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스티븐 김 기자>

 

▲ 호주 정부는 한국의 의료시스템과 투명한 정보를 근거로 입국금지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피터 더튼(Peter Dutton) 호주 내무장관은 1일 ABC INSIDER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한국은 진전된 의료시스템이 있고, (확진자•사망자) 숫자를 투명하게 보고한다”며 “(이란과) 핵심적으로 다른 점”이라고 말했다. ABC INSIDERS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적 난국을 겪고 있는 한국에 대해 호주 정부가 ‘한국을 신뢰’한다는 내용의 발표를 했다. 한국의 선진 의료시스템과 공개적 투명성을 높이 평가했다.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입국제한 등 한국에 빗장을 거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초기에는 보건 환경이 열악한 국가 중심이었지만, 최근 들어 베트남 등 한국과 인적·물적 교류가 많은 국가들도 규제 조치를 강화하는 추세다. 다만 한국의 확진자 확대는 우수한 의료시스템과 투명한 공개 덕분이라며 입국제한을 고려하지 않는 국가도 있다.

 

베트남은 지난 29일 하노이공항과 호찌민공항에 한국발 여객기 착륙을 불허했다. 이 과정에서 하노이행 한국 여객기가 긴급 회항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베트남 당국은 이날 오전 8시15분(한국시간 오전 10시15분)부터 승객을 태운 한국발 여객기의 하노이공항 착륙을 불허하는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15분이 지나서야 항공사에 통보됐고, 이미 승객 40명을 태우고 인천에서 상륙한 아시아나항공 하노이행 항공편은 인천공항으로 긴급회항 해야 했다. 베트남 당국은 이날 밤 호찌민공항의 한국발 여객기의 착륙도 막았다.

 

베트남은 앞서 지난 26일 한국발 입국자를 14일간 자가격리를 하토록 하고, 29일부터는 한국인 무비자 입국을 임시로 중단하겠다고 한국 정부에 알려왔다. 한국은 베트남의 최대 투자국이자 제2위 교역국임에도 강경한 대응에 나선 것이다.

 

‘형제의 나라’ 터키도 한국을 오가는 모든 여객기 운항을 중단키로 했다. 파흐레틴 코자 터키 보건부 장관은 29일(현지시간)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3월 1일 0시부터 한국과 이탈리아, 이라크를 오가는 모든 여객기의 운항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 터키 항공사는 한국행 항공편을 편성할 수 있지만 귀국 항공기에는 터키 국민만 태워야 한다. 당장 3월 1일 오전 2시20분 이스탄불 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 귀국 예정이던 항공편이 취소돼 한국인 47명의 발이 묶이는 사태가 발생했다. Turkish Airlines youtube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터키 항공사는 한국행 항공편을 편성할 수 있지만 귀국 항공기에는 터키 국민만 태워야 한다. 당장 3월 1일 오전 2시20분 이스탄불 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 귀국 예정이던 항공편이 취소돼 한국인 47명의 발이 묶이는 사태가 발생했다.

 

우즈베키스탄도 한국과의 항공 운항을 사실상 폐쇄했다. 우즈벡 정부는 29일(현지시간) 3월 1일부터 한국-우즈벡 직항편을 주당 13편에서 1편으로 줄인다고 주우즈벡 한국 대사관에 통보했다. 주당 1편 직항은 양국 국민들이 자국으로 귀국할 수 있게 예외적으로 운영되므로 사실상 항공편 폐쇄인 셈이다.

 

러시아에서는 일부 항공사가 한국인 등 외국인 귀국을 돕기 위해 전세기를 띄운다고 관영 타스통신은 1일 보도했다.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 총영사관은 홈페이지에 “지방 도시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의 귀국을 위해 지방 노선을 일시 운항할 예정이니 참고해달라”며 S7 항공사의 전세기편 운항 일정표를 공개했다.

