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통계학적 전환기로 전력 수요 향후 10년 두 배

 

4.png

▲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 시내가 오염으로 뿌옇다. (사진=scmp) 

 

인도네시아가 인구통계학적 변화를 겪으면서 전력 수요가 향후 10년래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청정에너지 확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동남아시아 최대 경제체인 인도네시아는 향후 10년래 인구 절반이 노동 시장에 투입되고 20년 후인 2030년까지 10명 중 7명이 일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꾸준히 빈곤율은 낮아지고 있으며 매년 수백만 명이 도시로 이주하고 있다. 이처럼 인도네시아 노동인구가 급증하면서 국민들의 소득이 높아지고 전력 수요도 덩달아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2억 5천만 명 이상인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로, 향후 10년 동안 전력 수요가 2배 이상, 2010년의 3배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네시아의 국가 성장력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해 세계 전력 발전 강대국인 인도와 중국과 맞먹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의 경제 발전 모습은 여느 동남아시아 국가와 매우 흡사하지만 인도네시아는 아직까지 석탄 전력 발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인근 국가들에 비해 청정에너지 개발이 뒤쳐져있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도 작년 석탄 감소를 국가 정책으로 선정하고 지속가능성이 국가 목표임을 밝힌 바 있었다. 인도네시아는 2025년까지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 에너지의 비율을 기존 12%에서 23%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인근 국가들보다 목표 달성에 턱없이 뒤쳐지고 있다.

 

청정에너지 관련 법률이 부재하다는 점이 그동안 인도네시아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사업의 장애물이 되었다고 분석된다. 인도네시아는 신재생 에너지 관련 국가 법률이 제정되어 있지 않아 즉 행정 담당부처에 따라 1년에 관련 규정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어 투자 유치가 어렵다. 2018년 PwC 보고서에서도 응답자 94%가 불확실한 규제가 대규모 전력 발전 사업에 대한 투자의 큰 걸림돌이 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인도네시아 정부는 개발도상국들의 경제 발전을 위해 환경 문제보다는 저렴한 전력 공급을 우선시하고 있다. 하지만 싱크탱크 IEEFA는 석탄 전력 비용이 모든 비용이 반영되지 않아 저렴하게 보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인도네시아는 탄소세 등 탄소 가격 체계가 없어 마치 석탄 전력이 저렴하게 여겨지지만, 만약 OECD 국가나 칠레, 멕시코 등 개발도상국처럼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한다면 석탄 발전 비용이 높아질 것이다.

 

다만 한 가지 희망적인 사실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인근 이웃 국가들이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높아짐에 따라 지난 3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 투자를 유치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지면서 향후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청신호가 밝혀졌다. 자카르타 소재 싱크탱크 이센셜 서비스 리폼 연구소(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는 올해가 인도네시아 청정에너지에 대한 ‘결정의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환경법 센터(Indonesian Centre for Environmental Law)는 정부가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법률과 규정을 제정해야 하며 특히 지리적으로 전력 공급이 어려운 곳에 소규모 오프그리드(Off-Grid, 공공 전기망에서 독립된 자체 전력 발전)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면 도시 이주 현상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행법으로 지역 사회 규모의 오프그리드 설치 가능 여부가 불분명해 대중들의 참여가 더욱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수많은 연구에서 인도네시아는 수력 발전과 태양열 발전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까지 전체 에너지 믹스의 3% 미만에 불과하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512.6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6 홍콩 2020년 5월 3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35 홍콩 아태 지역 상업용 부동산 투자액, 10년래 최저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34 홍콩 개학 앞두고 교육청 새로운 지침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33 홍콩 경찰불만처리위원회, 경찰들의 시위 진압 ‘시스템적 문제없어’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32 홍콩 Covid-19 ‘덕분에’, 최초로 원격 재판 열려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31 홍콩 Covid-19 검역 강화에 해상 밀수범죄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30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금융시장 연계 촉진 계획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5.19.
729 중국 간밤에 무슨 일이? 헬멧 가격이 갑자기 왜 폭등해? 라이프매거진 20.05.20.
728 중국 핸드폰내의 이 사진은 바로 삭제...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봐.. 라이프매거진 20.05.25.
727 홍콩 2020년 5월 4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6 홍콩 中 홍콩 국가보안법 직접 제정, 일국양제 훼손 우려로 반발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5 홍콩 전인대 ‘홍콩 국가보안법’ 추진에 홍콩 달러화 급락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4 홍콩 카우룽 시티 재개발로 아파트 3천 채 이상 공급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3 홍콩 세계 상업 지구 순위, 센트럴 작년 11위에서 13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2 홍콩 고용 한파에 대졸자 취업문 더욱 좁아져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1 홍콩 국제 유가 하락에도 홍콩 휘발유 가격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0.05.26.
720 중국 중국 광저우 파저우(琶洲)에서 120분이면 홍콩공항 도착 라이프매거진 20.05.27.
719 중국 중국 최고검: 코로나19 기간 범죄행위로 3700여 명 검거 라이프매거진 20.05.27.
718 중국 중국 심천 남산(南山)에서 주해까지 30분이면 도착? 라이프매거진 20.05.27.
717 홍콩 2020년 6월 1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위클리홍콩 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