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42cbe3619d159a50c50c7aea3ea592_1453841722_58.jpg

“기계를 조작할 때에도 레버를 얼마나 강하게 돌리고, 잡아당겨야 하는지 기계적 예측치가 있기 마련이며 너무 강하면 부러지는 법이다. 앨버타 전력 부문은 20년전 모든 규제가 사라지고 자유화되었지만 작년 11월 노틀리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수립하면서 최대 규모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겠지만 생산비용이 늘어나 전기세가 크게 인상될 것이다.” (알렌 크로울리 씨)

 

 

앨버타 정부가 전력 생산의 근간을 환경친화적 그린에너지 체제로 무게 중심 이동을 추진하는 가운데, 정책 추진의 강약과 완급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관련 업계에 의해 강하게 제기됐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업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이 뒤따를 것이란 경고다. 

 

시간당 1만6천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해야 하는 거대한 전력 시스템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많은 부분의 변화가 수반된다는 것이 업계의 현실적인 지적이다. 앨버타독립전력생산자협회(IPPSA)는 지난 25일(월) 이 같은 점에 우려를 제기하면서, “정부가 기후변화 정책의 가시적 효과에 몰입한 나머지 너무 강경하게 추진한다면 예기치 못했던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발전부문 자문회사 EDC의 알렌 크로울리 씨는 “기계를 조작할 때에도 레버를 얼마나 강하게 돌리고, 잡아당겨야 하는지 기계적 예측치가 있기 마련이라”며, “너무 강하면 부러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앨버타 전력 부문은 20년전 모든 규제가 사라지고 자유화되었지만 작년 11월 노틀리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수립하면서 최대 규모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겠지만 생산비용이 늘어나 전기세가 크게 인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크로울리 씨는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노틀리 수상은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IPPSA 행사에 참석한 200여명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그의 연설에서 크로울리 씨는 “저비용, 저탄소배출, 고안정성, 이 세 가지의 최적화된 균형점을 찾는 것이 관건이라”며, “이 세 가지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들간의 우선순위가 효율적으로 조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IPPSA는 앨버타 전력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80여개 업체를 대표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트랜스알타, 엔맥스, 캐피탈파워 등의 발전회사들은 물론 셸, 선코에너지, 트랜스캐나다 등 오일 가스 업체들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NDP정부는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고,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및 천연가스 발전체제로 변모시킬 계획이다. 특히 그때까지 풍력발전을 앨버타 전체 전력소비량의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EDC가 연구한 자료에 따르면, 화력발전소를 없애고 전체 전력의 3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게 되면 온실가스는 한 해 18.5M 톤 가량 배출량이 줄어들겠지만, 전력 요금은 메가 와트(MW)당 최소 60달러로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태양열 발전 비율이 증가할수록 그 예상 가격은 더욱 인상된다. 

 

현재 전기 요금 요율은 1MW/h 당 20달러 이하이다. 1996년, 전 보수당 랠프 클라인 수상은 앨버타 전력 시장을 자율화시켰으며, 이로써 앨버타는 전력요금이 시간당으로 적용되는 유일한 주가 되었다. 또 엄청난 수력발전 자원을 가진 B.C.주, 퀘벡, 마니토바 등에 비해 앨버타는 가장 비싼 전기요금을 지불하는 주들 중의 하나다. 

 

현재 앨버타에서 생산되는 총 전력량은 16,231메가와트이며, 이중 44%는 천연가스, 39%는 석탄, 9%는 풍력, 5.5%는 수력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IPPSA는 실제적 석탄 의존율은 55%에 육박한다고 주장한다. 작년 가을 정부에 제출한 보고서에서IPPSA는 “NDP정부의 기후변화 전략이 자유화된 앨버타 전력 시장의 지속가능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까 염려된다”며, “정책 변화는 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것보다, 시장 원리에 맡겨져야 할 것”이라고 제안한 바 있다. (사진: 캘거리헤럴드, 노틀리 수상)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17 캐나다 10월부터 가스 요금 인하 희소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0.
9116 캐나다 다시 오르는 캐나다 소비자 물가, 식품비 최고 상승률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0.
9115 캐나다 밴쿠버서 연봉 24만 6천불 안되면 집 살 꿈도 꾸지마라!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9.
9114 캐나다 이민부, 수송 관련 직군 이민자 최우선 받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9.
9113 캐나다 노스로드 실루엣 주상복합아파트 지하서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9.
9112 미국 독일 슈퍼마켓 체인 '알디', '윈-딕시' 인수로 몸집 불려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11 미국 플로리다 스쿨 바우처로 TV, 보트, 테마공원 입장비로 사용?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10 미국 플로리다에서 영구적인 위자료법 폐지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09 미국 물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면?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08 미국 플로리다 스쿨 바우처 수혜자 증가, 전체 학생 혜택이 원인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07 미국 잭슨빌서 인종차별적 총격 사건으로 흑인 세 명 사망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06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택 거래 크게 감소, 가격은 소폭 하락 file 코리아위클리.. 23.09.16.
9105 미국 플로리다에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5명 사망 file 옥자 23.09.16.
9104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 2024 미 대선 공화당 후보로 가장 유력 file 옥자 23.09.16.
9103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 '대선 뒤집기' 공판 내년 3월 시작 file 옥자 23.09.16.
9102 미국 항공사 가격제 허점 이용, 저가 항공권 웹사이트 고소당해 file 옥자 23.09.16.
9101 캐나다 화마가 스치고 지나간 자리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6.
9100 캐나다 코로나19 아직 끝나지 않은 진행형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5.
9099 캐나다 BC부모들, "자녀 키우며 먹고 살기 빠듯하다" 호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5.
9098 캐나다 밴쿠버국제영화제, 한인 감독과 배우 출연작 감상 기회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