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0.8% 오른 86.9%...세미놀 카운티 92.8%로 가장 높아
 

rate.jpg
▲ 2003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졸업률을 나타낸 그래프. <사진: 플로리다주교육부 웹사이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플로리다주 공립고등학교 졸업률이 해마다 오르고 있다.

플로리다 교육부(FDE)가 지난 3일 발표한 2018-19학년도 졸업률은 전년보다 0.8%로 오른 86.9%를 기록했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성명에서 '플로리다 학생들의 발전을 보여주는 고무적인 기록'이라고 평했다.

플로리다 졸업률은 15년전인 2004년만 해도 60% 이하였으나, 이후 계속 상향선을 그리며 2016년에 80% 고지에 올라섰다.

센트럴플로리다의 경우 카운티별 졸업률은 세미놀 92.8%, 오시올라 90%. 오렌지 88.4%, 그리고 레이크 86.8%이다.

탬파베이에서는 헤르난도와 피넬라스 카운티가 각각 88.4%, 패스코 88.3%, 힐스버러 86.2% 순으로 나타났다.

사우스플로리다 지역 카운티는 팜비치 87.1%, 몬로 86%, 브라워드 86.2%, 마이애미-데이드 85.6% 순이다.

플로리다의 6개 대형 카운티를 추려내어 살펴본다면 오렌지 88.4%, 팜비치 87.1%, 두발(잭슨빌) 86.5%, 그리고 힐스버러와 브라워드가 각각 86.2%, 그리고 마이애미-데이드 85.6% 순이다.

올해 졸업률을 성별로 따질 경우 여학생이 90%, 남학생이 84%이다. 인종별로는 아시안 95.6%, 백인 90.2%, 히스패닉 85.9%, 흑인 81.5% 순이다.

2015년 가을 학기 입학해 4년 마친 졸업생은 총 21만2240명

한편 졸업률 통계는 9학년을 시작으로 12학년까지 4년내 고교 학점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2015년 가을 공립고교에 입학한 21만2240명 중 86.9%가 2019년 봄에 졸업했다.

나머지 2만7731명은 여러 사정으로 공립학교 4년을 채우지 못한 학생들이다. 이중 중퇴자는 7257명이며, 일부는 성인 교육/GED 프로그램에 편입됐거나 혹은 청소년 교화소에 발을 들여놓았다.

또 학생 중 일부는 학교는 마쳤지만 졸업에 필요한 필수 요건을 채우지 못해 정식학위(diploma) 대신 수료증(certificate)을 받았고, 5년째 학교에 남아있는 학생은 9567명으로 집계됐다. 성인(직업) 교육으로 방향을 전환한 학생은 5377명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37 미국 플로리다주 로보콜 '전국 2위'... 전화 사기 가장 많아 코리아위클리.. 19.08.25.
4936 미국 올 상반기 플로리다 방문객 6890만명 '사상 최고' 코리아위클리.. 19.08.25.
4935 캐나다 BC하이드로, 전기료 1% 인하 추진 밴쿠버중앙일.. 19.08.27.
4934 캐나다 연방 EE 초청자 통과점수 457로 확 낮아져 밴쿠버중앙일.. 19.08.27.
4933 캐나다 캐나다에서 미국 여행, 사전 입국심사 전면 실시 CN드림 19.08.27.
4932 캐나다 남성 베이비시터, “나이와 성별 질문, 인권 침해” CN드림 19.08.27.
4931 캐나다 에드먼튼에 첫 졸리비 레스토랑 오픈 CN드림 19.08.27.
4930 캐나다 쇠고기 생산업자, “비욘드 미트 영양가 의문” CN드림 19.08.27.
4929 캐나다 한국도자기, 포트무디의 예술혼 활기를 넣다 밴쿠버중앙일.. 19.08.27.
4928 캐나다 캘거리 시, 플라스틱 쓰레기 결국 매립하기로 CN드림 19.08.27.
4927 캐나다 캐나다인민당 "대규모 이민 반대"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6 캐나다 전 세계 한인정치인 한 자리에 모였다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5 캐나다 한-캐 사용후 핵연료 관리 협약 갱신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4 캐나다 BC주 의무교육 과정에 대한 다양한 통계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3 캐나다 써리RCMP, 대형몰 협박범 입건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2 캐나다 대부분 마리화나 이용자 일주일 한번 이상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1 미국 "미국 경기 후퇴 조짐 보인다"... 장단기 금리 차이 역전 코리아위클리.. 19.09.01.
4920 미국 미국 태생 시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 경제 격차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19.09.01.
4919 미국 연방정부 내년 재정적자 1조 달러 넘을 듯 코리아위클리.. 19.09.01.
4918 미국 "푸드 스탬프 수혜 자격 강화하면 아이들 굶는다" 코리아위클리.. 19.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