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음주 1).jpg

호주인의 음주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6명 중 1명은 ‘위험 수준’으로 술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 관련 전문가들은 음주량을 줄이기 위해 세금 부과 대상 주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Australian Health Tracker’ 보고서... 일부 부유층 지역 ‘과음’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해 결코 적지 않은 음주량을 자랑(?)하던 호주인의 술 소비가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그래도 6명 중 1명은 여전히 ‘위험 수준’으로 술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일반적으로 부유하고 건강을 위한 기반 시설이 잘 되어 있는 지역(suburb) 가운데 일부 서버브 거주자들의 경우 가장 심하게 폭음을 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는 빅토리아대학교 보건 관련 교육 및 정책연구기관인 ‘미첼연구소’(Mitchell Institute)의 최근 보고서를 통해 드러난 것으로, 매년 호주 국민들의 건강 관련 부분을 조사해 내놓는 ‘2019 Australian Health Tracker’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위험한 수준의 음주 비율이 17.1%에 달하는 가운데 특히 일부 해안가 및 지방 지역 중에는 이의 두 배에 가까운 음주량을 보이고 있다.

 

미첼연구소의 ‘Australian Health Policy Collaboration’ 책임자인 로즈마리 칼더(Rosemary Calder) 교수는 “커피를 마시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와인 문화가 자리 잡혀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호주의 국가 약물전략 조사인 ‘National Drug Strategy Household Survey’에 따르면 ‘위험한 수준’의 음주 비율은 최근 수년 사이 다소 줄었다.

하지만 미첼연구소가 ‘2014-15 Australian Health Survey’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는 각 우편번호 지역별로 음주 비율은 크게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빅토리아(Victoria) 주 멜번(Melbourne) 동부 외곽의 음주 비율은 6.5%로 매우 낮은 반면, NSW 주 바이런 카운슬(Byron Shire), 서부 호주 퍼스(Perth, WA)의 부유층 지역인 모스만 파크(Mosman Park), 코츠슬로(Cottesloe), 페퍼민트 그로브(Peppermint Grove) 지역은 31.5%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에 대해 칼더 교수는 “소득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패턴이 다를 수 있고 점심이나 저녁 시간에 알코올을 함께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미첼연구소의 이번 데이터에서 ‘위험한 음주’는 ‘한 주(week)에 14컵의 표준 주류를 초과하거나 하루 2컵이 넘은 음주’라는 오랜 측정치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반면 최근 보건 당국은 ‘위험한 음주’에 대한 기준을 한 주 10잔 이상으로 설정했다. 이는 ‘위험한 수준’의 호주인 음주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뜻한다.

칼더 교수는 “비만이나 흡연 등 다른 건강 지표를 볼 때 위험도가 낮은 부유층 지역에서 음주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NSW 주 동부 해인 휴양도시인 바이런베이 지역(Byron Shire)의 음주비율은 호주 전역에서 가장 높다.

바이런 베이에 자리한 약물 및 알코올 재활센터의 의사 A씨는 “호주의 유명 휴양지 가운데 하나이자 파티 타운, 페스티벌 타운으로, 사람들이 긴장을 풀고 즐기는 도시”라면서 “사회-문화적으로 술은 종종 많은 이들에게 휴식을 갖는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한다”는 말로 이 지역의 높은 음주비율을 설명했다.

업무 특성상 이름을 밝히지 않은 A씨는 이어 “사회적 관계에서 알코올이 하나의 윤활제로 이용됐고, 이는 모든 소득 수준의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방식”이라고 말했다. “노숙자들에 대해 사람들은 (알코올과 관련 있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는 그는 “특히 부유층의 음주에 대해서는, 그만큼 좋은 술을 마시고 경제적 여유가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 수준이 종종 간과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지나친 알코올로 인해 추락하거나 사회적으로 어색한 행동을 보일 때까지는 그 ‘위험 수준’의 음주를 의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사회-경제적 상위 계층에도 상당 비율의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알코올 중독자’(high-functioning alcoholic)들이 있다고 본다”는 게 A씨의 진단이다.

미첼연구소 분석 결과 이민자 거주 비율이 높은 지역의 경우 음주 비율은 낮았다. 칼더 교수는 “알코올을 멀리 하거나 덜 소비하는 지역에서 온 이들 때문일 것”으로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은 젊은 세대들로 하여금 현재의 호주 국민들이 보이는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호주 각 지역사회의 음주 수준이 위험하다”며 보건 당국이 지난 수년간 경고한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샤나 완(Shanna Whan)씨는 너무 많은 음주로 알코올 중독이라는 진단을 받았지만 이를 극복하고 지방 지역의 음주 문제를 지원하는 사회단체 ‘Sober in the Country’를 설립, 알코올 관련 자문관으로 봉사하고 있다.

