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다니엘 강 기자>

 

▲ 우한괴담으로 인해 시드니 한인 경제가 큰 타격을 받고있다. youtube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 실제 사례라며 생쥐를 먹고 있는 중국인 동영상까지 소셜미디어에 등장했다.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가짜뉴스들이 교민사회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twitter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시드니 한인 밀집지역 상권이 큰 타격을 받고있다.  ‘우한괴담’ 가짜뉴스로 인해 교민 경제에 초비상이 걸렸다.

 

현지시간 31일 오후 3시경 호주 시드니 ‘이스트우드(Eastwood)’ 한인상가 밀집 지역은 썰렁했다. 평소 금요일과는 대조되는 모습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우한폐렴)’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한 몇몇 시민들이 눈에 띄었을 뿐이다. 대부분은 중국계 이민자들이었다.

 

외출이나 쇼핑 등을 삼가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는게  호주 방역 당국의 입장. 그런데도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쇼핑까지 줄이는 이유에는 ‘신종코로나’ 관련 괴담이 큰 몫을 했다.

 

지난주부터 각종 소셜 미디어(SNS)와 유튜브 등에서 우한 발 실제 상황이란 제목으로 확인되지 않은 괴담과 동영상 등이 유포되기 시작했다.

 

“우한 현지는 10만명 이상의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고의적으로 바이러스를 유포시켰다” “눈만 봐도 감염된다”등의 자극적인 내용과 지나가던 사람이 갑자기 쓰러지는 장면을 촬영한 후 “신종코로나 환자가 쓰러졌다”는 등의 동영상이 퍼져나갔다.

 

일부 언론들은 이런 자극적인 내용과 동영상을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방송에 내보내는 어처구니 없는 일도 발생했다.

 

▲ 지난주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시드니 스트라스필드의 카페에서 '신종코로나' 감염자로 알려진 남자가 쓰러진 장면이 유포됐지만 단순 주취자로 확인됐다. 가짜정보가 교민 경제에 타격을 입히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호주브레이크뉴스

  

시드니에서도 소셜미디어에 스트라스필드 한 카페에서 쓰러져있는 한 남자를 다른친구들이 당황해하며 일으키려는 모습이 찍힌 사진이 ‘신종코로나’ 감염자로 둔갑되어 유포됐지만 이는 주취자로 확인된 사례도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 가천 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는  “그런일은 있을수 없다. 그렇게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는 이해하기 힘들다”라고 잘라 말했다.

 

▲ '신종코로나'로 인해 시드니 한인 최대 상권 중에 하나인 이스트우드(EASTWOOD)상가 거리에 인적이 뚝 끊겼다. 한인 경제에 큰 타격을 입고있는 상황.     ©호주브레이크뉴스

 

▲ 시드니 이스트우드 거리에는 차량 몇대만 주차되어 있을 뿐 북적이던 거리가 무거운 침묵만이 흐르고 있다.     ©호주브레이크뉴스

 

지난해 9월부터 이어져온 호주의 대규모 산불로 인해 시드니 한인 경제는 이미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설상가상, 중국 우한발 ‘신종코로나’ 공포가 시드니 한인 상권에 2,3차 타격을 가하고 있어 교민 사회는 이중고를 겪고있다.

 

이스트우드 현지 한국계 시의원 및 상우회 임원들까지 나서 해당 카운슬과 긴밀한 협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를 상권 이용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노력과 홍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가짜 정보에 동요하지 말고 평소대로의 생활을 유지하는 의연함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한편 호주 보건부는 1일 아침기준 총 9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퀸즈랜드에서 2명, 빅토리아에서 3명, 뉴사우스웨일즈에서 4명이라고 발표 했다.

 

news2020@aubreaknews.com

 

 브레이크뉴스 원문 기사 보기

http://www.breaknews.com/708093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83 호주 리드컴 소재 수영장, 내년부터 재개발 공사 호주한국신문 14.09.25.
2782 호주 어번 전쟁 기념비, 메모리얼 파크로 이전 호주한국신문 14.09.25.
2781 호주 호주 은행 조사, “싱글 삶, 은행 빚 늘어날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9.25.
2780 호주 외교관들, “음주운전, 속도위반에 무례하기까지...”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9 호주 시드니의 ‘골든 마일, 킹스크로스 상권이 죽어간다...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8 호주 샘 해밍턴, 그는 어떻게 한국의 코미디언이 되었나...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7 호주 “IS의 ‘호주인을 죽여라’는 촉구, 거짓 위협 아니다”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6 호주 경찰서에서 흉기 휘두르던 테러용의자, 사살돼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5 호주 IS 무장조직, “모든 방법으로 호주인 살해하라”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4 호주 저명 경제학자, ‘네거티브 기어링 폐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3 호주 주호주한국대사관, 개천절 리셉션 개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2 호주 Korean Day Festival, 내일 브레싱튼 공원에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1 호주 ‘한국의 울림, 1천여 관객에게 울려 퍼지다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0 호주 캔버라 한국대사관, 공인인증서 발급 서비스 개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9 호주 어번 카운슬, 신임 시장으로 로니 퀘이크 의원 선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8 호주 재호 축구협, ‘벤디고은행컵’ 축구대회 개막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7 호주 재호주대한체육회, 전국체전 결단식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6 호주 외부인사 칼럼- 체육회 후원의 밤 소고(小考)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5 호주 호주한국학교 임고든 군, 교육부장관상 수상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4 호주 한국 해군 순항훈련전단, 6일 시드니항 입항 호주한국신문 1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