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서울 김민정 객원기자>

 

▲ 해빙 모드를 맏던 일본과의 교류에 '코로나19'로 인해 급제동이 걸리는 분위기다. 사진은 일본 동경 가부키초의 모습  © 호주브레이크뉴스

 

일본과의 빙하기가 해빙 되는데는 다소 시간이 걸리게 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일본 방문을 꺼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해 시작과 함께 해빙 조짐을 보이던 국내 여행객들의 일본여행 수요가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으로 다시 얼어붙는 모양새다.

 

일본에서 확진자가 대거 발생하며 커진 불안감에 여행심리가 주저앉았다. 자발적 불매가 낳은 NO재팬이 안전에 대한 우려로 여행을 기피하는 NO재팬으로 바뀌고 있다.

 

▲ 승객 2666명, 승조원 1045명 등 총 3700여명이 탑승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모습. tv동경뉴스 캡처     ©호주브레이크뉴스

 

16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중국 뿐 아니라 세계 각지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이 중 일본의 확산 속도가 심상치 않다. NHK 등에 따르면 이날 현재 일본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서 총 355명이 감염됐다. 아직 2600여 명은 검사 조차 받지 못한 상황이라 확진자가 더욱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크루즈선 뿐 아니라 홋카이도와 오키나와에 이르기까지 일본 열도 전역에서도 확진사례가 나타나고 있단 것이다. 이날 현재 일본은 크루즈선을 제외하고 5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이 중 1명이 사망했다. 확진자 상당수는 감염경로 추적이 불가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더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일본 열도를 덮치며 일본 전역은 여행위험지역이 됐다.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지난 11일 일본을 일부 동남아 지역과 함께 여행자제지역으로 정하고 여행 최소화를 권고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 겸 중수본 부본부장은 "일본에서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되는 감염경로가 매우 불분명한 사례들이 보고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 일본 동경의 지하철 역사도 한적한 모습이도 대부분의 시민들은 마스크를 착용하는것이 일상화가 됐다.  © 호주브레이크뉴스

 

일본여행수요는 다시 바닥을 치고 있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한일관계 악화로 지난 하반기부터 지속되던 '일본여행 보이콧'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지던 상황에서 다시 위축됐다. 지난 반 년 동안 일본여행 수요 감소는 정치 갈등에 따른 자발적인 불매운동이 원인으로 작용했다면, 2월부터는 보건·안전 상의 이유로 바뀐 것이다.

 

이에 따라 여행업계는 당초 상반기 내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했던 일본여행수요 회복 시점이 늦춰질 것으로 내다본다. 코로나19 사태가 시작하기 전인 지난달 설 연휴 당시와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실제 지난해 말부터 일본여행수요가 반등하는 조짐이 보였다. 앞서 지난해 12월 국내최대 일본여행 커뮤니티 '네일동(네이버 일본여행 동호회)'이 운영을 재개했고, 지난해 설 연휴 인기 여행지로 도쿄와 오사카, 후쿠오카 등이 인기 여행지로 거론됐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9만7000명으로 저점을 찍은 방일 한국인 여행객은 12월 24만8000명을 기록, 서서히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여행불매 악재가 채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예기치 않은 코로나19 악재가 덮치며 예상이 어긋나게 됐다. 하나투어나 모두투어 등 국내 주요 아웃바운드(내국인의 해외여행) 여행사들도 당장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눈치다.

 

여행업계는 여행심리를 이끄는 요인으로 정치갈등보다 경제적 요인이나 전염병 등 천재지변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만큼, 도쿄 올림픽이 열리는 여름에나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83 호주 리드컴 소재 수영장, 내년부터 재개발 공사 호주한국신문 14.09.25.
2782 호주 어번 전쟁 기념비, 메모리얼 파크로 이전 호주한국신문 14.09.25.
2781 호주 호주 은행 조사, “싱글 삶, 은행 빚 늘어날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9.25.
2780 호주 외교관들, “음주운전, 속도위반에 무례하기까지...”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9 호주 시드니의 ‘골든 마일, 킹스크로스 상권이 죽어간다...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8 호주 샘 해밍턴, 그는 어떻게 한국의 코미디언이 되었나...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7 호주 “IS의 ‘호주인을 죽여라’는 촉구, 거짓 위협 아니다”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6 호주 경찰서에서 흉기 휘두르던 테러용의자, 사살돼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5 호주 IS 무장조직, “모든 방법으로 호주인 살해하라” 호주한국신문 14.09.25.
2774 호주 저명 경제학자, ‘네거티브 기어링 폐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3 호주 주호주한국대사관, 개천절 리셉션 개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2 호주 Korean Day Festival, 내일 브레싱튼 공원에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1 호주 ‘한국의 울림, 1천여 관객에게 울려 퍼지다 호주한국신문 14.10.02.
2770 호주 캔버라 한국대사관, 공인인증서 발급 서비스 개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9 호주 어번 카운슬, 신임 시장으로 로니 퀘이크 의원 선출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8 호주 재호 축구협, ‘벤디고은행컵’ 축구대회 개막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7 호주 재호주대한체육회, 전국체전 결단식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6 호주 외부인사 칼럼- 체육회 후원의 밤 소고(小考)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5 호주 호주한국학교 임고든 군, 교육부장관상 수상 호주한국신문 14.10.02.
2764 호주 한국 해군 순항훈련전단, 6일 시드니항 입항 호주한국신문 1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