은 회사들이 타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뜻밖에도 클레멘트 라이 카싱(Clement Lai Ka-chi)씨의 전문 보안 회사인 클레멘트 쉴드(Clement Shield)는 사회 불안으로 수요가 높아지면서 고공행진 중이다. 

 

범죄인 인도법 반대로 지난 6월에 시작된 홍콩 시위가 이후 공식 법안 철회가 되었지만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 요구로 이어지면서 반정부 시위로 확대되었다. 홍콩 시위가 장기화되고 폭력적 양상으로 발전하면서 클레멘트 쉴드와 같은 민간 보안 업체를 찾는 회사들이 급증하고 있다. 
 

과거 홍콩 경찰청에서 근무했던 클레멘트 라이씨는 경찰청 VIP 보호팀에서 장쩌민 전 중국 국가 주석, 후진타오 전 중국 국가 주석,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 수많은 고위 인사들의 개인 경호를 맡았었다. 4년 전 퇴직을 한 이후 자신의 경력을 살려 민간 보안 회사를 설립했으며 민간 기업, 교육 기관, 공공 기관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렌멘트 라이씨의 경력 덕분에 회사는 꾸준히 고객을 확보하고 성장해나갔다. 시위가 있기 전에는 주로 정부와의 보안 의뢰 계약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시위가 시작된 이후 민간 기업들의 전문 보안 서비스 의뢰가 급증하고 있다. 작년 초 70명이었던 보안 요원이 지금은 350명으로 늘어났다. 회사는 1년 내에 500명까지 증원할 계획이다.
 

클레멘트 라이씨는 “시위가 시작하면서 매우 바빴다. 홍콩 10대 부동산 개발업체 중 4곳이 우리 고객이다. 한 고객의 경우, 보안 요원 160명을 파견해 6개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홍콩에는 숙련되고 수준 높은 보안 업체가 부족한 상황이다. 홍콩은 오랜 기간 안전한 도시로 성장해오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지금과 같은 사회 불안을 경험한 적이 없었을 뿐더러 정부 또한 현 사태를 해결할 방법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클레멘트 라이씨는 보안 서비스 비용에 대하여 밝히지 않았지만 보안 요원 1일 수당이 최고 2,500 홍콩 달러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서비스 비용이 저렴하지 않지만 비싼 만큼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보안 업계에서 클레멘트 쉴드가 가장 경험이 많고 숙련된 업체임을 자신했다. 
 

클레멘트 쉴드는 고객의 사업장에서 시위로 인한 대립 양상을 진정시키고 긴장을 완화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한 사례로, 수개월 전 진압 경찰대가 헤네시 로드에 최루가스를 발사하면서 많은 시위대들과 행인들이 코즈웨이베이에 위치한 고객의 쇼핑몰로 들이닥쳤다. 보안 요원들은 주변 상황을 점검하고 즉각적으로 쇼핑몰 폐쇄 조치를 취했다. 쇼핑몰 안에 갇힌 시위대와 행인들은 쇼핑몰 뒷문을 통해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했으며, 모든 사람들이 빠져나간 후에야 경찰대가 쇼핑몰 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했다. 보안 요원들의 빠른 판단과 대처로 고객의 쇼핑몰 안에서 시위대와 경찰대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이처럼 홍콩 시위로 인하여 사틴의 뉴타운 플라자, 코즈웨이베이의 타임스퀘어, 몽콩의 랑함 플레이스 등 인기 쇼핑센터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카우룽통에 위치한 페스티벌 워크는 시위대가 지난 11월 13일 시위대들이 쇼핑몰 내부를 파손하고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에 방화하는 사태가 일어나면서 지금까지 폐쇄 상태이다. 페스티벌 워크 쇼핑몰 대변인은 1월 25일 춘절 전 재개방을 목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504.2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16 홍콩 금융 전문가들 ‘미중 갈등 심화에 페그제 굳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5 홍콩 홍콩증권거래소, ‘상장 요건 완화’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4 홍콩 국가보안법 갈등, 주택 시장에 추가 압박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3 홍콩 경영난에 임대료 체납 소송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2 홍콩 정치적 자유 축소 우려에 해외 이민 문의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1 홍콩 환경보호국 ‘웨강아오 대만구 오존 공동 연구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0 중국 부활한 중국의 노점경제, 하루 밤새에 10만 명 취업 file 라이프매거진 20.06.04.
709 중국 중국민항국, 국제항공노선 주 1편에서 2편으로 항공노선 증편 허용 file 라이프매거진 20.06.04.
708 홍콩 2020년 6월 2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7 홍콩 핫머니 대량 유입, 홍콩 주식 투자 증가로 홍콩달러 강세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6 홍콩 소형 아파트 수요 감소에 임대료 계속 떨어져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5 홍콩 항공화물을 통한 마약 밀수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4 홍콩 ICAO, Covid-19 대응 위한 새로운 비행 지침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3 홍콩 쇼핑몰, 다양한 프로모션 제공해 ‘내수 활성화 도모’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2 홍콩 THE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 대학들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1 홍콩 2020년 6월 3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00 홍콩 로맨스 스캠·보이스 피싱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9 홍콩 대출 원금 상환 유예 신청 기업 3만 개 돌파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8 홍콩 홍콩 사무실 공실률 8.5%, 10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7 홍콩 홍콩-중국-마카오 국경 간 이동 완화 file 위클리홍콩 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