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강수량 1).jpg

시드니 지역 식수 공급원인 와라감바 댐(Warragamba Dam). 가뭄이 이어지면서 저수량이 위험 수준인 43%까지 하락했으나, 이달 첫 주 폭우 및 이어진 비로 2월 3째주 현재 80%까지 회복한 상태이다. 당국은 현재의 ‘2단계’의 물 사용 제한을 2주 동안 유지하고 3월 1일부터 1단계로 완화시킬 예정이다.

 

NSW 주 주요 댐, ‘안정 수위’ 회복... QLD 가뭄도 상당 부분 해갈

2주간 평가 뒤 광역 시드니 3월 1일부터 급수 제한조치 1단계로 완화

 

이달 첫 주 내린 폭우로 시드니 일부 지역을 비롯해 곳곳이 홍수 피해 및 전력공급 차단이라는 불편을 겪었지만 이와 더불어 금주 까지 이어진 비로 인해 지난해 내내 계속돼온 NSW 주의 가뭄 문제는 일단 해소됐다는 진단이다. 또한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3월 1일부터 ‘2단계’ 물 사용 제한 조치를 1단계로 완화할 예정이다.

2월 첫 주, 수일에 걸친 폭우가 내린 며칠 후, 시드니 인근 주요 댐의 저수량은 안정 수위를 회복했으며 700mm 이상의 비가 내린 네피안(Nepean) 지역의 폭우는 네피안 댐(Nepean Dam)을 100% 채우고 남아 네피안 강으로 방류해야 했다. 특히 이번 비는 NSW 주 전역에서 골고루 내림으로써 지난해 9월부터 210일여 이어진 산불 진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NSW 주 지역소방청(NSW Rural Fire Service)은 지난 주 목요일(13일) “이번 강우로 NSW 주의 모든 산불이 진화됐다”고 발표했다.

광역시드니 전역에 식수를 공급하는 주요 댐인 와라감바 댐(Warragamba Dam)은 이번 폭우가 내리기 전까지만 해도 ‘매우 위험’ 수준인 43%의 저수량을 보였으나 폭우 며칠 후 저수량은 75%를 회복했고 금주 2월 18일 현재 80%를 회복했다.

주 전역에 걸쳐 많은 비가 내리고 시드니 인근 댐 또한 저수량이 안전 수위를 회복함에 따라 시드니 수도 당국인 ‘Sydney Water’는 광역시드니를 비롯해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 일라와라 지역(Illawarra region)에 내려진 ‘2단계’ 물 사용 제한 조치를 수자원 공급망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수질관리를 위해 2주간만 더 지속한 후, 1단계로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수자원 및 토지, 주택성(Water, Property and Housing)의 멜린다 파베이(Melinda Pavey) 장관은 금주 주내 언론사들에 보낸 보도 자료에서 “최근에 20년 만에 가장 큰 강우량이 쏟아졌고 이로 인해 산불 지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칠까 우려된다”며, "산불 쓰레기들을 잡아내고 여과하며, 기타 광범위한 수질 테스트 등 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들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순전히 예방 조치로 급수 제한 추가 2주를 허용했다"고 강조했다. 장관은 "또한 (2주간의) 시스템 복구 시간을 가지고, 수도 당국인 Water NSW와 Sydney Water의 수질 평가를 거쳐, 광역 시드니에 3월 1일 부터 제한 조치가 1단계로 돌아 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종합(강수량 2).jpg

와라감바 댐 주변 풍경(사진). 이번 폭우로 산불 발생 지역의 잔해물들이 식수 공급원인 주요 댐으로 흘러들어 감으로써 오염 처리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폭우는 특히 사이클론 우에시(Cyclone Uesi)와 맞물려 네피안 지역을 비롯해 동부 지역에 엄청난 양의 비를 뿌렸다. 기상청(Bureau of Meteorology. BOM)의 데이빗 윌키(David Wilke) 부청장은 “NSW 주 전역에서 높은 강우량을 기록했다”면서 “네피안 지역과 함께 울릉공(Wollongong) 지역에도 700mm 이상의 강우량을 기록했으며 블루마운틴의 카툼바(Katoomba) 545mm, 인근 오베론(Oberon), 마운트 보이스(Mt Boyce), 하이레인지(High Range) 지역에도 250~500mm의 비가 내렸다”고 말했다. 또한 광역시드니 지역의 강우량도 400mm에 달했다.

