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기법, 계약직 보호법, 최저임금 인상, 전자담배 규제법 등 시행
 

juul.jpg
▲ ▲ 새해 들어 가장 눈길을 끄는 새 규정은 전자담배 규제법이다. 시잔은 올랜도 에지워터 선상의 한 주유소 편의점의 전자담배 줄 광고 모습. ⓒ 코리아위클리ⓒ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2020년 새해를 맞아 미국 내 여러 주에서 새로운 법이 시행에 들어갔다.

우선 콜로라도, 하와이, 네바다 주가 ‘적기법(red flag law)’을 시행한다. ‘적기법’은 다른 사람이나 자기 자신에게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이 있으면, 판사 명령으로 총기를 빼앗을 수 있게 허용하는 법이다. 영구적인 것은 아니고 임시로 총기 소지를 금하는 것이다

하지만 총기 권리를 옹호하는 사람들 쪽에서 강한 반대가 나왔다. 일부 지역에서는 카운티 단위로 총기소지 권리를 보장하고 있는 ‘수정헌법 2조 피난처’로 자처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적기법 시행을 거부하고 있다.

임시 계약직을 보호하는 법도 나왔다. 캘리포니아 주는 하원 법안 5호(AB5)를 통해 그동안 임시 계약직으로 규정됐던 우버나 리프트 운전자 등을 정식 직원으로 전환하도록 했다. 계약직과 달리 정식 직원은 건강 보험이나 연금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우버나 리프트 측은 재정 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이유로 이 법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캘리포니아와 뉴저지, 뉴욕주의 ‘현금보석 개혁법’도 새해에 시행된다. 이 법은 중범죄가 아닐 경우 용의자가 보석금을 내지 않아도 풀려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금보석 개혁법은 검찰이 범죄 관련 증거를 용의자 측에 신속히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는데, 검찰 측은 용의자들에게 유리한 법이라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부터 여러 주에서 최저임금이 오른다. 새해 1일 자로 20여 개 주에서 최저임금을 인상했는데, 올해 안에 모두 70개가 넘는 지방 정부가 최저임금을 올릴 예정이다. 인상 폭을 보면, 캘리포니아주와 코네티컷은 각각 1달러 올리면서 시간당 13달러와 12달러가 됐고, 서부 워싱턴주는 1달러 50센트가 오른 시간당 13달러 50센트로 올랐다.

새해 들어 가장 눈길을 끄는 새 규정은 전자담배 규제법이다. 최근 전자담배 사용과 관련한 폐 질환자가 많이 늘어난 데 따른 연방 정부 차원의 조처로, 식품의약국(FDA)이 2일 일부 향이 들어간 전자담배 제조와 판매를 금지하는 규정을 새로 발표했다.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줄(Juul)’처럼 액상 카트리지 형태의 전자담배가 대상이다. 멘톨향과 담배맛이 들어간 제품은 제외됐기 때문에 미흡한 조처란 비판이 나오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97 캐나다 써리 범죄 건 수 지난 10년간 감소? 체감강력범죄 증가! 밴쿠버중앙일.. 19.09.13.
4896 캐나다 부동산 경제 | 밴쿠버 새 아파트 가격 떨어졌다. 밴쿠버중앙일.. 19.09.13.
4895 미국 직장에서 '영어 온리' 요구, 논란거리 될 수 있다 코리아위클리.. 19.09.13.
4894 미국 디즈니 '스타워즈 테마파크' 개관에 영화팬들 '우르르' 코리아위클리.. 19.09.13.
4893 미국 텍사스 총기난사 사건 7명 사망… 용의자 단독 범행 코리아위클리.. 19.09.13.
4892 미국 미국 우주사령부 출범… 우주 공간에서 군사 전략적 임무 코리아위클리.. 19.09.13.
4891 미국 미국 태생 시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 경제 격차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19.09.13.
4890 미국 세미놀 ‘머제스티 빌딩’ 긴 침묵 깨고 공사 '급 피치' 코리아위클리.. 19.09.13.
4889 캐나다 에어캐나다, 여행사 초청 추석 잔치 밴쿠버중앙일.. 19.09.17.
4888 캐나다 전철역 인근서 목졸라 기절시키고 금품 뺏는 강도 주의 밴쿠버중앙일.. 19.09.17.
4887 캐나다 한인 BC주에서 인종차별 안 받을까? 밴쿠버중앙일.. 19.09.17.
4886 캐나다 캘거리, 전 세계에서 살기 좋은 도시 5위 CN드림 19.09.17.
4885 캐나다 캐나다 구스, 실제 추위 체험하며 구입 CN드림 19.09.17.
4884 캐나다 록키산 도로공사, 4년이나 걸린다고? CN드림 19.09.17.
4883 캐나다 진딧물 만연해진 캘거리 CN드림 19.09.17.
4882 캐나다 이민자 수입 대비 렌트거주비 부담 커 밴쿠버중앙일.. 19.09.21.
4881 캐나다 브로드웨이지하철역 6개 최종결정 밴쿠버중앙일.. 19.09.21.
4880 캐나다 밴쿠버 | 8월 물가 연간 기준 1.9% 상승 밴쿠버중앙일.. 19.09.21.
4879 캐나다 설화수, 세포라 캐나다 밴쿠버점 입점 밴쿠버중앙일.. 19.09.24.
4878 캐나다 이민 | 7월까지 한인 영주권 취득 총 3520명 밴쿠버중앙일.. 19.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