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사망률 대폭 감소, 암 처치 기술 발전이 주 요인
 

cancer.jpg
<사진: 연방보건복지부 웹사이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국에서 암에 걸려 사망하는 비율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암협회(ACS)’가 8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1년 동안 모든 종류의 암을 통틀어 사망률이 2.2% 감소했다. 연간 수치로는 통계를 잡은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으로, 특히 주목할 부분은 현재까지 26년간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매년 110만 명 이상이 줄고 있는 셈이다.

구체적인 수치로 따지면 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던 해가 1991년인데, 미국인 10만 명당 암 사망자가 215명에 달했다. 그 뒤로 2017년까지 26년 동안 계속 하락하여 총 29% 감소했다. 사람 수로 따지면 290만 명이 줄어든 것이다.

사망률이 가장 많이 감소한 암은 폐암이다. 폐암은 여러 가지 암 중에서 가장 큰 사망 요인이기도 하다. 미국암협회는 유방암, 결장암, 전립선암을 모두 합친 수치보다 폐암 사망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결국 가장 비중이 큰 폐암 사망률이 줄어든 것이 전체적인 감소 추세를 주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폐암은 흡연 등이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담배 애호가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남성에게서 발병이 잦다. 남성의 경우 폐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던 1990년에 비해 51%나 감소했고, 여성은 최대치였던 2002년보다 26% 줄었다. 또 다른 남성 질병인 전립선암은 1993년에 비해 사망률이 52% 감소했다.

여성에게서 주로 발병하는 유방암의 경우 사망률이 가장 높았던 1989년에 비해 40%가 줄었다. 남녀 구분 없이 고르게 발병하는 결장암의 경우, 남성은 결장암 사망률이 1980년에 비해 53% 감소했고, 여성은 1969년 이래 57% 줄었다.

이같은 통계는 국립보건통계센터(NCHS)를 비롯한 관계 당국과, 다양한 암 예방ㆍ연구 단체들의 자료를 종합한 통계다. 가장 오래된 자료는 19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2017년까지 통계를 이번에 파악한 것이다.

암 사망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원인은 우선 흡연자 감소가 폐암 사망률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협회 측은 밝혔다. 하지만 암 처치 기술이 발전한 요인도 있다고 덧붙였다. 유방암이나 결장암의 경우 진단 기법 등의 발달로 조기 발견이 많아지면서, 사망률 감소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보건ㆍ의료계에서 이번 보고서 내용을 환영하고 있다. 하버드 의대 마크 아와드 박사는 암 종류와 남ㆍ여 성별을 불문하고, 사망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매우 신나는” 소식이라고 CNN 방송에 밝혔다.. 그러나 “중요한 전진을 이뤄냈다고 생각”하지만, 암 퇴치를 위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강조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37 미국 플로리다주 로보콜 '전국 2위'... 전화 사기 가장 많아 코리아위클리.. 19.08.25.
4936 미국 올 상반기 플로리다 방문객 6890만명 '사상 최고' 코리아위클리.. 19.08.25.
4935 캐나다 BC하이드로, 전기료 1% 인하 추진 밴쿠버중앙일.. 19.08.27.
4934 캐나다 연방 EE 초청자 통과점수 457로 확 낮아져 밴쿠버중앙일.. 19.08.27.
4933 캐나다 캐나다에서 미국 여행, 사전 입국심사 전면 실시 CN드림 19.08.27.
4932 캐나다 남성 베이비시터, “나이와 성별 질문, 인권 침해” CN드림 19.08.27.
4931 캐나다 에드먼튼에 첫 졸리비 레스토랑 오픈 CN드림 19.08.27.
4930 캐나다 쇠고기 생산업자, “비욘드 미트 영양가 의문” CN드림 19.08.27.
4929 캐나다 한국도자기, 포트무디의 예술혼 활기를 넣다 밴쿠버중앙일.. 19.08.27.
4928 캐나다 캘거리 시, 플라스틱 쓰레기 결국 매립하기로 CN드림 19.08.27.
4927 캐나다 캐나다인민당 "대규모 이민 반대"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6 캐나다 전 세계 한인정치인 한 자리에 모였다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5 캐나다 한-캐 사용후 핵연료 관리 협약 갱신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4 캐나다 BC주 의무교육 과정에 대한 다양한 통계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3 캐나다 써리RCMP, 대형몰 협박범 입건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2 캐나다 대부분 마리화나 이용자 일주일 한번 이상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1 미국 "미국 경기 후퇴 조짐 보인다"... 장단기 금리 차이 역전 코리아위클리.. 19.09.01.
4920 미국 미국 태생 시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 경제 격차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19.09.01.
4919 미국 연방정부 내년 재정적자 1조 달러 넘을 듯 코리아위클리.. 19.09.01.
4918 미국 "푸드 스탬프 수혜 자격 강화하면 아이들 굶는다" 코리아위클리.. 19.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