이달 둘째 주 주말, 이번 폭우로 인한 각 댐의 수위가 속속 집계되는 가운데 지난해 내내 지독한 가뭄을 겪었던 퀸즐랜드(Queensland) 주 또한 농장지대의 가뭄이 일단 해갈됐으며, 각 댐이 안정 수위를 회복했다고 호주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번 폭우는 단기간에 상당한 강수량을 보였다. 일부 지역의 피해를 초래하기는 했지만 전례 없는 여름 시즌 산불을 극적으로 끝내게 했으며 NSW 및 퀸즐랜드 지방 지역 농장지대 거주민들에게 희망을 안겨주었다.

다만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남아 있다.

 

산불 및 홍수의 잔해 처리는= 폭우로 인해 산불의 잔해가 댐으로 흘러들어간 문제이다. NSW 주의 수자원 당국인 ‘WaterNSW’는 화재로 인한 재나 기타 화재 관련 파편들이 댐에 흘러가는 것을 감안, 이로 인한 악영향을 막기 위해 추가 필터 장치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WaterNSW의 수자원 전문가에 따르면 특히 이번 폭우는 산불로 인한 갖가지 오염물질의 잔해들이 그대로 댐에 흘러들어 수자원 및 식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NSW대학교 환경공학 전문가인 스튜어트 칸(Stuart Khan) 교수는 “시드니 지역 식수 공급수로인 콕스 강(Coxs River) 상류를 보면 진흙과 침전물, 산불로 인한 재가 많이 쌓여 있다”면서 “이 퇴적물에 유기탄소가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만약 유기탄소가 있다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생분해를 시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런 문제로 인해 WaterNSW는 특히 와라감바 댐에 인접한 그린와틀 크릭(Green Wattle Creek)의 화재 지역 주변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다. WaterNSW 대변인은 “이번 폭우로 산불로 인한 재와 일부 잔해물들이 와라감바 댐 지역의 부라고랑 호수(Lake Burragorang)로 흘러들었다”며 “WaterNSW와 Sydney Water는 이곳의 수질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여름 시즌, 산불 피해가 컸던 빅토리아 주 또한 비슷한 상황에 대처하고 있다. 광역멜번 수도 당국인 ‘Melbourne Water’ 대변인은 “‘Thomson Catchment Complex’의 수질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 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멜번 지역 식수 공급에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종합(강수량 3).jpg

NSW 주 남동부, 베가밸리(Bera Valley) 지역 주민들이 폭우로 메말랐던 강바닥을 적시며 물이 흘러내리자 기뻐하고 있다.

사진: ABC 뉴스 화면 캡쳐

 

많은 강수량 불구, 물 사용 제한 유지 이유는= NSW대학교 칸 교수는 일부 지역에서 폭우가 내릴 경우 수질 영향으로 깨끗한 식수를 만들어내는 것이 쉽지 않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NSW 주 남동부 베가밸리(Bega Valley) 지역의 폭우가 이런 사례이다. 이 지역의 물 공급을 담당하는 브로고 댐(Brogo Dam)은 이번 비로 110%의 저수량을 보였지만 베가밸리 카운슬(Bega Valley Shire Council)에 따르면 외부에서 식수를 공급받느라 하루 3만 달러의 비용이 지출되고 있다. 댐이 보유한 물의 탁도(turbidity)가 너무 두꺼워 여과 시스템으로 걸러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베가밸리 카운슬의 수도 관리자 크리스 베스트(Chris Best)씨는 “브로고 댐의 물은 식수로 사용하는 게 불가능해 이곳에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비상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이전까지 10% 저수량을 보였던 브로고 댐은 폭우 하루만에 100% 저수량을 보였지만 산불로 인한 재와 퇴적물, 기타 잔해들이 가득한 상황이다.

브리즈번(Brisbane) 역시 지난 2013년 1월,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한 바 있다. 당시 홍수로 식수 저장 댐의 물이 혼탁해지고 여과 시스템이 이를 감당하지 못해 식수를 외부에서 공급받아야 했다.