그녀는 “대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 지역의 경우 술을 많이 마시는 문화(boozy bush culture)가 강하다”면서 “주말의 스포츠 행사, 장례식, 결혼식 등에서 지방 지역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이게 되면 으레 술이 각 행사의 기본이 된다”고 말했다.

게다가 “40대 이상, 심지어 60대의 고령층까지도 펍(pub)에서 사람들과 어울리면 젊은이들의 주량에 지지 않으려는 오기가 발동하고, 또한 그것을 ‘영광의 증표’(badge of honour)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것이 각 개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다. 미첼연구소는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140억 달러에 이르며 알코올로 인한 사망자는 5천500명, 병원 입원자 숫자는 15만7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첼연구소는 와인 등 주류에 적용하는 알코올 면제 주류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이는 세금 시스템을 보다 단순화하고 음주 행동을 억제하면 위험 수준의 음주 비율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의견이다. 칼더 교수는 “주류 관련 세금 또는 다른 수단으로 주류 가격이 올라갈 경우 소비가 축소된다는 증거는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종합(음주 2).jpg

한때 알코올 중독 판정을 받았지만 이를 극복하고 지금은 대도시에서 먼 지방 지역민들의 음주 관련 지원활동을 하는 사냐 완(Shanna Whan)씨. 지방 지역의 경우 ‘술을 많이 마시는 문화’(boozy bush culture)가 강하다며 음주로 인한 건강 악화 문제를 강조했다.

 

‘위험 수준’ 음주 비율 25% 이상 지역(suburb)

-Byron Bay(NSW : 31.57%

-Mosman Park(WA) : 31.47%

-Peppermint Grove(WA) : 31.47%

-Cottesloe(WA) : 31.47%

-East Fremantle(WA) : 29.81%

-Angusta-Margaret River(WA) : 28.13%

-Snowy River(NSW) : 28.03%

-Towong(VIC) : 27.63%

-Platagenet(S, WA) : 27.56%

-Denmark(S, WA) : 27.56

-Bellingen(A, NSW) : 27.53

-Tenterfield(A, NSW) : 27.21

-Glen Innes Severn(A, NSW) : 27.21

-Kangaroo Island(DC, SA) : 26.96

-Upper Lachlan Shire(A, NSW) : 26.65

-Donnybrook-Balingup(S, WA) : 26.00

-Bridgetown-Greenbushes(S, WA) : 26.00

-Boyup Brook(S, WA) : 26.00

-Tumbarumba(A, NSW) : 25.63

-Blayney(A, NSW) : 25.56

-Waroona(S, WA) : 25.44

-Mundaring(S, WA) : 25.20

-Pittwater(A, NSW) : 25.17

Source : Australian Health Tracker

 

호주인 건강 관련 주요 포인트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비율 : 67%

-성인 비만 비율 : 31.3%

-신체 활동 권고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성인 : 52.7%

-성인 소금 섭취 : 8.1g

-‘정크푸드’에서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성인 대상) : 34.6%

-성인 설탕 섭취 : 47.8%

-고혈압 : 22.8%

-위험 수준 음주 비율 : 17.1%

-성인 1인당 알코올(pure alcohol) 소비 : 9.4리터

-폭음 : 25.5%

-알코올로 인한 응급실 입원 비율(1천 명 당) : 남성 5.7%, 여성 3.4%

-14세 이상 매일 흡연자 : 12.2%

-높은 콜레스테롤 : 32.8%

-정기 대장암 검사 비율(50-74세) : 41%

-정기 유방암 검사 비율(50-74세 여성) : 55%

-성인 당뇨 발생 비율(25-64세) : 4.2%

-매일 흡연을 하는 정신질환 성인 비율 : 27.7%

-심혈관 질환, 뇌졸중, 일반암 또는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30-70세) : 10만 명 당 208명

