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코로나업데이트).jpg

중국에서는 코비드19가 아직도 확산되고 있지만 호주 및 NSW에서는 진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사진: Pixabay

 

NSW, COVID-19 바이러스 ‘진정 국면’ 들어간 듯

2월20일 현재, NSW 확진자 4명 모두 회복 및 귀가 조치

 

NSW주 보건성에 따르면 NSW주에서는 금주 2월19일(수) 오후 1시 현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확산이 진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보건성의 2월 19일자 코로나 바이러스 집계 발표에 따르면 기존 확진자 4명이 이제 모두 완치되어 귀가했으며, 이날 현재 65명만이 감염 여부 검사를 받고 있고, 이미 검사를 마치고 음성으로 판정된 1,486명이 아무 문제없이 건강하게 집으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호주에는 이제까지 NSW, 빅토리아, 퀸즐랜드, 남부호주 등 4개 주에서 총 15명의 확진자 숫자가 나왔다.

또한 지난 2월2일(일) 이후 19일까지 시드니 국제공항에서는 총 18,442명에게 체온 및 기침 등 코로나바이러스 증상여부를 조사하여, 그 중 66명에게 따로 감염 테스트를 실시했다. 이중에는 18일(화) 아침 중국본토에서 도착한 290명도 호주 거주 여행자들이 포함되는데, 이중 한 명만이 별도의 감염 테스트를 받게 됐다고 전했다. 같은 날 (16일) 아침, 시드니 하버로 들어온 마스담(Maasdam) 유람선의 승객과 승무원들에게도 조사가 행해졌는데, 이중 아무도 감염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19일(수) 오전 ‘Coronavirus COVID-19 Global Cases by Johns Hopkins CSSE’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러스 확산현황은 29개국 및 지역에 확진자 숫자가 75,162명이고, 사망자가 2,008명, 그리고 치료를 받고 완쾌된 환자들이 14,360명이다. 이중 대부분은 중국(홍콩, 마카오 별도)에서 발생한 숫자이고, 일본은 유람선 대처 문제로 확진자 숫자가 매일 수십명씩 늘어나고 있어 국내외 논란을 빚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아주 우수한 대처로 전 세계의 모범 사례로 칭찬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금주 화요일 하루 만에 대구에서 19명의대규모 확진자 숫자가 나타나 바이러스 감염이 싱가폴과 일본처럼 일반 사회 감염으로 진전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심해지고 있는 상태다. 한편 아프리카 및 이집트 지역에도 확진자가 발생했다.

 

