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는 호주 산불 사태로 주택 16000여 채가 전소되고 삼림 600만 헥타르가 초토화됐다.

최소 27명의 사망자와 6명의 실종자를 포함해 약 10억 마리의 야생 동물이 생명을 잃은 것으로 추정되며,  불길 속에서 구조되는 코알라의 모습 등이 공개돼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시작돼 5개월째 진행 중인 호주 산불은 여전히 심각하다.

산불 피해를 돕기 위한 유명인들의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전 세계에서 적극적인 성금 모금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호주 사법당국은 가짜 모금 행위에 대해 엄단하겠다고 경고했다.

가짜 모금 행위는 자선 모금 기관을 사칭하거나 불법적인 모금 단체를 설립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경쟁 및 소비자위원회(ACCC)는 “산불 사태가 발생한 이후 총 86건의 가짜 모금 행위에 대한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가짜 모금 행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정확한 산불 구호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호주 적십자사(https://www.redcross.org.au/campaigns/disaster-relief-and-recovery-donate#donate)

적십자사는 산불 사태와 같은 화재뿐만 아니라 지진, 홍수, 가뭄 등 비상사태에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위한 공식 단체다. 호주 적십자사에 기부한 기부금은 언제 어디서나 발생하는 모든 재난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데 쓰인다.

호주 적십자사는 이번 호주 산불 사태 재난의 영향을 받은 지역 사회의 복구 프로그램과 응급 상황을 지원하기 위한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다. 기부금은 호주 달러(AUD)로 지불하며 자원봉사자들의 교육과 장비, 물류 등에 쓰인다.

현재 적십자 자원봉사를 원하거나 적십자 재난 구호 및 회복 작업 지원에 참여하고자 하는 이들은  redcross.org.au/volunteering를 통해 등록할 수 있으며, 특히 산불로 집을 잃은 사람들은 온라인 사이트redcross.org.au/grants 에서 5,000 달러의 긴급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다.

 

구세군 (https://www.salvationarmy.org.au/donate/make-a-donation/donate-online/?appeal=disasterappeal)

현재 구세군이 모금하고 있는 기부금은 호주 산불 사태에 즉시 지원 되고 있으며, 피해 지역 사회가 완전히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구세군의 전략적 비상 및 재난 관리 총책임자인 토퍼 홀랜드 소장은 “우리 팀은 피난민들과 화재 현장 복구를 위해 힘쓰고 있는 이들을 위해 식사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계속해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세군 기부 링크에 접속하면 금액과 간단한 정보 입력 후 즉시 기부금을 결제할 수 있다.

 

세인트 빈센트 드 폴 소사이어티 (https://donate.vinnies.org.au/appeals-nsw/vinnies-nsw-bushfire-appeal-nsw)

세인트 빈센트 드 폴 소사이어티는 호주에서 가장 크고 상징적인 자선 단체 중 하나다. 6만 명 이상의 회원과 자원봉사자들을 보유하고 있는 이 단체는 호주 전역의 다양한 문제들을 돕기 위해  활동한다.

현재 모금 중인 호주 산불 기금은 화재로 인해 모든 것을 잃은 피해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구호활동을 펼친다. 음식, 옷 등의 필수 품목과 식료품 바우처를 제공하고 위기 조정 및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연계 조직에 직접 의뢰를 돕는다. 그뿐만 아니라 복구 과정 중에 발생하는 실질적인 도움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호주 코미디언 셀레스티 바버 페이스북 기금 (https://www.facebook.com/donate/1010958179269977/)

호주 코미디언 셀레스티 바버가 시작한 페이스북 기금은 전 세계로부터 약 5천만 달러가 모이며 큰 화제가 된 바 있다.

기부금은 페이스북 링크를 통해 페이팔로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다. 이 기금은 뉴사우스웨일스 소방대와 빅토리아 컨트리 소방청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컨트리 서비스를 공동으로 지원한다.

한편 셀레스티 바버는 페이스북을 통한 산불 피해 성금 모금뿐만 아니라 산불 피해 돕기 초대형 자선 콘서트까지 개최한다. 퀸, 아담 램버트, 앨리스 쿠퍼 등 전설적인 팝 스타들이 무료로 출연하고 호주 국내 스타들도 총출동하는 콘서트는2월16일(일) 올림픽 파크의 ANZ 스타디움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시드니한인회

시드니 내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조직인 시드니한인회 또한 지난해 12월 16일부터 한 달간 산불 피해자 돕기 모금운동을 진행했다.