‘Sydney Water’ 측이 저수량을 확보했음에도 향후 2주간 물 사용 제한을 유지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

 

식수는 안전한가= 이에 대해 관계자들의 답변은 “그렇다”이다. 다만 지역에 따라서는 다를 수 있다. WaterNSW는 “이번 폭우로 수질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산불 잔해물이 수자원에 흘러들어간 것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와라감바 댐으로 이어지는 수로에 추가로 여과설비를 설치한 것이 포함된다.

시드니는 여러 강과 댐을 갖고 있어 한곳에서의 식수 공급에 비상이 걸리면 당국은 다른 공급원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식수 수로가 하나뿐인 지역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야 한다. 칸 교수는 “이번 폭우로 인해 시드니 지역의 식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탄력적인 물 공급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고 말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강수량 1).jpg (File Size:80.7KB/Download:36)
  2. 종합(강수량 2).jpg (File Size:93.0KB/Download:43)
  3. 종합(강수량 3).jpg (File Size:63.7KB/Download:3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뉴질랜드 인구 500만명 시대까지 앞당긴 ‘코로나 19’ NZ코리아포.. 20.05.18.
5150 뉴질랜드 오클랜드 역사상 가장 가뭄 심한 상황, 물 사용 제한 NZ코리아포.. 20.05.18.
5149 뉴질랜드 아던 총리도 카페 밖에서 줄 서서 대기 NZ코리아포.. 20.05.18.
5148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13.
5147 뉴질랜드 COVID-19 5월 10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누적확진자 1,494명 일요시사 20.05.11.
5146 뉴질랜드 COVID-19 5월 8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감염자 1,490명 (확진자 1,141명 + 의심 확진자 349명… 일요시사 20.05.11.
5145 뉴질랜드 COVID-19 ,4월 30일 1:00PM 브리핑 요약 일요시사 20.05.11.
5144 뉴질랜드 COVID-19 4월 23일 오후,추가 감염자 3명 ,사망 2명,총 누적확진자 1451명 일요시사 20.05.11.
5143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2 호주 서호주 실내외 모임 최대 10명까지 허용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1 호주 개개인 이동경로 파악 ‘앱’ 활용시 수개월 이내 ‘제한조치’ 해제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4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해제 또는 완화, 세 가지 조건 충족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호주인 삶은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8 호주 공공보건 명령 위반의 다양한 사례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7 호주 SARS보다 덜 치명적인 COVID-19, 사망자 많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6 호주 NSW 주 정부, 4억4천만 달러의 ‘임차인’ 지원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5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각 부문별 구인광고,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4 호주 시드니대학교, COVID-19로 4억7천만 달러 손실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3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 5건의 수치로 보는 피해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2 호주 실내 공간에서 COVID-19는 얼마나 퍼져나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1 호주 COVID-19 영향으로 전 세계 5억 명 ‘빈곤층’ 전락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0 호주 L-plater의 운전 교습, ‘Coronavirus shutdown’ 단속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9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8 호주 공개 경매 이외 각 국가의 보편적인 주택 매매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6 호주 NSW 주정부, $4억4000만 세입자 지원 대책 발표 톱뉴스 20.04.15.
5125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5124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5123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5122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5121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5120 뉴질랜드 정부,대학생들을 위한 학생 융자 지원책 진행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9 뉴질랜드 15일 (수) 오후 1시 40분, 51초동안 크라이스처치 테러 공격 희생자 추모하는 묵념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8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15.
5117 뉴질랜드 국제시장 상품가격 하락, 뉴질랜드 달러 약세로 완화 일요시사 20.04.09.
5116 뉴질랜드 경찰 ,부활절 휴가 기간 이동하는 사람들 단속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5 뉴질랜드 아던 총리, 모든 입국자 들에게 강제적 14일간 격리 수용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4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09.
511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 고프 시장, 레이트 3.5% 인상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2 뉴질랜드 뉴질랜드,1,000명 이상의 코비드19 확진자에 1명의 사망자를 낸 유일한 국가 일요시사 20.04.09.
5111 뉴질랜드 모든 뉴질랜드 입국자들에게 강력한 의무 자가격리 방침 발표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0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9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8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5107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5106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5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3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