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실, 기숙사 등에서 구두 전달 연습할 수 있어

(워싱턴디시=코리아위클리) 엔젤라 김(교육가) = 대학의 정규 과목에서 배우는 여러 가지 학습 내용 외에 학교를 다니면서 습득해야 할 여러 가지 기술이 있다. 특히 그 중에서 인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지난 주에 말씀 드렸는데 이번 주에는 대화술을 개발하는 일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씀 드리고자 한다.
 
angela.jpg
▲ 엔젤라 김
 
구두 전달 능력, 즉 말로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능력은 말을 똑똑히 하는 것 이상의 능력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의 말을 잘 경청할 줄 알아야 한다. 대화란 쌍방 도로와 같다. 말하고 듣는 것이 같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 두 가지를 다 잘해야 한다. 말하는 스타일이나 정확도 또한 바른 문법을 사용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가 이루어져 나가는 주제에서 벗어나서 횡설수설 해서도 안 된다.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 전략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하고 또 그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 또한 전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 중에 서로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적절한 때에 질문을 하는 습관을 기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 번 말할 때 20 초나 30초를 넘기지 않도록 조심하며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해서 말해야 한다. 말을 잘하기 위한 책을 읽는 것으로도 부족하고 부단히 연습을 해야 하며 자신이 효과적인 대화를 하고 있는지 늘 기억하고 조심하고 또 반성을 해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화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는 쌍방의 이해이다. 예를 들어서 당신이 고용인이고 고용주가 당신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말하는데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당신은 엉뚱한 일을 하게 될 수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또 물어보면 고용주가 자신을 멍청하다고 생각할까봐 두려워서 그냥 다 아는 척하고 엉뚱한 일을 하고 만다. 그러나 한 번 더 물어보고 멍청해 보이는 것이 (진짜 그렇다면) 일을 엉터리로 하는 것 보다 훨씬 낫다. 그러나 더 좋은 것은 아예 처음부터 상대방의 말을 잘 이해하고 일을 제대로 해내는 것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잘 못하는 형편에서 고용주와 대화할 때가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영어를 잘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고용주는 대개 일을 하다 말고 와서 계속적으로 질문을 한다거나 다 이해하는 척 하고 있다가 일을 엉터리로 하는 것 보다 아예 처음부터 질문하는 것을 더 좋아할 것이다.

분명히 학교 정규 강의 중에 대화술 자체를 가르치지는 않지만 다른 학생들과 교수님들과 대화를 연습할 충분한 기회가 제공된다. 현장 실습, 현장 방문 관측, 수업 중 발표를 비디오로 녹화해서 다시 보는 것들도 자신의 대화술이 어느 정도 되는지 생각하고 반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구두 전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학교 수업 시간만을 의존해서는 안 된다.

사실상 대화를 하며 쌍방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잘 말하고 또한 잘 듣는 능력이 있는지 반성하고 연습할 수 있는 더 유용한 방법과 장소는 기숙사이다. 예를 들어서 대화 중에 어떤 오해가 있거나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왜 그런 일이 있었는지 잘 생각해 보고 상대방과 다시 대화를 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부분의 기숙사에는 기숙사 학생 보조(Resident Assistant)라고 불리는 상급생이 지정되어 있어서 특히 신입생들이 같은 기숙사에서 문제나 갈등이 있을 때 도움을 준다. 이 선배들을 대화 능력을 개발하고 키워 나갈 수 있는 큰 자산으로 여기고 대화술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학교 생활에 임하는 것이 좋다.

나이에 상관 없이 거의 누구에게나 제일 무서운 일 중에 하나는 대중 앞에서 말하는 것일 것이다. 대중을 사로 잡는 연사가 되지는 못할지라도 자신의 의견을 한 사람이 아닌 다섯 명, 열 명, 그 이상의 숫자의 사람들 앞에서 마치 한 사람 앞에서 대화할 때나 마찬가지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면 분명 그것은 성공을 위한 큰 자산일 것이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상담 그룹, www.angelaconsulting.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37 미국 플로리다주 로보콜 '전국 2위'... 전화 사기 가장 많아 코리아위클리.. 19.08.25.
4936 미국 올 상반기 플로리다 방문객 6890만명 '사상 최고' 코리아위클리.. 19.08.25.
4935 캐나다 BC하이드로, 전기료 1% 인하 추진 밴쿠버중앙일.. 19.08.27.
4934 캐나다 연방 EE 초청자 통과점수 457로 확 낮아져 밴쿠버중앙일.. 19.08.27.
4933 캐나다 캐나다에서 미국 여행, 사전 입국심사 전면 실시 CN드림 19.08.27.
4932 캐나다 남성 베이비시터, “나이와 성별 질문, 인권 침해” CN드림 19.08.27.
4931 캐나다 에드먼튼에 첫 졸리비 레스토랑 오픈 CN드림 19.08.27.
4930 캐나다 쇠고기 생산업자, “비욘드 미트 영양가 의문” CN드림 19.08.27.
4929 캐나다 한국도자기, 포트무디의 예술혼 활기를 넣다 밴쿠버중앙일.. 19.08.27.
4928 캐나다 캘거리 시, 플라스틱 쓰레기 결국 매립하기로 CN드림 19.08.27.
4927 캐나다 캐나다인민당 "대규모 이민 반대"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6 캐나다 전 세계 한인정치인 한 자리에 모였다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5 캐나다 한-캐 사용후 핵연료 관리 협약 갱신 밴쿠버중앙일.. 19.08.28.
4924 캐나다 BC주 의무교육 과정에 대한 다양한 통계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3 캐나다 써리RCMP, 대형몰 협박범 입건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2 캐나다 대부분 마리화나 이용자 일주일 한번 이상 밴쿠버중앙일.. 19.08.30.
4921 미국 "미국 경기 후퇴 조짐 보인다"... 장단기 금리 차이 역전 코리아위클리.. 19.09.01.
4920 미국 미국 태생 시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 경제 격차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19.09.01.
4919 미국 연방정부 내년 재정적자 1조 달러 넘을 듯 코리아위클리.. 19.09.01.
4918 미국 "푸드 스탬프 수혜 자격 강화하면 아이들 굶는다" 코리아위클리.. 19.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