한인회 계좌와 전화 문의 등을 통해 산불로 인해 고통받고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과 구조대 및 소방관들을 위한 모금 활동을 펼쳤다.

윤광홍 시드니한인회장은 “호주는 오랜 가뭄과 산불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당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호주에서 많은 혜택을 누리며 사는 우리는 이 기회에 호주 사회에 감사함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산불로 참혹하게 희생된 코알라와 캥거루의 사진과 영상은 전 세계에 호주 산불의 심각성을 알렸다.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몸통째 불에 탄 코알라와, 불길 속에서 간신히 구조된 코알라가 사람이 건넨 물병을 움켜쥐고 물을 마시는 장면은 모두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현재까지 보고된 야생동물 피해 수는 약 10억 마리로 정확한 파악은 아직 불가능하다.

호주코알라재단의 데보라 테이버트(Deborah Tabart) 이사장은 “이번 산불로 QLD주와 NSW주의 캥거루 서식지의 80%가 파괴됐다”면서 ‘기능적 멸종 위기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실제로 코알라의 경우 하루에 약 900g의 유칼립투스 잎을 섭취해야 하는데 산불과 더불어 개발로 유칼립투스 숲 지대가 대거 소멸됐다는 분석에 근거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펀드미 (https://www.gofundme.com/f/help-thirsty-koalas-devastated-by-recent-fires)

고펀드미는 개인이나 기업이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을 만들 수 있는 사이트로 포트 맥쿼리 코알라 병원, 컬럼빈 야생동물 병원이 화재로 피해를 입은 코알라들을 돕기 위해 펀딩을 시작했다.

현재 이 병원들에는 여러 화재 현장에서 구조된 코알라들이 이송되고 있다. 병원에 이송된 코알라들은 즉시 탈수증 치료부터 시행하고 화상 부위를 치료한 후 화상 부위가 붕대에 닿기 전에 정밀 검사를 받는다. 이후 화상 부위의 드레싱을 3일마다 교체하는 식의 치료를 받고 있다.

 

WIRES (https://www.wires.org.au/)

야생동물 구조를 위한 비영리 단체인WIRES (NSW Wildlife Information, Rescue and Education Service Inc.)는 30년 이상 야생 동물을 구하고 돌봐온 호주에서 가장 큰 야생 동물 구조 단체다. WIRES는 호주 산불로 작년 12월에만 1300여 개의 회선에서 2만 통 이상의 구조 요청 전화를 받았으며 3,300회 이상의 구조작업에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다.

NSW 에서 다쳤거나 길을 잃은 야생 동물을 발견했을 경우 구조대와 도움을 받으려면 1300 094 737 로 연락하면 된다.

 

--------------------------------------------------------------------------------------------------------------------------------------

호주에서 AUD 2 달러 이상의 기부금은 세금 공제 대상이다. 기부금의 세금 공제에 대한 문의는 각 단체를 통해 가능하다.

 