-자살 비율 : 10만 명 당 12.6명

Source : Australian Health Tracker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음주 1).jpg (File Size:49.4KB/Download:37)
  2. 종합(음주 2).jpg (File Size:74.7KB/Download:3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1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차단에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0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자가 격리, 어떻게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9 호주 최악의 산불 이후 지방거주민들, 대도시로의 이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8 호주 지난 5년 사이 가장 큰 주택가격 상승을 보인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7 호주 부동산 투자자들 끌어들이는 시드니 서부 지역,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엘리자베스 베이 소재 아파트, 잠정가에서 75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45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5044 호주 호주, ‘대량 해고’ 실업자 속출!…’더 스타’ 카지노 그룹, 직원 90% 그만둔다 호주브레이크.. 20.03.25.
5043 호주 호주, 오늘 밤 국무회의서 ‘3단계 폐쇄’ 논의…”확진자 2300명 넘어섰다” 호주브레이크.. 20.03.25.
5042 호주 호주, ‘2단계 봉쇄’ 조치 발표!...”25일 자정부터 시행” 호주브레이크.. 20.03.24.
5041 호주 <속보> 루비 프린세스호 확진자 1명 사망!..."70대 여성으로 초기 크루즈 확진자" 호주브레이크.. 20.03.24.
5040 호주 호주, 오늘 밤 '2단계 봉쇄' 발표 예정!…”더욱 강력한 규제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4.
5039 호주 호주, 대형 슈퍼마켓의 의미 있는 배려…”비상 근무자들만의 쇼핑 시간 주어진다.” 호주브레이크.. 20.03.24.
5038 호주 호주, 코로나 19 확진자 총 1831명…NSW 하룻밤 새 확진자 149명 급증! 호주브레이크.. 20.03.24.
5037 호주 냄새 못 맡으면 코로나 19 의심해라! “무증상 감염자 후각, 미각 기능 상실로”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6 호주 호주•뉴질랜드, '올림픽 보이콧' 선언! ˝국가 대표 구성조차 어려운 상황˝...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5 호주 호주, 코로나 19 확진자 1642명 13명 중증!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거듭 강조…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4 호주 호주, ‘구직 수당’ 신청자 폭주! 각 지역 사무실에 대기자 100m 이상 장사진… 호주브레이크.. 20.03.23.
5033 호주 호주, 23일 정오부터 올스톱!… ‘전례 없는 규제 조치 발동’ 호주브레이크.. 20.03.22.
5032 호주 스콧 모리슨, 22일 2차 경기부양책 발표! “GDP 9.7% 해당하는 금액” 호주브레이크.. 20.03.22.
5031 호주 호주, 유명 해변 ‘본다이 비치’ 폐쇄 결정! ‘확진자 1000명’ 넘어섰다… 호주브레이크.. 20.03.21.
5030 호주 A ˝cytokine storm˝ that threatens the young. Trying to kill the virus, even normal tissue.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9 호주 호주, 반나절 새 코로나 19 ‘확진자 100명’ 증가! 900명 곧 넘어설 듯…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8 호주 호주, ‘프린세스 크루즈’ 확진자 발생! 일본서 ‘배양접시’ 논란 된 같은 선사…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7 호주 호주, “확진자 800명 눈 앞에!” 코로나 19로 경제도 총체적 난국 … 호주브레이크.. 20.03.20.
5026 호주 호주중앙은행, 이달만 두 번째 금리 0.25%p로 인하! ‘호주 달러 가치도 폭락’ 호주브레이크.. 20.03.19.
5025 호주 호주, ‘외국인 입국 금지’ 발표!…”약품 등 사재기 하지 마라” 호주브레이크.. 20.03.19.
5024 호주 올해 ‘로얄 이스터 쇼’, ‘시드니 비비드’ 이벤트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3 호주 해외에서 입국하는 모든 사람들, ‘14일간 자가 격리’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2 호주 시드니 시 당국, 노숙자 문제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1 호주 ‘호주 구글’ 검색 상위는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20 호주 ‘페이스북’ 등 과도한 소셜 미디어 사용, 전 세계 ‘고독감’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9 호주 호주 기후, 지난 한 세기 비해 보다 건조하고 온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8 호주 출퇴근길에서의 ‘전자메일’ 통한 업무 처리, 임금에 포함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7 호주 화장지 사재기... “커피 한 잔, 화장지 3롤과 교환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6 호주 ‘울워스’ 슈퍼마켓, 일부 품목 대상 ‘반품’ 정책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5 호주 VIC 지방 정부... 주차위반 과태료 2천만 달러 돌려줘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4 호주 2019년, 호주 여행자가 가장 많이 방문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3 호주 전 세계 은퇴자들, 사망 10년 전 은퇴자금 고갈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2 호주 지난 달 2월 호주 주택가격, 대부분 도시에서 상승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1 호주 지난해 4분기, 첫 주택구입자 가장 많았던 지역은 ‘빅토리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10 호주 정부 지원 ‘FHLDS’ 이용 주택 구매자들의 각 도시별 선택 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9 호주 Neighbourhood... 호주에서 가장 친근감 있는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8 호주 ‘Liveable Sydney’ 상위 지역 중 일부, 주택가격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으로 경매 낙찰률 다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5006 호주 호주, 코로나 19 하루 새 ‘40여 명’ 확진! …'6살 어린이' 확진자 포함 636명 호주브레이크.. 20.03.19.
5005 호주 <속보> 호주, 역사상 처음으로 “4단계 여행 경고” 발표! “100명 이상의 실내 모임 제한” 호주브레이크.. 20.03.18.
5004 호주 호주 외무부, “호주인 조속히 귀국해라!” …코로나19 하루새 90여 명 증가, 확진 452명 사망 5명 호주브레이크.. 20.03.18.
5003 호주 호주, 콴타스 항공 운항 중지 발표! “국제선 90%,국내선은 60% 감축 운항” 호주브레이크.. 20.03.17.
5002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19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할 것” …확진 368명 사망 6명 호주브레이크.. 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