임옥희 기자 /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코로나업데이트).jpg (File Size:36.7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01 호주 “호주 커피에는 특색이 있다” 톱뉴스 17.09.15.
1900 호주 가까운 곳에서 봄을 즐겨요, 시드니 보태닉 가든 톱뉴스 17.09.15.
1899 호주 봄마중 나갈까, 캔버라 꽃축제 ‘플로리에이드’ 톱뉴스 17.09.15.
1898 호주 호주 삶을 찰칵, ‘오스트레일리안 라이프’ 톱뉴스 17.09.15.
1897 호주 친환경 에너지 주택이 궁금하다면, 톱뉴스 17.09.15.
1896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1895 호주 호주시장 외면하는 중국인 투자자들 톱뉴스 17.09.15.
1894 호주 여야의 무력한 에너지 요금 대책에 성난 호주국민 톱뉴스 17.09.15.
1893 호주 에어아시아, 얼리버드 빅세일..한국행 $268 톱뉴스 17.09.15.
1892 호주 '아이폰X' 판매 열흘 전부터 매장 앞에서 노숙하는 남성 톱뉴스 17.09.15.
1891 호주 “동성커플의 결혼이 허용되도록 법이 개정돼야 할까요?” 톱뉴스 17.09.15.
1890 호주 하워드, 애벗 전 총리 “동성결혼 반대 캠페인 지지한다”…턴불 “yes’ 입장 표명 톱뉴스 17.09.15.
1889 호주 연방하원 지역구 재조정에 자유당 연립 긴장 톱뉴스 17.09.15.
1888 호주 위기의 빌 쇼튼 노동당 당수…지지 의원 이탈 가속화? 톱뉴스 17.09.15.
1887 호주 노동당, "동성결혼 과열 논쟁, 성소수자 정신건강에 악영향" 톱뉴스 17.09.15.
1886 호주 석탄화력발전소를 둘러싼 여여 중진의 “충돌” 톱뉴스 17.09.15.
1885 뉴질랜드 스위스의 교육제도, 뉴질랜드도 배워야... NZ코리아포.. 17.09.15.
1884 뉴질랜드 뉴질랜드, 불확실성 요인에도 소비자 신뢰 지수 강하게 나타나 NZ코리아포.. 17.09.15.
1883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관련 페어팩스 미디어-입소스 여론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82 호주 한반도 유사시 한국 내 호주 시민들 대처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81 호주 “주류업계가 알코올 유해성 왜곡, 음주 부추킨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80 호주 작가 조세핀 윌슨,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9 호주 오지의 목장을 아웃백 캠프로... 새 여행상품 시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8 호주 호주판 ‘스티브 잡스’ 기대... 호주 10대 청소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7 호주 ‘호주산 양고기 광고’ 관련, 인도 정부 공식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6 호주 미 서부 개척 당시로의 여행, 사막의 별빛 아래 펼쳐지는 라이브 공연은 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5 호주 미네소타 주 당국, ‘총격 사망’ 호주 여성 사건 조사 완료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4 호주 유나이티드 항공, ‘시드니-휴스턴’ 17.5시간 노선 취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3 호주 NSW 주 정부, 전기요금 부담 경감 대책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근 이어진 낙찰률 하락서 ‘반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871 뉴질랜드 오클랜드 교사 부족 위기, 심각한 수준 NZ코리아포.. 17.09.14.
1870 뉴질랜드 뉴질랜드, 주택 매매 소요 시간 점점 더 오래 걸려 NZ코리아포.. 17.09.14.
1869 뉴질랜드 오클랜드 노스쇼어 한 고등학교,인종차별 스캔들 NZ코리아포.. 17.09.13.
1868 뉴질랜드 총선 앞두고 오클랜드 부동산 경기 침체 양상 NZ코리아포.. 17.09.13.
1867 뉴질랜드 NZ대학 학비, OECD 다른 국가 대비 일곱번째 NZ코리아포.. 17.09.13.
1866 뉴질랜드 운전배우려던 아내 급발진으로 물속에 빠져.... NZ코리아포.. 17.09.13.
1865 호주 연방정부 “석탄화력발전 보전에 소매 걷고 나섰다” 톱뉴스 17.09.13.
1864 호주 턴불 총리,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통화…북핵 대응방안 논의 톱뉴스 17.09.13.
1863 호주 동성결혼 지지층 대규모 연대 집회 톱뉴스 17.09.13.
1862 호주 국민당 “재생에너지 보조금 중단” 결의…조이스 당수 “필요는 하지만” 톱뉴스 17.09.13.
1861 호주 호주 임금 성장률 20년만에 최저치 기록 톱뉴스 17.09.13.
1860 호주 9.9 카운슬 선거 무소속 돌풍…라이드 웨스트선거구 피터김(상휘, 노동당) 당선 유력 톱뉴스 17.09.13.
1859 호주 대법원 "동성결혼 우편투표 합헌"...우편투표 초읽기 톱뉴스 17.09.13.
1858 호주 [뉴스폴] 동성결혼 지지율 하락세…기권층 증가 톱뉴스 17.09.13.
1857 뉴질랜드 용량 잘못 표시된 와인잔때문에 큰 손해 본 술집 주인 NZ코리아포.. 17.09.13.
1856 뉴질랜드 추락한 차에서 3명의 어린이 구한 10대 NZ코리아포.. 17.09.12.
1855 뉴질랜드 여성 참정권 주장 록 뮤지컬, 여성에게 9.4%할인 NZ코리아포.. 17.09.12.
1854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하락,금융 시장 불확실성 커질 수 있어 NZ코리아포.. 17.09.12.
1853 뉴질랜드 함부로 절벽 오르다 오도가도 못하게 된 20대 NZ코리아포.. 17.09.11.
1852 뉴질랜드 봄이 시작되는 9월, 전국이 한겨울같은 기상 NZ코리아포.. 1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