김 봄 기자(editor@topnews.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1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차단에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0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자가 격리, 어떻게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9 호주 최악의 산불 이후 지방거주민들, 대도시로의 이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8 호주 지난 5년 사이 가장 큰 주택가격 상승을 보인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7 호주 부동산 투자자들 끌어들이는 시드니 서부 지역,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엘리자베스 베이 소재 아파트, 잠정가에서 75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5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5044 호주 호주, ‘대량 해고’ 실업자 속출!…’더 스타’ 카지노 그룹, 직원 90% 그만둔다 호주브레이크.. 20.03.25.
5043 호주 호주, 오늘 밤 국무회의서 ‘3단계 폐쇄’ 논의…”확진자 2300명 넘어섰다” 호주브레이크.. 20.03.25.
5042 호주 호주, ‘2단계 봉쇄’ 조치 발표!...”25일 자정부터 시행” 호주브레이크.. 20.03.24.
5041 호주 <속보> 루비 프린세스호 확진자 1명 사망!..."70대 여성으로 초기 크루즈 확진자" 호주브레이크.. 20.03.24.
5040 호주 호주, 오늘 밤 '2단계 봉쇄' 발표 예정!…”더욱 강력한 규제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4.
5039 호주 호주, 대형 슈퍼마켓의 의미 있는 배려…”비상 근무자들만의 쇼핑 시간 주어진다.” 호주브레이크.. 20.03.24.
5038 호주 호주, 코로나 19 확진자 총 1831명…NSW 하룻밤 새 확진자 149명 급증! 호주브레이크.. 20.03.24.
5037 호주 냄새 못 맡으면 코로나 19 의심해라! “무증상 감염자 후각, 미각 기능 상실로”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6 호주 호주•뉴질랜드, '올림픽 보이콧' 선언! ˝국가 대표 구성조차 어려운 상황˝...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5 호주 호주, 코로나 19 확진자 1642명 13명 중증!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거듭 강조…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4 호주 호주, ‘구직 수당’ 신청자 폭주! 각 지역 사무실에 대기자 100m 이상 장사진…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3 호주 호주, 23일 정오부터 올스톱!… ‘전례 없는 규제 조치 발동’ 호주브레이크.. 20.03.22.
5032 호주 스콧 모리슨, 22일 2차 경기부양책 발표! “GDP 9.7% 해당하는 금액” 호주브레이크.. 20.03.22.
5031 호주 호주, 유명 해변 ‘본다이 비치’ 폐쇄 결정! ‘확진자 1000명’ 넘어섰다… 호주브레이크.. 20.03.21.
5030 호주 A ˝cytokine storm˝ that threatens the young. Trying to kill the virus, even normal tissue.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9 호주 호주, 반나절 새 코로나 19 ‘확진자 100명’ 증가! 900명 곧 넘어설 듯…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8 호주 호주, ‘프린세스 크루즈’ 확진자 발생! 일본서 ‘배양접시’ 논란 된 같은 선사…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7 호주 호주, “확진자 800명 눈 앞에!” 코로나 19로 경제도 총체적 난국 …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6 호주 호주중앙은행, 이달만 두 번째 금리 0.25%p로 인하! ‘호주 달러 가치도 폭락’ 호주브레이크.. 20.03.19.
5025 호주 호주, ‘외국인 입국 금지’ 발표!…”약품 등 사재기 하지 마라” 호주브레이크.. 20.03.19.
5024 호주 올해 ‘로얄 이스터 쇼’, ‘시드니 비비드’ 이벤트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3 호주 해외에서 입국하는 모든 사람들, ‘14일간 자가 격리’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2 호주 시드니 시 당국, 노숙자 문제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1 호주 ‘호주 구글’ 검색 상위는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0 호주 ‘페이스북’ 등 과도한 소셜 미디어 사용, 전 세계 ‘고독감’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9 호주 호주 기후, 지난 한 세기 비해 보다 건조하고 온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8 호주 출퇴근길에서의 ‘전자메일’ 통한 업무 처리, 임금에 포함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7 호주 화장지 사재기... “커피 한 잔, 화장지 3롤과 교환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6 호주 ‘울워스’ 슈퍼마켓, 일부 품목 대상 ‘반품’ 정책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5 호주 VIC 지방 정부... 주차위반 과태료 2천만 달러 돌려줘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4 호주 2019년, 호주 여행자가 가장 많이 방문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3 호주 전 세계 은퇴자들, 사망 10년 전 은퇴자금 고갈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2 호주 지난 달 2월 호주 주택가격, 대부분 도시에서 상승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1 호주 지난해 4분기, 첫 주택구입자 가장 많았던 지역은 ‘빅토리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0 호주 정부 지원 ‘FHLDS’ 이용 주택 구매자들의 각 도시별 선택 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9 호주 Neighbourhood... 호주에서 가장 친근감 있는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8 호주 ‘Liveable Sydney’ 상위 지역 중 일부, 주택가격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으로 경매 낙찰률 다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6 호주 호주, 코로나 19 하루 새 ‘40여 명’ 확진! …'6살 어린이' 확진자 포함 636명 호주브레이크.. 20.03.19.
5005 호주 <속보> 호주, 역사상 처음으로 “4단계 여행 경고” 발표! “100명 이상의 실내 모임 제한” 호주브레이크.. 20.03.18.
5004 호주 호주 외무부, “호주인 조속히 귀국해라!” …코로나19 하루새 90여 명 증가, 확진 452명 사망 5명 호주브레이크.. 20.03.18.
5003 호주 호주, 콴타스 항공 운항 중지 발표! “국제선 90%,국내선은 60% 감축 운항” 호주브레이크.. 20.03.17.
5002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19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할 것” …확진 368명 사망 6명 호주브레이크.. 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