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고 “캐리 트레이드” 통화

 4.png

(사진=scmp) 

 

홍콩 달러 통화 가치가 3년여 만에 크게 오르면서 아시아 최고 캐리 트레이드 통화가 되었다.

 

홍콩 달러 가치가 오르면서 홍콩 달러를 보유하는 것이 이득이 되고 있다. 지난 한 달 동안 미국 달러를 팔아 홍콩 달러를 매입으로 아시아 최고 샤프 비율을 기록했다. 샤프 비율이란 위험에 대한 초과 수익의 정도를 나타낸 비율로, 환율에서는 가격 변동에 수익률을 말한다.

 

현금 유동성이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에 미국 달러 대비 홍콩 달러의 가치가 높아졌으며, 지난 12월 트레이더들의 숏 포지션(매도세)으로 2008년 이후 최고 증시 랠리, 지난 3년래 최장 랠리를 펼쳤다.

 

ANZ 은행의 쿤 고(Khoon Goh) 아시아 헤드 리서처는 “아직까지 환차익 면에서 홍콩 달러가 유리한 상황이며, 이 때문에 홍콩 달러 가치는 당분간 오를 것이다. 특히 춘절 연휴를 앞두고 현금 수요가 높아지질 것이다”고 덧붙였다.

 

옵션 시장은 현재 홍콩 달러가 3월 말까지 미 달러 페그제의 거래밴드 상한가를 도달 가능성을 50%까지 보고 있다. 불과 한 달 전까지만해도 9.5%였다. 홍콩 달러는 2016년 초 이후 미 달러 대비 7.75 홍콩 달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현지시간 7일(화) 오전 11시 52분 전장대비 0.03% 내린 7.7719 홍콩 달러에 거래됐다.

 

은행 간 금리인 하이보(Hibor)는 지난 11월 초부터 대표적 기준금리인 리보(Libor)보다 미국 달러에 대한 금리가 더 높았다. 이는 2015년 이후 최장 기간으로, 투자자들을 하여금 홍콩 달러를 저렴한 금리에 빌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통화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에 나서게 했다.

 

2019년 중순 이전만해도 하이보가 리보보다 금리가 수년 간 낮았다. 홍콩 달러의 매입이 이어지면서 홍콩 달러 통화가 거래 밴드 상한선까지 밀리게 되자, 홍콩 중앙은행인 통화국이 결국 시장에 개입하게 되었다. 통화국은 수십억 홍콩 달러를 풀어 시장에 개입해 홍콩 달러 환율 방어에 나섰다. 지난해 말 알리바바 그룹 홀딩스(Alibaba Group Holding) 등과 대형 IPO의 주식 매입에도 현지 통화 영향이 커졌다. 작년 여러 건의 대규모 상장이 진행되면서 투자자들이 주식 매입을 위해 현금을 비축하면서 시장의 현금 유동성 위축시켰다.

 

일부 전문가들은 홍콩 달러 약세는 단기적이며 홍콩 달러 캐리 트레이드의 인기는 곧 식을 것이라고 말했다. 곤 고 전문가는 “홍콩 달러가 미 달러 대비 7.82 홍콩 달러까지 가치 약세를 보일 것이며, 계절적 수요가 사라진 후 단기 금리가 하락하면서 다시 미 달러와의 수익률 차이를 좁힐 것이다”고 전망했다.

 

크리딧 아그리콜 CIB(Credit Agricole CIB)의 에디 청(Eddie Cheung) 신흥시장 전략가는 홍콩의 경제 침체 전망이 경제 성장과 통화에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508.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16 홍콩 금융 전문가들 ‘미중 갈등 심화에 페그제 굳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5 홍콩 홍콩증권거래소, ‘상장 요건 완화’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4 홍콩 국가보안법 갈등, 주택 시장에 추가 압박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3 홍콩 경영난에 임대료 체납 소송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2 홍콩 정치적 자유 축소 우려에 해외 이민 문의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1 홍콩 환경보호국 ‘웨강아오 대만구 오존 공동 연구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10 중국 부활한 중국의 노점경제, 하루 밤새에 10만 명 취업 file 라이프매거진 20.06.04.
709 중국 중국민항국, 국제항공노선 주 1편에서 2편으로 항공노선 증편 허용 file 라이프매거진 20.06.04.
708 홍콩 2020년 6월 2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7 홍콩 핫머니 대량 유입, 홍콩 주식 투자 증가로 홍콩달러 강세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6 홍콩 소형 아파트 수요 감소에 임대료 계속 떨어져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5 홍콩 항공화물을 통한 마약 밀수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4 홍콩 ICAO, Covid-19 대응 위한 새로운 비행 지침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3 홍콩 쇼핑몰, 다양한 프로모션 제공해 ‘내수 활성화 도모’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2 홍콩 THE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 대학들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01 홍콩 2020년 6월 3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00 홍콩 로맨스 스캠·보이스 피싱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9 홍콩 대출 원금 상환 유예 신청 기업 3만 개 돌파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8 홍콩 홍콩 사무실 공실률 8.5%, 10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7 홍콩 홍콩-중국-마카오 국경 간 이동 완화 file 위클리홍콩 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