 

한편 호주 정부는 한국의 의료시스템과 투명한 정보를 근거로 입국금지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피터 더튼(Peter Dutton) 호주 내무장관은 1일 ABC Insiders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한국은 진전된 의료시스템이 있고, (확진자·사망자) 숫자를 투명하게 보고한다”며 “(이란과) 핵심적으로 다른 점”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지 교민들은 호주 정부의 입장에 환영하는 분위기다.

 

멜버른에 거주하는 교민 전세령씨는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호주 정부 입장에 합리적이다”라며 “한국에 대한 호주 정부의 태도에 박수를 보낸다”라고 말했다.

 

현재 주호주한국대사관(대사 이백순)은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호주 출입국 상황을 알리고 있다.

 

news2020@aubreaknews.com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뉴질랜드 인구 500만명 시대까지 앞당긴 ‘코로나 19’ NZ코리아포.. 20.05.18.
5150 뉴질랜드 오클랜드 역사상 가장 가뭄 심한 상황, 물 사용 제한 NZ코리아포.. 20.05.18.
5149 뉴질랜드 아던 총리도 카페 밖에서 줄 서서 대기 NZ코리아포.. 20.05.18.
5148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13.
5147 뉴질랜드 COVID-19 5월 10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누적확진자 1,494명 일요시사 20.05.11.
5146 뉴질랜드 COVID-19 5월 8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감염자 1,490명 (확진자 1,141명 + 의심 확진자 349명… 일요시사 20.05.11.
5145 뉴질랜드 COVID-19 ,4월 30일 1:00PM 브리핑 요약 일요시사 20.05.11.
5144 뉴질랜드 COVID-19 4월 23일 오후,추가 감염자 3명 ,사망 2명,총 누적확진자 1451명 일요시사 20.05.11.
5143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2 호주 서호주 실내외 모임 최대 10명까지 허용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1 호주 개개인 이동경로 파악 ‘앱’ 활용시 수개월 이내 ‘제한조치’ 해제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4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해제 또는 완화, 세 가지 조건 충족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호주인 삶은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8 호주 공공보건 명령 위반의 다양한 사례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7 호주 SARS보다 덜 치명적인 COVID-19, 사망자 많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6 호주 NSW 주 정부, 4억4천만 달러의 ‘임차인’ 지원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5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각 부문별 구인광고,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4 호주 시드니대학교, COVID-19로 4억7천만 달러 손실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3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 5건의 수치로 보는 피해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2 호주 실내 공간에서 COVID-19는 얼마나 퍼져나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1 호주 COVID-19 영향으로 전 세계 5억 명 ‘빈곤층’ 전락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0 호주 L-plater의 운전 교습, ‘Coronavirus shutdown’ 단속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9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8 호주 공개 경매 이외 각 국가의 보편적인 주택 매매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6 호주 NSW 주정부, $4억4000만 세입자 지원 대책 발표 톱뉴스 20.04.15.
5125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5124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5123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5122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5121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5120 뉴질랜드 정부,대학생들을 위한 학생 융자 지원책 진행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9 뉴질랜드 15일 (수) 오후 1시 40분, 51초동안 크라이스처치 테러 공격 희생자 추모하는 묵념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8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15.
5117 뉴질랜드 국제시장 상품가격 하락, 뉴질랜드 달러 약세로 완화 일요시사 20.04.09.
5116 뉴질랜드 경찰 ,부활절 휴가 기간 이동하는 사람들 단속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5 뉴질랜드 아던 총리, 모든 입국자 들에게 강제적 14일간 격리 수용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4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09.
511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 고프 시장, 레이트 3.5% 인상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2 뉴질랜드 뉴질랜드,1,000명 이상의 코비드19 확진자에 1명의 사망자를 낸 유일한 국가 일요시사 20.04.09.
5111 뉴질랜드 모든 뉴질랜드 입국자들에게 강력한 의무 자가격리 방침 발표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0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9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8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5107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5106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5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3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